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미리 결정하지 않고 대화 속에서 참여자들이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 Attention(집중)
참여자들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이해하도록 집중하여야 한다.
· Search for a response(응답의 탐구)
참여자들은 적절한 대답을 탐구한다. 토의중인 상황이나 문제에 역점을 두는 가능성의 영역에 대한 상호간의 정의와 분석이 있다.
Noddings는 "학교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살고, 서로 이야기 하고, 함께 논하고, 서로의 교제에서 기쁨을 느끼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교사가 학생들과 대화하기를 도와주는 몇 가지 조정(intervention)전략을 제시하였다. 문제풀기(problem-solving)는 학생들이 어려운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하는 인지적 중재(cognitive intervention)이다. 우선 학생들은 문제가 존재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지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둘째로, 학생은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법들을 끌어 낼 수 있어야하고 그중에서 최고의 해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학생은 그 해법을 수행할 전략을 세우고 그 다음에 행동의 추이를 보아야 한다.
F. Self-Management(자기관리)
이 방법은 학생들이 조절의 장소를 외부적인 것에서 내부적으로(또는 교사로부터 학생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 방법은 사람들이 평생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학생에게 가르쳐 준다. 자기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미리 정해진 기준과 비교하게 된다.
G. Conflict Resolution(분쟁의 해결)
분쟁의 해결은 하나의 특정한 문제해결 방법이다. 그것은 대화와 둘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 간의 해결책으로 이끄는 문제해결의 과정을 수반한다. 분쟁해결은 분쟁을 학생들에게 윈-윈 상황으로 바꾸도록 도와준다. 그러한 과정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 분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여러 사람의 관점에서 분쟁을 명확히 하도록 노력한다.
· 관련된 사람들의 공통된 관심을 정리한다.
· 그 분쟁에 대하여 brain-storming을 실시한다.
· 학생들은 합의한 내용이나 계약을 서술한다.(양식은 교사에 의해 작성될 수 있고 학생들이 마무리한다.)
· 계약은 악수나 하이 파이브로 날인한다.
TEACHING SOCI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에서 사회적 기술 지도하기)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의 National Standards for Physical Education은 학생들이 책임감 있는 개인적 사회적 행동과 신체활동환경에서의 사람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체육환경은 학생들이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므로 가장 효율적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곳이다. Solomon에 의해 학생들이 사회적 기술을 키우는 것을 돕는 세 가지 원리가 정리되었다.
1. 학생들은 자기관리(self-direction)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e.g. 학급규정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학생들은 수업을 의미 있고 중요하게 받아드려야 한다.
(e.g. 발달적으로 적절한 활동)
3. 그들은 자신이 학급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임을 느껴야 한다.
(e.g.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체육환경에서 사회적 기술을 지도하는 기초를 형성한다.
추가적인 제안은 교사나 혹은 학생이 수업시간 중에 학생들의 특정한 사회적 기술의 사용을 모니터하고 수업 종료 후에 학생들이 그러한 행위 중에 어떤 일이 발생하였는가를 찾는 토론을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묻는다. "격려하는 것을 보거나 들었는가? "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은 어떤 느낌이었는가?" "다음에는 네가 너의 팀이 더 잘 할 수 있도록 무엇을 할 수 있느냐?"
사회적 기술을 중시하는 것은 어린 아이들의 성공적인 체육교육학습 경험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당신이 자신의 체육시간에 사회적 기술을 강조하고자 한다면, 자율(autonomy), 관계(relatedness), 숙련(competence) 등과 같은 인간의 공통적인 세 가지 기본적인 욕구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한 관점은 학생들을 과정에 참여시키고 자신의 생각과 기여의 가치를 인식하는 훈육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과 일치한다.
Summary
긍정적 훈육은 능숙한 교사에 의한 학습과정이다. 성공적인 교육법이란 학생들이 교사에 의한 행동조정에서 자기 스스로의 행동조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가 부여한 기준과 처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박탈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없게 만든다.
유능한 교사는 학생들이 자제력(self-control) 확대의 장기적 목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여러 긍정적 훈육방법 중에서 입증된 것들은 합리성(being reasonable), 일관성(being consistent), 끝까지 완수하기(following through), 단호함(being assertive), 그리고 학생들에 대한 신뢰이다. 그리고 교사의 긍정적 권위형태(positive authority style)는 긍정적 역할모델(positive role model), 효율적 의사소통자, 능률적인 기획자, 그리고 자신의 교육행동에 대한 비평적 자기평가자(critical self-assessor)이다.
수업분위기를 확립하고 유지하기위한 교사중심의 방법은 비언어적 대응, 언어적 대응, 그리고 격리(time-out)이다. 학생중심 또는 구성주의적 훈육방법은 자기관찰(self-monitoring
), 우발적 계약(contingency contract). 그리고 분쟁해결(conflict resolution)이다. 체육교사는 사회적 기술지도의 중요성과 학생들이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Attention(집중)
참여자들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이해하도록 집중하여야 한다.
· Search for a response(응답의 탐구)
참여자들은 적절한 대답을 탐구한다. 토의중인 상황이나 문제에 역점을 두는 가능성의 영역에 대한 상호간의 정의와 분석이 있다.
Noddings는 "학교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살고, 서로 이야기 하고, 함께 논하고, 서로의 교제에서 기쁨을 느끼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교사가 학생들과 대화하기를 도와주는 몇 가지 조정(intervention)전략을 제시하였다. 문제풀기(problem-solving)는 학생들이 어려운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하는 인지적 중재(cognitive intervention)이다. 우선 학생들은 문제가 존재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지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둘째로, 학생은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법들을 끌어 낼 수 있어야하고 그중에서 최고의 해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학생은 그 해법을 수행할 전략을 세우고 그 다음에 행동의 추이를 보아야 한다.
F. Self-Management(자기관리)
이 방법은 학생들이 조절의 장소를 외부적인 것에서 내부적으로(또는 교사로부터 학생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 방법은 사람들이 평생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학생에게 가르쳐 준다. 자기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미리 정해진 기준과 비교하게 된다.
G. Conflict Resolution(분쟁의 해결)
분쟁의 해결은 하나의 특정한 문제해결 방법이다. 그것은 대화와 둘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 간의 해결책으로 이끄는 문제해결의 과정을 수반한다. 분쟁해결은 분쟁을 학생들에게 윈-윈 상황으로 바꾸도록 도와준다. 그러한 과정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
· 분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여러 사람의 관점에서 분쟁을 명확히 하도록 노력한다.
· 관련된 사람들의 공통된 관심을 정리한다.
· 그 분쟁에 대하여 brain-storming을 실시한다.
· 학생들은 합의한 내용이나 계약을 서술한다.(양식은 교사에 의해 작성될 수 있고 학생들이 마무리한다.)
· 계약은 악수나 하이 파이브로 날인한다.
TEACHING SOCI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에서 사회적 기술 지도하기)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의 National Standards for Physical Education은 학생들이 책임감 있는 개인적 사회적 행동과 신체활동환경에서의 사람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체육환경은 학생들이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이므로 가장 효율적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곳이다. Solomon에 의해 학생들이 사회적 기술을 키우는 것을 돕는 세 가지 원리가 정리되었다.
1. 학생들은 자기관리(self-direction)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e.g. 학급규정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학생들은 수업을 의미 있고 중요하게 받아드려야 한다.
(e.g. 발달적으로 적절한 활동)
3. 그들은 자신이 학급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임을 느껴야 한다.
(e.g.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체육환경에서 사회적 기술을 지도하는 기초를 형성한다.
추가적인 제안은 교사나 혹은 학생이 수업시간 중에 학생들의 특정한 사회적 기술의 사용을 모니터하고 수업 종료 후에 학생들이 그러한 행위 중에 어떤 일이 발생하였는가를 찾는 토론을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묻는다. "격려하는 것을 보거나 들었는가? "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은 어떤 느낌이었는가?" "다음에는 네가 너의 팀이 더 잘 할 수 있도록 무엇을 할 수 있느냐?"
사회적 기술을 중시하는 것은 어린 아이들의 성공적인 체육교육학습 경험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당신이 자신의 체육시간에 사회적 기술을 강조하고자 한다면, 자율(autonomy), 관계(relatedness), 숙련(competence) 등과 같은 인간의 공통적인 세 가지 기본적인 욕구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한 관점은 학생들을 과정에 참여시키고 자신의 생각과 기여의 가치를 인식하는 훈육에 대한 구성주의 모델과 일치한다.
Summary
긍정적 훈육은 능숙한 교사에 의한 학습과정이다. 성공적인 교육법이란 학생들이 교사에 의한 행동조정에서 자기 스스로의 행동조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가 부여한 기준과 처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박탈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없게 만든다.
유능한 교사는 학생들이 자제력(self-control) 확대의 장기적 목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여러 긍정적 훈육방법 중에서 입증된 것들은 합리성(being reasonable), 일관성(being consistent), 끝까지 완수하기(following through), 단호함(being assertive), 그리고 학생들에 대한 신뢰이다. 그리고 교사의 긍정적 권위형태(positive authority style)는 긍정적 역할모델(positive role model), 효율적 의사소통자, 능률적인 기획자, 그리고 자신의 교육행동에 대한 비평적 자기평가자(critical self-assessor)이다.
수업분위기를 확립하고 유지하기위한 교사중심의 방법은 비언어적 대응, 언어적 대응, 그리고 격리(time-out)이다. 학생중심 또는 구성주의적 훈육방법은 자기관찰(self-monitoring
), 우발적 계약(contingency contract). 그리고 분쟁해결(conflict resolution)이다. 체육교사는 사회적 기술지도의 중요성과 학생들이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수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목표와 특징, 수학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의 편...
[토의수업][토론수업]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수업) 의미, 토론학습(토론수업, 토의수업) 단...
컴퓨터보조수업(컴퓨터보조학습, CAI) 이론적 배경과 필요성, 컴퓨터보조수업(컴퓨터보조학습...
[지도전략]쓰기교육전략(교수학습전략), 독서교육전략(교수학습전략), 맥락읽기교육전략(교수...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정의와 종류,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선행연구,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수업, 인터넷활용교육)의 개념과 목적,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
[음악치료][학습장애아 음악치료][학습장애아 음악치료 평가]음악치료의 의의, 음악치료의 성...
[인터넷활용][협동학습][문제중심학습][개별학습][국악교육][프로젝트중심학습법]인터넷활용 ...
성인학습원리 - 경험학습과 구성주의학습의 핵심원리 비교
[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사이버가정학습, 사이버대학, 사이버문화, 사이버문학, 사이버...
[성인학습 및 상담] 성인전기, 성인중기, 성인후기의 각각의 발달단계별 가장 필요한 학습...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이론을 기술하고 학자가 주장한 이론을 자신과 연결하여 논하시오...
평생학습사회의 중요성과 학습사회의 구체적인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