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도 입
B.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정의
C. 집합행동의 특성, 현상과 과정
D.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사회학적 이론들
E.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F. 사례연구
<‘1987년 6월 항쟁’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Ⅰ. 배경
Ⅱ. 진행과정
Ⅲ. 참여 세력 분석
Ⅳ. 사회심리학적 분석
G. 결 론
B.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정의
C. 집합행동의 특성, 현상과 과정
D.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사회학적 이론들
E.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F. 사례연구
<‘1987년 6월 항쟁’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Ⅰ. 배경
Ⅱ. 진행과정
Ⅲ. 참여 세력 분석
Ⅳ. 사회심리학적 분석
G. 결 론
본문내용
3. 6월 항쟁의 ‘혁명의 J-곡선이론’ 적용
혁명의 J-곡선이론은 경제적사회적 조건 향상의 경험은 새로운 욕구와 희망과 기대를 발생시키고 증대시키며, 이와 같이 상승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고 좌절되었을 때, 사람들은 혁명을 일으키거나 혁명에 참여한다는 이론이다.
6070년대를 걸치면서 경제성장을 목표로 잘살아보겠다는 일념으로 묵묵히 일만 해 오던 민중은 국가경제의 성장으로 개인적인 기대감으로 가득 차있었다. 하지만 신보수주의와 정경유착의 고리에 의해 보상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게 되었다. 객관적인 수준에서 국가경제는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대다수의 개개인의 경제적 환경과 소득의 수준은 일정하게 머물러 있거나 혹은 오히려 열악해진 것이다. 욕구와 충족간의 차이는 더욱 심화되었고, 사람들은 이러한 정당하지 못한 현상의 변화를 요구했다. 경제적인 기대와 정치적인 기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취한 태도는 오히려 낮은 수준의 처방이었고, 이러한 참을 수 없는 불만은 전국민적인 사회운동에 불씨를 당긴 직접적 요인인 것이다.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한 많은 사람들의 사회적 불만이 사회적 저항을 폭발적으로 표면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데이비스의 혁명의 J-곡선이론을 적용할 수 있겠다.
4. 6월 항쟁의 ‘상대적 박탈이론’ 적용
파이어라벤드 부처의 ‘상대적 박탈이론’에 의하면 개인들의 불만보다는 사회체계에 대한 불만, 즉 체계불만이 정치적 폭력 등의 집합행동을 발생시킨다. 체계불만은 사회적 기대와 사회적 성취간의 괴리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에서 비롯된다는 이론이다. 6월 항쟁은 개개인의 경제적 박탈감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것이 비롯된 정치경제 등의 사회적 체계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이론을 적용할 수 있겠다.
6월 항쟁을 거어의 박탈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중의 열망수준은 증가하는데 가치능력이 일정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들의 새로운 기대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분노를 느끼는 ‘열망적 박탈’로 볼 수 있겠다. 상대적 박탈감을 강화하는 요인으로서 6월 항쟁을 분석해보면, 민중들은 경제적 가치박탈과 안전가치와 공동체가치의 박탈을 동시에 경험함으로써 그 박탈의 강도가 컸고, 반민주성폭력성기만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정권에 대한 불만으로 확산되었다. 사람들은 민주화라는 가치획득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았고, 박탈을 경험하는 가치의 종류가 많았고, 가치기대와 가치능력간의 인지된 격차의 크기는 엄청났다. 이렇게 상대적 박탈의 간도와 범위가 컸기에, 6월항쟁 속에서 집합적 폭력이 발생한 것이라 분석할 수 있겠다.
G. 결 론
6070년대를 걸치면서 경제성장을 목표로 잘살아보겠다는 일념으로 묵묵히 일만 해 오던 민중은 국가경제의 성장으로 개인적인 기대감으로 가득 차있었다. 하지만 신보수주의와 정경유착의 고리에 의해 보상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게 되었다. 객관적인 수준에서 국가경제는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대다수의 개개인의 경제적 환경과 소득의 수준은 일정하게 머물러 있거나 혹은 오히려 열악해진 것이다. 사회저변으로 확대되고 심화된 경제적 욕구의 불만족은 박탈감으로 발전하고 사회변혁을 향한 의지로 내재되었다. 이는 정치적인 불균형과 연계되어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유신정권에 이어진 전두환 군사정권은 민주화에 대한 민중의 열망을 꾸준하게 증가시켰다. 반공이데올로기로 억눌려 온 민중의 정치적 욕구는 사회운동으로 점차 표면화된 것이다. ‘옛날보다 많이 살기 좋아졌지.’라는 말로 나타나는 정권의 점증적인 민주화 정책은 전국적인 운동의 가능성을 억제하는 미봉책이었다. 하지만 민중의 민주화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증대되는 과정에서 발표된 ‘413호헌조치’라는 장기집권의 야욕은 현실과 민중의 기대의 괴리감을 극대화시켰고, 박종철 열사와 이한열 열사에 관련된 폭로를 통해서 폭발하게 되었다. 폭압적인 정권의 퇴진과 민주주의의 실현을 향한 전국민의 요구가 행동으로 표출되고 대다수의 민중을 거리로 나오게 만든 것이다.
경제적인 기대와 정치적인 기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취한 태도는 오히려 낮은 수준의 처방이었으니 전국적인 대규모 사회운동을 통한 변혁의 움직임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각 조직세력들의 국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한 조직적인 운동은 6월 항쟁의 성공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반적으로 형성된 불만심리를 하나로 통일하고 선전을 통해 적(군사독재정권)에 대한 적개심으로 발달시켰으며, 합의를 통한 일관된 행동으로 운동은 성사시킨 것이다.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가치가 내면화되었고, 더 이상 상대적인 불이익을 견딜 수 없다는 공리적인 목적의 추구가 결합하면서 극대화된 욕구는 가두투쟁이라는 방법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 질 수 있었다. 희망적인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공격적인 투쟁이 필요했던 것이다. 상대는 군사정권 정부였으며, 그 행위의 폭력성은 거리에서 진행되는 공격적인 운동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결국 6월 항쟁은 629선언이라는 민주적인 그러나 기만적인 약속을 정권으로부터 획득하고 일단락 되었다.
參考文獻
1. 임희섭,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99
2. 이훈구, 사회심리학, 법문사, 1999
3. Aronson Elliot, 탐구당, 1994
4.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95
5. 사회문화연구소, 사회운동론, 사회문화연구소, 1995
6. 내가 살고 싶은 세상 사회운동과 나,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 또 하나의 문화 1996
7. 세계화시대의 인권과 사회운동, 한국사회학회, 나남, 1998
8. 한국사회운동사:한국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조희연, 한울, 1995
9.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조희연, 당대, 1998
10. http://www.minju610.org (희망의 탑쌓기)
11. http://www.610.or.kr (6월항쟁 기념관)
12. http://www.woosangho.pe.kr (우상호와 함께하는 사람들)
13. http://www.kinds.or.kr (언론통합검색)
혁명의 J-곡선이론은 경제적사회적 조건 향상의 경험은 새로운 욕구와 희망과 기대를 발생시키고 증대시키며, 이와 같이 상승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고 좌절되었을 때, 사람들은 혁명을 일으키거나 혁명에 참여한다는 이론이다.
6070년대를 걸치면서 경제성장을 목표로 잘살아보겠다는 일념으로 묵묵히 일만 해 오던 민중은 국가경제의 성장으로 개인적인 기대감으로 가득 차있었다. 하지만 신보수주의와 정경유착의 고리에 의해 보상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게 되었다. 객관적인 수준에서 국가경제는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대다수의 개개인의 경제적 환경과 소득의 수준은 일정하게 머물러 있거나 혹은 오히려 열악해진 것이다. 욕구와 충족간의 차이는 더욱 심화되었고, 사람들은 이러한 정당하지 못한 현상의 변화를 요구했다. 경제적인 기대와 정치적인 기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취한 태도는 오히려 낮은 수준의 처방이었고, 이러한 참을 수 없는 불만은 전국민적인 사회운동에 불씨를 당긴 직접적 요인인 것이다.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한 많은 사람들의 사회적 불만이 사회적 저항을 폭발적으로 표면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데이비스의 혁명의 J-곡선이론을 적용할 수 있겠다.
4. 6월 항쟁의 ‘상대적 박탈이론’ 적용
파이어라벤드 부처의 ‘상대적 박탈이론’에 의하면 개인들의 불만보다는 사회체계에 대한 불만, 즉 체계불만이 정치적 폭력 등의 집합행동을 발생시킨다. 체계불만은 사회적 기대와 사회적 성취간의 괴리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에서 비롯된다는 이론이다. 6월 항쟁은 개개인의 경제적 박탈감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것이 비롯된 정치경제 등의 사회적 체계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이론을 적용할 수 있겠다.
6월 항쟁을 거어의 박탈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중의 열망수준은 증가하는데 가치능력이 일정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들의 새로운 기대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분노를 느끼는 ‘열망적 박탈’로 볼 수 있겠다. 상대적 박탈감을 강화하는 요인으로서 6월 항쟁을 분석해보면, 민중들은 경제적 가치박탈과 안전가치와 공동체가치의 박탈을 동시에 경험함으로써 그 박탈의 강도가 컸고, 반민주성폭력성기만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정권에 대한 불만으로 확산되었다. 사람들은 민주화라는 가치획득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았고, 박탈을 경험하는 가치의 종류가 많았고, 가치기대와 가치능력간의 인지된 격차의 크기는 엄청났다. 이렇게 상대적 박탈의 간도와 범위가 컸기에, 6월항쟁 속에서 집합적 폭력이 발생한 것이라 분석할 수 있겠다.
G. 결 론
6070년대를 걸치면서 경제성장을 목표로 잘살아보겠다는 일념으로 묵묵히 일만 해 오던 민중은 국가경제의 성장으로 개인적인 기대감으로 가득 차있었다. 하지만 신보수주의와 정경유착의 고리에 의해 보상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게 되었다. 객관적인 수준에서 국가경제는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대다수의 개개인의 경제적 환경과 소득의 수준은 일정하게 머물러 있거나 혹은 오히려 열악해진 것이다. 사회저변으로 확대되고 심화된 경제적 욕구의 불만족은 박탈감으로 발전하고 사회변혁을 향한 의지로 내재되었다. 이는 정치적인 불균형과 연계되어 폭발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유신정권에 이어진 전두환 군사정권은 민주화에 대한 민중의 열망을 꾸준하게 증가시켰다. 반공이데올로기로 억눌려 온 민중의 정치적 욕구는 사회운동으로 점차 표면화된 것이다. ‘옛날보다 많이 살기 좋아졌지.’라는 말로 나타나는 정권의 점증적인 민주화 정책은 전국적인 운동의 가능성을 억제하는 미봉책이었다. 하지만 민중의 민주화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증대되는 과정에서 발표된 ‘413호헌조치’라는 장기집권의 야욕은 현실과 민중의 기대의 괴리감을 극대화시켰고, 박종철 열사와 이한열 열사에 관련된 폭로를 통해서 폭발하게 되었다. 폭압적인 정권의 퇴진과 민주주의의 실현을 향한 전국민의 요구가 행동으로 표출되고 대다수의 민중을 거리로 나오게 만든 것이다.
경제적인 기대와 정치적인 기대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취한 태도는 오히려 낮은 수준의 처방이었으니 전국적인 대규모 사회운동을 통한 변혁의 움직임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각 조직세력들의 국민운동본부를 중심으로 한 조직적인 운동은 6월 항쟁의 성공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반적으로 형성된 불만심리를 하나로 통일하고 선전을 통해 적(군사독재정권)에 대한 적개심으로 발달시켰으며, 합의를 통한 일관된 행동으로 운동은 성사시킨 것이다.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가치가 내면화되었고, 더 이상 상대적인 불이익을 견딜 수 없다는 공리적인 목적의 추구가 결합하면서 극대화된 욕구는 가두투쟁이라는 방법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 질 수 있었다. 희망적인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공격적인 투쟁이 필요했던 것이다. 상대는 군사정권 정부였으며, 그 행위의 폭력성은 거리에서 진행되는 공격적인 운동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결국 6월 항쟁은 629선언이라는 민주적인 그러나 기만적인 약속을 정권으로부터 획득하고 일단락 되었다.
參考文獻
1. 임희섭,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99
2. 이훈구, 사회심리학, 법문사, 1999
3. Aronson Elliot, 탐구당, 1994
4.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95
5. 사회문화연구소, 사회운동론, 사회문화연구소, 1995
6. 내가 살고 싶은 세상 사회운동과 나,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 또 하나의 문화 1996
7. 세계화시대의 인권과 사회운동, 한국사회학회, 나남, 1998
8. 한국사회운동사:한국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조희연, 한울, 1995
9.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조희연, 당대, 1998
10. http://www.minju610.org (희망의 탑쌓기)
11. http://www.610.or.kr (6월항쟁 기념관)
12. http://www.woosangho.pe.kr (우상호와 함께하는 사람들)
13. http://www.kinds.or.kr (언론통합검색)
추천자료
- 된장녀를 중심으로 살펴본 ~~녀 현상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 사회행동의 이론(사회행동모델, 대중동원모델)과 사례(용산철거민, 풀뿌리시민 운동 등)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이론을 설명 - 에릭슨의 사회심리적이론...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성격이론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 정신분석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학습이론 - Bandura의 생애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 사회행동과 관련 개념의 이해 : 사회행동과 관련 개념의 이해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D)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시...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행동주의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시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시오 ...
-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실천의 관점에서(정신분석,심리사회,행동주의,인지,인본주의,사...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인간행동...
- 행복의 개념적으로 구조화하여 설명하고 사회심리학적 요소에 대해 설명 (행복)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을 설명한 이론을 설명하시오 - 인간행동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복지사가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