본문내용
지닌 것으로서 당시 중국의 절도사 별칭에서 유래한 것이다.
따라서 장보고와 신라 왕실의 통혼 기도는 기존의 신라체제를 고수하려 한 세력들에게는 그 자체로서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에 당시 중앙의 실권자 김양(金陽)과 기존의 질서하에서는 청해진 지역보다 우위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무주(武州) 출신 염장(閻長)의 공작으로 장보고는 암살되어 제거되었으며 일단 그 세력은 소멸되었던 것이다.
결론
장보고의 출신과 그 세력의 형성 과정, 장보고 세력의 정치·사회적 성향 등을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내용을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보고 세력의 등장은 신라가 한반도 중남부를 통일함으로써 산동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당의 연해지역과 신라의 서남해안 및 일본으로까지 연장되는 해상교역이 크게 번성하고, 그리고 골품체제의 모순이 점차 노정되면서 신라의 변방 통제가 이완되고 그 지배체제에서 이탈하는 다수의 신라인이 도당 이주하였던 시기적 상황과 일찍이 입신양명을 위해 도당한 장보고의 탁월한 무재와 영도역의 만남에서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즉 이러한 시기적 조건을 배경으로 그 구성원의 개체성과 안정된 생의 보장을 명분으로 하여 결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 정치적·사회적 성향면에서 볼 때 장보고 세력은 기존의 신라 지배체제와는 공존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납비 시도를 기화로 그는 신라의 중앙귀족에게 사주받은 자객에 의해 제거되고 그의 세력 또한 종내는 해체되었다. 그러나 그들 세력이 이룩한 내적 지배질서는 분명 신라 사회가 안고 있는 골품체제의 한계에서 본다면 진일보한 것이었다.
따라서 장보고와 신라 왕실의 통혼 기도는 기존의 신라체제를 고수하려 한 세력들에게는 그 자체로서 자신의 존재를 부정당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에 당시 중앙의 실권자 김양(金陽)과 기존의 질서하에서는 청해진 지역보다 우위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무주(武州) 출신 염장(閻長)의 공작으로 장보고는 암살되어 제거되었으며 일단 그 세력은 소멸되었던 것이다.
결론
장보고의 출신과 그 세력의 형성 과정, 장보고 세력의 정치·사회적 성향 등을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내용을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보고 세력의 등장은 신라가 한반도 중남부를 통일함으로써 산동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당의 연해지역과 신라의 서남해안 및 일본으로까지 연장되는 해상교역이 크게 번성하고, 그리고 골품체제의 모순이 점차 노정되면서 신라의 변방 통제가 이완되고 그 지배체제에서 이탈하는 다수의 신라인이 도당 이주하였던 시기적 상황과 일찍이 입신양명을 위해 도당한 장보고의 탁월한 무재와 영도역의 만남에서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즉 이러한 시기적 조건을 배경으로 그 구성원의 개체성과 안정된 생의 보장을 명분으로 하여 결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 정치적·사회적 성향면에서 볼 때 장보고 세력은 기존의 신라 지배체제와는 공존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납비 시도를 기화로 그는 신라의 중앙귀족에게 사주받은 자객에 의해 제거되고 그의 세력 또한 종내는 해체되었다. 그러나 그들 세력이 이룩한 내적 지배질서는 분명 신라 사회가 안고 있는 골품체제의 한계에서 본다면 진일보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