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I. 서 론
Ⅱ. 이 슈 1
- 정치적 갈등과 협력 : 핵위기를 중심으로
Ⅲ. 이 슈 2
- 경제적 갈등과 협력 : 남북경협을 중심으로
Ⅳ. 이 슈 3
- 사회문화적 갈등과 협력 : 남북문화교류를 중심으로
Ⅴ. 결 론
- 통일에 관한 방안
Ⅱ. 이 슈 1
- 정치적 갈등과 협력 : 핵위기를 중심으로
Ⅲ. 이 슈 2
- 경제적 갈등과 협력 : 남북경협을 중심으로
Ⅳ. 이 슈 3
- 사회문화적 갈등과 협력 : 남북문화교류를 중심으로
Ⅴ. 결 론
- 통일에 관한 방안
본문내용
N의 권위가 다시 추락한다면-전쟁을 막을 방법은 국제기구 차원에서는 전무할 것이다.
3) Status Quo
Status Quo는 북한체제가 장기간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상황을 가정한다. 따라서 국제기구의 역할은 현재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다는 차원에서, 적극적 역할보다는 중재자적인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 현재 북한은 인권, 식량, 환경 등의 분야에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국제기구의 개입을 완강하게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Human Right Watch나 국제 Amnesty의 연례 보고서에서 보여지듯, 국제사회의 인도적인 개입 없이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북한 당국의 비인도적인 조치는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현 상황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개입이 요구된다.
북한 주민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 문제이다. 1996년 이후 수년간 지속되었던, 북한의 식량위기는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갔고, 북한체제의 위기와 함께 동북아 지역 안보에도 위기감을 조성했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북한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도록 국제기구가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인권, 식량, 환경 등의 소위 비전통적인 안보 분야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북한은 그 체제의 특성상 정부간 기구 보다는 비정부간 기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비전통적 안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GO들의 개입은 그 실효성 면에서 큰 성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NGO들의 개입은 북한 내의 인도적 문제해결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의 장래는 오늘 우리가 도전에 어떻게 대처하고, 주어진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우리는 중대한 전화기에 놓여 있기에,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좁혀야한다. 모든 나라가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해야 하고, 또 할 수 있는 것은 각국의 이기적 정책을 우리에게 유도하고 도움이 되도록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참고문헌
평양조선중앙통신. 2002. “북, 영변 원자로 정상가동” 『연합뉴스』(10월 3일)
Barbara Slavin. 2003. “North Korea pulls out of non-nuclear treaty”, 『USA Today』,(4월 9일)
임을출. 2003. “북-미 충돌, 째깍째깍”『한겨레 21』(9월 11일)
2003. “핵위기에도 일정대로 북 경제개혁 추진” 『연합뉴스』(7월 17일)
베이징 특별팀. 2003. “6자회담 北, 기조발언문 요지”『중앙일보』 (8월 29일),
최원기. 2003. “北, 시간 벌기 나서면 美 인내심 바닥날 것”『중앙일보』(8월 29일)
안준현. 2003. "美, 北-中합의 환영“『한국일보』(11월 1일),
김승련. 2002. “[北核 10Q10A]체제 유지 모험…‘안전한 한반도’ 위협”『동아일보』(12월 25일)
정옥임. 『北核 588日! : 클린턴 行政府의 對應과 戰略』(서울 : 서울프레스 1995)
한국정치학회.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 : 남북한 관계와 미일중러』(서울 : 중앙M&B 2003)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편. 『남북협력시대의 통일론』(서울 : 흥사단출판부. 2001)
심의섭, 이요섭. 『남북경협 포커스』(서울 : 연암사. 2003)
조찬래 외. 『남북한통합론』(서울 : 대왕사. 1998)
최신림, 이석기. 『남북한 경제 협력 방안』.(서울: 을유문화사, 2000.)
정주권. 2000. “남북 경협 그간 무엇이 문제였나?” <경남대 극동연 정책보고서> 00-05
문준조. 『남북경제교류의 민족 내부 거래성과 대우문제』,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02.)
조동호. 『남북경협 성과의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1.)
김연철. “남북 정상회담과 경제협력”,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제249호), 2000
고일동 편. 『남북한 경제통합의 새로운 접근방법』(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1997)
통일원. ‘남북기본합의서’ 해설. 1992
박기안. “남북균형발전과 경제교류 협력방안.”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283-350
한국사회학회 편. “민족통일과 사회통합-독일의 경험과 한국의 미래-” 한독특별심포지엄 발표논문 1999. 12
조한범. 『NGOs를 통한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증진방안 연구』(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1998)
박덕기. 『NGO와 남북한 평화 통일론』(서울: 청문각. 2002)
도흥렬. “남북한 주민의식과 사회통합 전망,”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110-136
이원봉. “남북한 사회문화적 갈등구조와 사회통합의 방향.”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138-176
박성조. 『독일 통일의 과정과 교훈』(서울: 통일연수원, 1992)
통일원. 『통일독일 3년 현황과 전망』(서울 : 통일원. 1994)
박기덕, 이종석 외. 『남북한체제비교와 통합모델의 모색』 (서울 : 세종연구소 1995)
유영옥. 『한반도 통일정책론』(서울 : 학문사 1996)
이온죽 외. 『남북한 사회통합론』(서울: 삶과 꿈. 1997)
한승주. 『남과 북 그리고 세계 : 한승주 교수 정치외교 칼럼집』(서울: 나남출판사. 2000)
www.unikorea.go.kr (검색일: 2003년 12월 6일)
Kongdan Oh and Ralph C. Hassig, 2003, "The Day After - North Korea: The Hardest Nut", http://www.foreignpolicy.com/story/story.php?storyID=13944 (검색일:2003. 12. 06.)
http://www.unikorea21.net, http://www.minjok.biz (검색일: 2003. 12. 06.)
http://news.joins.com/opinion (검색일: 2003. 12. 06.)
3) Status Quo
Status Quo는 북한체제가 장기간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상황을 가정한다. 따라서 국제기구의 역할은 현재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다는 차원에서, 적극적 역할보다는 중재자적인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 현재 북한은 인권, 식량, 환경 등의 분야에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국제기구의 개입을 완강하게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Human Right Watch나 국제 Amnesty의 연례 보고서에서 보여지듯, 국제사회의 인도적인 개입 없이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북한 당국의 비인도적인 조치는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현 상황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개입이 요구된다.
북한 주민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 문제이다. 1996년 이후 수년간 지속되었던, 북한의 식량위기는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갔고, 북한체제의 위기와 함께 동북아 지역 안보에도 위기감을 조성했다. 한편,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북한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도록 국제기구가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인권, 식량, 환경 등의 소위 비전통적인 안보 분야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북한은 그 체제의 특성상 정부간 기구 보다는 비정부간 기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비전통적 안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GO들의 개입은 그 실효성 면에서 큰 성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NGO들의 개입은 북한 내의 인도적 문제해결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의 장래는 오늘 우리가 도전에 어떻게 대처하고, 주어진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우리는 중대한 전화기에 놓여 있기에,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좁혀야한다. 모든 나라가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가 해야 하고, 또 할 수 있는 것은 각국의 이기적 정책을 우리에게 유도하고 도움이 되도록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참고문헌
평양조선중앙통신. 2002. “북, 영변 원자로 정상가동” 『연합뉴스』(10월 3일)
Barbara Slavin. 2003. “North Korea pulls out of non-nuclear treaty”, 『USA Today』,(4월 9일)
임을출. 2003. “북-미 충돌, 째깍째깍”『한겨레 21』(9월 11일)
2003. “핵위기에도 일정대로 북 경제개혁 추진” 『연합뉴스』(7월 17일)
베이징 특별팀. 2003. “6자회담 北, 기조발언문 요지”『중앙일보』 (8월 29일),
최원기. 2003. “北, 시간 벌기 나서면 美 인내심 바닥날 것”『중앙일보』(8월 29일)
안준현. 2003. "美, 北-中합의 환영“『한국일보』(11월 1일),
김승련. 2002. “[北核 10Q10A]체제 유지 모험…‘안전한 한반도’ 위협”『동아일보』(12월 25일)
정옥임. 『北核 588日! : 클린턴 行政府의 對應과 戰略』(서울 : 서울프레스 1995)
한국정치학회.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 : 남북한 관계와 미일중러』(서울 : 중앙M&B 2003)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편. 『남북협력시대의 통일론』(서울 : 흥사단출판부. 2001)
심의섭, 이요섭. 『남북경협 포커스』(서울 : 연암사. 2003)
조찬래 외. 『남북한통합론』(서울 : 대왕사. 1998)
최신림, 이석기. 『남북한 경제 협력 방안』.(서울: 을유문화사, 2000.)
정주권. 2000. “남북 경협 그간 무엇이 문제였나?” <경남대 극동연 정책보고서> 00-05
문준조. 『남북경제교류의 민족 내부 거래성과 대우문제』,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02.)
조동호. 『남북경협 성과의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01.)
김연철. “남북 정상회담과 경제협력”,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제249호), 2000
고일동 편. 『남북한 경제통합의 새로운 접근방법』(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1997)
통일원. ‘남북기본합의서’ 해설. 1992
박기안. “남북균형발전과 경제교류 협력방안.”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283-350
한국사회학회 편. “민족통일과 사회통합-독일의 경험과 한국의 미래-” 한독특별심포지엄 발표논문 1999. 12
조한범. 『NGOs를 통한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 증진방안 연구』(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1998)
박덕기. 『NGO와 남북한 평화 통일론』(서울: 청문각. 2002)
도흥렬. “남북한 주민의식과 사회통합 전망,”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110-136
이원봉. “남북한 사회문화적 갈등구조와 사회통합의 방향.” 아태지역연구원 편. 『남북한 통합의 이론과 실제』(서울: 경희대학교 아태지역연구원. 2001) p138-176
박성조. 『독일 통일의 과정과 교훈』(서울: 통일연수원, 1992)
통일원. 『통일독일 3년 현황과 전망』(서울 : 통일원. 1994)
박기덕, 이종석 외. 『남북한체제비교와 통합모델의 모색』 (서울 : 세종연구소 1995)
유영옥. 『한반도 통일정책론』(서울 : 학문사 1996)
이온죽 외. 『남북한 사회통합론』(서울: 삶과 꿈. 1997)
한승주. 『남과 북 그리고 세계 : 한승주 교수 정치외교 칼럼집』(서울: 나남출판사. 2000)
www.unikorea.go.kr (검색일: 2003년 12월 6일)
Kongdan Oh and Ralph C. Hassig, 2003, "The Day After - North Korea: The Hardest Nut", http://www.foreignpolicy.com/story/story.php?storyID=13944 (검색일:2003. 12. 06.)
http://www.unikorea21.net, http://www.minjok.biz (검색일: 2003. 12. 06.)
http://news.joins.com/opinion (검색일: 2003. 12. 06.)
추천자료
- 북한의 권력과 정치체제 환경변화
- ‘민주건설기’(1945-1950)에 창작된 북한 시 전문을 찾아 옮겨 쓰고, 이 시기에 형성된 북한 ...
- 북한핵실험이 주변국가에 미치는 파장의 국제법적 고찰
- 북한 핵문제와 미국
- 북한의 대미 협상방식과 성과<1993년 회담사례를 분석>
- [한중외교][한국과 중국 외교관계][북중외교][북한과 중국 외교관계][미중외교][미국과 중국 ...
- 북한지리 - 자강도 (慈江道)
- [평화교육][시민단체][통일교육][갈등예방문화]평화교육의 의미, 평화교육의 기본원리, 평화...
- 영유아교사론3D) 영유아교육기관의 갈등관리 개념, 보육&#9642;교육활동에 긍정적인 작용...
- [통일][민족통일][교육][북한][남북회담][38선][휴전선]통일(민족통일)의 논리, 통일(민족통...
- [인권문제, 한국, 북한, 러시아, 대만(타이완), 나이지리아]한국의 인권문제, 북한의 인권문...
- 북한의 스포츠
- 북한 연구 [사회주의 공산주의 기본 원리 마르크스 레닌주의 주체사상 소련 공산주의 역사 사...
- 북한 공산주의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