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방의제21 추진활성화를 위한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지방의제21 추진활성화를 위한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방의제 21'의 의미와 외국도시의 사례.
1. '의제 21'이란?
2. '지방의제 21'이란?
3. 외국도시의 '지방의제 21'.
1) 에드몬톤(Edmonton), Canada
2) 시애틀
3) 로테즈 , 스코트랜드

Ⅲ. 한국의 '지방의제 21'.
1. 한국 '지방의제 21'의 상황.
2. 지방의제 21의 문제점.
1) 작성과정의 문제점
2) 실천과정의 문제점
3. '맑고 푸른 대구 21' 추진.
4. 지방의제 21의 추진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
1) 교육·홍보의 강화
2)지방의제 21 정보 네트워크 구축
3)각 실천주체의 역할 재정립
4)지방의제 21 행동계획의 계량화
5)참신한 사업의 발굴
6)협조체제 구축
7)집행체제 구축

Ⅳ. 결론

본문내용

추진과 함께 사용되어져 오고 있었다.
나는 이 글에서 리우회의에서의 \'의제21\'에 따른 \'지방의제 21\' 중에서도 특히 \'한국 지방의제 21\'의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것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그에 앞서, 나는 의제 21, 지방의제 21이란 무엇이며 외국도시의 \'지방의제 21\'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 지는지 그것의 성공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지방의제 21\'의 의미와 외국도시의 사례.
1. \'의제 21\'이란?
우리에게 아직도 낯선 용어인 \'의제 21\'은 \'지구정상회의\'로 불리는 1992년 6월 브라질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 회의(UNCED)\'가 지구환경보전에 관한 기본 원칙으로 채택한 \'리우 선언\'에 대한 세부실천계획이다. \'의제 21\'이란 21세기를 위한 인류의 논의과제란 의미이다.
의제 21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성취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300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자연 경관과 기후를 포함한 모든 환경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기본욕구·건강·부양·노동·기동성·에너지·지식 및 정보통신 등 매우 다양하며, 실천을 위한 행동주체도 국가기구뿐만 아니라 비정부기구들을 망라하고 있다. 행동영역 역시 범세계적 차원에서 국민국가적 차원 및 국지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의제 21은 종종 일종의 녹색환경문서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환경문서가 아니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가져오는 근본적인 문제인 환경문제, 빈부격차의 심화문화, 노동의 불안정문제 등에 대한 대안제시를 주요과제로 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의제 21은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 범세계적 환경문제의 특징과 더불어 인구문제 기본욕구문제, 건강 및 식량문제, 노동문제, 자연 경관 및 기후문제, 교통, 에너지, 정보통신 등의 영역에서 지속 가능성의 실현방안을 범세계적인 시각에서 논의하고 있는데, 단순히 사변적인 이상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한 대안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2. \'지방의제 21\'이란?
지방의제 21은 의제 21을 실천하기 위하여 지구환경보호 및 도시 환경 보전을 위한 행동원칙을 세우고 행동목표를 정하여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세우는 것으로서, 자치 단체 주요 그룹이 함께 만드는 환경관리계획이다. 다시 말해서, 지구환경의 위기상황이 잘못된 도시화에서 비롯하였음에 인식을 같이하고 전세계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일시에 행동을 취함으로써 도시환경보전과 지구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방의제 21은 시민운동, 환경계획 및 환경보고서의 세가지 차원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이해가 쉽지 않다. 즉, 지방의제 21은 지구환경시대의 새로운 시민운동이며 기존의 계획개념과 다른 새로운 공간환경계획이고 세계화시대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새로운 환경보고서이다. 시민운동으로써 지방의제 21은 추진의 대상이 되는 것이며 환경보고서로서의 지방의제 21은 작성의 대상이 된다.
3. 외국도시의 \'지방의제 21\'.
1) 에드몬톤(Edmonton), Canada
에드몬톤은 인구 625,000명이며, 700㎢의 도시로 경제활동은 농업, 석우산업, 제조업이다. 도시 50㎞ 북쪽에 위치한 산의 빙하로부터 발원한 총길이 60㎞에 이르는 사스카츠완강이 도시를 관통하면서 이 지역에 식수를 공급한다. \'지방의제 21\'의 명칭은 River Water Quality Task Force이며 이 강의 수질을 관리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1995년 에드몬톤 시의회의 권유로 강의 수질관리를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수질관리위원회는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하여 8개월동안 지속적인 워크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8.2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