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
2. 성격과 생활
3. 주요 업적
4. 노벨상 제정 이유
※ 참고
노벨상에 수학이 빠진 이유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4년에 한번 시상”
2. 성격과 생활
3. 주요 업적
4. 노벨상 제정 이유
※ 참고
노벨상에 수학이 빠진 이유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4년에 한번 시상”
본문내용
책을 쓴 베르타 폰 슈트너와의 우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발명가이자 기술자였던 노벨은 과학상은 반드시 '발명이나 발견'을 통해 '실질적인 인류 복지'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당시 학문의 성격상 수학을 실용 분야가 아닌 것으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물리만 보더라도 이론보다 실험 분야에서 휠씬 많은 수상자를 배출해 왔다.
이밖에도 노벨과 미타그레플러의 관계가 노벨 수학상의 부재와 무관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설명들이 있다. 노벨은 스웨덴 한림원의 멤버였지만 스웨덴의 학계와는 별로 교류가 없었다. 결국 둘 사이에 어떠한 적대 감정이 존재했으리라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미타그레플러는 노벨이 사망하기 전 노벨 재산의 상당 몫을 호그스콜라의 기금으로 유치하려고 힘썼다. 만일 두 사람 사이에 응어리가 있었다면 이것이 가능했을까. 노벨은 유언장을 두번 작성했다. 세상을 떠나기 3년 전 작성된 첫번째 유언에는 호그스콜라가 다른 대상들과 함께 상속에 포함돼 있었다. 이는 미타그레플러의 노력의 결실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두번째 유언에서 노벨의 유산은 전부 노벨상에 기증돼 그의 노력은 무산됐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미타그레플러는 노벨상에 수학이 제외된 것과 관련해 수학계의 비난을 샀다. 많은 수학자들이 노벨 수학상이 없다는데 불만을 품었고, 그때마다 노벨과 미타그레플러의 관계가 이야기되곤 했다. 하지만 현대 수학의 역사를 볼 때 미타그레플러는 필즈상을 만든 존 찰스 필즈(1863-1932)와 다년 간의 우정을 통해 이러한 수학계의 불만을 해소하는데 일조를 했다는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밖에도 노벨과 미타그레플러의 관계가 노벨 수학상의 부재와 무관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설명들이 있다. 노벨은 스웨덴 한림원의 멤버였지만 스웨덴의 학계와는 별로 교류가 없었다. 결국 둘 사이에 어떠한 적대 감정이 존재했으리라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미타그레플러는 노벨이 사망하기 전 노벨 재산의 상당 몫을 호그스콜라의 기금으로 유치하려고 힘썼다. 만일 두 사람 사이에 응어리가 있었다면 이것이 가능했을까. 노벨은 유언장을 두번 작성했다. 세상을 떠나기 3년 전 작성된 첫번째 유언에는 호그스콜라가 다른 대상들과 함께 상속에 포함돼 있었다. 이는 미타그레플러의 노력의 결실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두번째 유언에서 노벨의 유산은 전부 노벨상에 기증돼 그의 노력은 무산됐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미타그레플러는 노벨상에 수학이 제외된 것과 관련해 수학계의 비난을 샀다. 많은 수학자들이 노벨 수학상이 없다는데 불만을 품었고, 그때마다 노벨과 미타그레플러의 관계가 이야기되곤 했다. 하지만 현대 수학의 역사를 볼 때 미타그레플러는 필즈상을 만든 존 찰스 필즈(1863-1932)와 다년 간의 우정을 통해 이러한 수학계의 불만을 해소하는데 일조를 했다는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