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마르 시절의 바우하우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마르 시절의 바우하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이마르 시절의 바우하우스

1.1 바우하우스의 어원
1.2 산업사회의 바우하우스
1.3 바우하우스의 기본이념
1.4 바우하우스의 목적
1.5 바우하우스의 원칙
1.6 교육범위 및 분야
1.7 교육과정 구분
1.7 반데 벨데의 공예 연구소
1.8 바우하우스의 설립
1.9 바이마르 시절의 바우하우스
1.10 바우하우스의 초빙교수
1.10.1 파이닝거
1.10.2 마르크스
1.10.3 잇덴
1.11 반 바우하우스운동
1.12 구미술대학의 분리
1.13 잇덴의 예비교육
1.14 공예교육


2. 각 공방의 성격과 활동

2.1 도자기 공방
2.2 인쇄공방
2.3 직물공방과 무헤의 초빙
2.4 제본공장
2.5 쉬램머와 클레의 초빙
2.6 석고공방과 목조공방
2.7 유리그림공방과 클레의 강의
2.8 벽화공방과 칸디스키의 초빙
2.9 칸디스키의 강의
2.10 가구공방
2.11 금속공방
2.12 쉬레이어의 초빙


3. 뎃사우의 바우하우스

3.1 「바이마르의 바우하우스」에서 「뎃사우의 바우하우스」
3.2 뎃사우 에서의 바우하우스 기초교육
3.3 기초교육
3.4 모홀리 나기의 기초교육
3.5 인쇄공방과 출판공방
3.6 가구공방과 금속공방
3.7 직물공방과 벽화공방
3.8 무대공방



4. 한스 마이어 시대의 바우하우스

4.1 그로피우스의 퇴진
4.2 마이어의 취임
4.3 마이어의 이념
4.4 마이어의 개혁
4.5 건축과의 활동
4.6 각 공방의 활동
4.7 알베르스의 기초교육
4.8 기초과정과 회화교실


5. 미스 반데로에 시대의 바우하우스
5.1 무대공방과 쉬렘어의 사임
5.2 마이어의 해임
5.3 미스반데어 로에의 취임
5.4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개혁
5.5 교육당당
5.6 클레의 사임
5.7 해산동의
5.8 베를린
5.9 뉴 바우하우스
5.10 디자인 연구소


6. 바우하우스의 연대


7. 각 공방의 변천사

7.1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7.2 데사우 바우하우스
7.3 한스마이어의 개혁
7.4 미스 반델로에의 개혁

본문내용

에 영향을 끼쳤다. 여기서 미학적으로 가장 원숙했던 그의 업적은 〈파카51〉만년필의 디자인이었는데, 이것은 오늘날에도 본래의 디자인 그대로 생산되고 있다. 모홀리 나기가 죽은 뒤 디자인 연구소 소장으로 세르주 세르마이에프를 초빙했다. 그는 재임기간 중 모홀리 나기가 개발한 교과과정을 더욱 진전시켰는데 특히 건축을 지향하는 방향에 힘을 들여 그 기반을 확고하게 다졌다. 그리고 교과과정을 부분적으로 수정해서 작업장도 그전의 6개에서 5개로 축소했다. 그런데 1949년 디자인 연구소는 재정적인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게 위한 방안으로 일리노이 공과대학과 합병하였다. 1956년 4월 30일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한 일리노이 공과대학 크라운 홀이 개관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디자인 연구소는 이곳으로 이전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제이 도블린은 연구소를 재정비하여 재능 있는 디자이너를 훈련시켰고 계속해서 연구소의 활동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했다. 그리고 도블린 시대에는 교육프로그램이 축소되어 시각디자인·제품디자인·사진·미술교육의 4년 과정으로 변경되었다.
6. 바우하우스의 연대
1860년 -------------- 칼 알렉산더에 의해 대공립미술학교설립
1906년 ----------- -- 대공립 공예학교설립
1919년 -------------- 바우하우스설립, 월터그로피우스 학장취임
1920년 -------------- 반 바우하우스운동
1921년 -------------- 구미술대학과의 분리
1925년 3월 31일 ------- 바이마르와 계약해소
1926년 4월 1일 -------- 뎃사우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명칭 포기협정
(뎃사우에서 단독사용)
1928년 -------------- 월터 그로피우스의 퇴진
1928년 4월 1일 -------- 한스 마이어 취임
1930년 8월 1일 -------- 한스 마이어 해임
1930년 8월 5일 -------- 미스 반데로에 취임
1931년 -------------- 클레의 사임, 근타스텔⒦의 사임
1932년 1월 21일 ------- 뎃사우시의 해산동의안 제출
1932년 10월 ----------- 베를린 사립연구소로 권리 양도
1933년 4월 11일 -------- 건물봉쇄
1937년 --------------- 시카고 뉴바우하우스 설립, 모홀리나기 학장취임
1938년 8월 ------------ 재정불안으로 패교
1939년 1월 ------------ 모홀리나기 연구소 설립
1939년 2월 ------------ 학생등록
1944년 --------------- 디자인 연구소로 학명 변경
1949년 --------------- 일리노이드 공과대학으로 합병----▶ 현재
1953년 --------------- 울름 조형 대학 개교
1968년 --------------- 울름 조형 대학 폐교
7. 각 공방의 변천사
7.1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기초교육 - 잇텐
도자기 공방 - 조형마이스터 : 게르타르트 마르크스, 기능마이스터 :
인쇄 공방 - 조형마이스터 : 파이닝거, 기능마이스터 : 짜우비쩌
직물 공방 - 조형마이스터 : 무헤, 기능마이스터 : 뷔르너
제본 공방 - 조형마이스터 : 클레,
기능마이스터 : 오토돌프너-오토돌프너의 계약해소로 독립
조각 공방 - 조형마이스터 : 오스카 쉬럼머, 기능마이스터 : 요제프 하르트비히
유리그림공방 - 조형마이스터 : 클레, 기능마이스터 : 요제프 알베르스
벽화 공방 - 조형마이스터 : 칸딘스키, 기능마이스터 : 하인리히베버니스
가구 공방 - 조형마이스터 : 그로피우스, 기능마이스터 : 요제프 알베르스(1923~)
금속 공방 - 조형마이스터 : 잇덴, 모홀리나기, 기능마이스터 : 크리스찬델(1922~)
무대 공방 - 조형마이스터 : 쉬레이어→쉬렘머, 기능마이스터 :
7.2 데사우 바우하우스
기초교육 - 모홀리 나기
인쇄 출판 공방 - 바이어 ----모로리나기, 알베르스, 쉬미트 관여 ----후임으로 쉬미트
가구 공방 - 브로이어
금속 공방 - 모홀로나기 ----1928년 사임후 가구공방에 통합
직물 공방 - 군타스텔⒦
벽화 공방 - 힌데르크쉐퍼
무대 공방 - 쉬렘머 ----공간디자인으로서의 무용예술
7.3 한스마이어의 개혁
기초과정 : 알베르스
건축부 -
광고부 - 사진공방(페터한스), 조소공방, 인쇄공방(쉬미트)
실내디자인부 - 벽화공방(알베르스), 가구공방(알베르스)
직물부 - 염색, 직물(군타스텔⒦)
무대공방 - 쉬램머의 사직으로 인해서 해체
7.4 미스 반델로에의 개혁
기초과정 - 알베르스(대상묘사), 쉬미트(조소와 레터링), 엥게만(구림글자),
칸딘스키(조형론), 클레(회화교실)
건축과 -건축고조 구조설계 난방과 환기, 건축설비론, 조명기술, 견적, 구조역학,
정역학, 철근콘크리트, 건축계획론, 건축설계, 도시계획
미스반데로에 - 건축설계----건축세미나
힐버자이머 - 도시계획, 건축론,
구조설계 ----주택과 도시 디자인의 세미나
알카르루델트 - 정역학, 기계학, 구조역학, 건축구조, 철근콘크리트
알프레드 아른트 - 인테이러 디자인 ----실내 디자인 세미나
광고과 -쉬미트
사진공방 - 페터한스 -------광고과에 속해있음
직물디자인 - 군타스텔⒦
8. 바우하우스의 평가
지금 바우하우스의 형제는 사라졌지만 예술과 이를 바탕으로 한 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디자인은 곧 대량 생산을 위한 원형 창조라고 여긴 바우하우스의 근대정신은 근대 조형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건축이든 예술 작품이든 디자인을 제대로 해내기 위해서는 동시대 사회의 성격을 파악하고 인식한 뒤 그것을 창조력과 결부시킬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지론은 현대 디자인 및 예술 교육의 바탕이 됐다. 또한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과 디자인 방법은 과거 문화에 연루되지 않고 현실 생활의 문제를 전향적인 자세로 해결했다는 점과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고루한 것은 과감하게 타파했다는 그 혁신성, 그리고 해로운 방식의 예술 작품을 세상에 선보였다는 사실 뿐 아니라 근대인의 감수성과 제작수단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시키고 근대 사회에서 기본적인 예술의 양태를 확정했다는 점은 오늘날까지 높게 평가되고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4.08.2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9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