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악기와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본문내용

침으로써 시작과 끝맺음을 지휘하는 법과 궁중 정재, 즉 춤을 출 때 춤사위와 방위의 변화를 지휘하는 법만이 남아 있다. 춤의 변화를 지시할 때는 한 장단의 중간 박에서 박을 쳐준다.
장고
나무통에다 가죽을 씌워서 만든 북 종류의 하나로 리듬 악기로서 가장 널리 쓰인다. 장고는 오른 손에 장, 즉 채를 들고 치는 북이라는 의미이나 허리가 가늘다하여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왼쪽 가죽은 두꺼워 낮은 음이 나고, 오른쪽 가죽은 얇아서 높은 음이 난다.
삼국 시대부터 있었으며, 과거에는 물론 현재도 이 장고의 구실은 참으로 크다. 관현합주, 가곡, 가사, 시조, 잡가, 민요, 무악, 산조, 농악 등 우리 나라의 각종 음악과 놀이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어떤 악기보다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고려 때부터 아악에 주로 사용하였다.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데 사용하며 나무로 짠 네모난 상자의 윗면 중앙에 꽂아놓은 나무 방망이를 내려쳐서 소리를 내는데 시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나무통을 내려쳐서 소리내기 때문에 '딱딱'하는 식의 둔탁하고 단순한 소리가 난다.
나무 네모진 상자 모양으로 짜고, 그 뚜껑 위에 구멍을 뚫고, 구멍 속에 방망이를 꽂아 두고 푸른색을 칠하며 동쪽에 놓는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된다.
자바라
제금(提金), 발이라고도 하였다. 고려 인종(仁宗)때 서긍(徐兢)의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나오는 요발도 이 종류의 악기이며, 절에서 쓰는 동발, 향악무에 쓰이는 향발도 크기만 다를 뿐, 같은 종류에 든다. 서양의 '심벌즈'와 같이 양손에 하나씩 들고 맞부딪쳐서 소리낸다. 대취타, 무악, 춤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불교의식 무용인 '작법(作法)'중 바라를 들고 추는 '바라춤'에서의 이 바라라는 악기의 연주모습과 그 소리는 일품이다.
소리북
소리 반주에 쓰이는 북을 말하며, 일명'고장북'이라 한다. 바닥에 편히 앉은 자세에서 소리북을 세로로 놓고 왼손으로 북을 살짝 쳐서 잡은 다음 박달나무를 깎아서 만든 단단한 나무채를 오른손에 들고 북면과 북통을 소리낸다.
나무로 만든 북통에 흰가죽을 씌우고, 통양쪽에 가죽을 갖다대서 만들며 북통의 양가장자리를 삥 돌아가면서 양쪽북면의 가죽을 쇠단추로 박아 고정시켰다.

조선조 성종때 지은'악학궤범'이라는 책에 소개되어 있으나, 그 당시도 이 악기는 쓰이지 않았다.
가죽 북 하나를 긴 장대에 꿰어 매단 2면북이다.
현재에는 쓰이지 않는다.
소고
지방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조금씩 다른데 조금 큰 '법고' 혹은 '벅구'라는 악기가 있었으며 소고는 다른 이름으로 매구북이라고 한다.
왼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오른손에 든 단단한 나무채로 북면을 쳐서 소리낸다.
가죽 원래는 개가죽을 많이 썼으나, 지금은 쇠가죽을 쓰고 있다. 작고 얇은 북통의 양면에 가죽을 씌우고 그 북통에 손잡이를 달아서 만든다.
풍물놀이, 농악, 민속무에 주로 사용된다.
방향
6세기 중국 양나라 시대에 기원한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12세기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한다. 쇠가 울려서 소리난다는 뜻에서 '철향(鐵響)'이라는 다른 이름도 쓴다. 고려 문종 30년(1076)에 방향업사(方響業師)가 있었으며, 조선조 세종 때 우리 나라에서 직접 만들어 썼다는 기록이 있다.
16개의 쇳조각을 상단에 8개, 하단에 8개씩 각각 매달아 놓고 소뿔로 만든 '각퇴'로 쳐서 소리낸다.
금(金)-쇠붙이 16매의 철판의 크기는 같고, 살이 두꺼우면 음이 높고, 얇으면 음이 낮다 철편의 세로 6cm, 철편의 가로 17.3cm, 전체높이 182.5cm, 가로대의 길이 153cm, 받침대의 길이 63.5cm, 받침대의 높이 30cm이다.
종묘제례악, 행진악인 행악, 당악계와 고취(鼓吹)계의 음악에 사용한다.
운라
수입될 당시부터 운라라 불렀으며, 한자어로 라는 금속으로 된 꽹가리 종류를 지칭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운오, 구운라라고도 한다.
받침대에 고정시켜서 연주할 수도 있고, 빼들고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로폰 소리를 연상시키는 맑고 영롱한 소리를 내며 7음 음계로 조율되면 한 옥타브 반 정도의 음역을 가지고 있다. 놋접시 모양의 작은 징 10개를 틀에 매달고 작은 망치로 하나하나를 때려서 소리낸다.
금(金)-쇠붙이 놋접시 모양으로 된 10개의 작은 징을 틀에 매달아 만든다. 작은 징의 지름 11cm이다. (개량 운라의 지름은 10.4cm이다. 개량 운라는 작은 징이 17개이다.)
취타(吹打)에 사용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