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증폭기 실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목적

2. 참고 사항

3. 참고 자료

본문내용

2h_ie = 2{beta}r_e
로 일반적으로 수 [
k OMEGA
]을 가진다.
그림 4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면 입력 저항을 더 높게 할 수가 있으며, (a)에서는
R_i = 4h_fe h_ie = 4{beta}^2 r_e
이고, (b)에서는
R_i = 2(h_ie + h_fe R_e ) = 2{beta}(r_e + R_e )
이다.
(a) (b)
[그림 4] 고입력 저항 회로
5) 출력 저항
이상적인 차동 증폭기에서 출력 저항은 0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1의 (b)와 그림 4의 회로에서 이 출력 저항을 상당히 낮추려면 그림 5와 같은 이미터 follower 회로를 채택해야 한다.
출력 저항
R_e

R_o = R_c over beta
[그림 5] 낮은 출력 저항을 가지는 차동 증폭기
6) 동상 신호 성분의 제거
CMRR을 개선하려면
A_d
를 크게하고,
A_c
를 작게 하면 좋다.
A_c

R_E
의 실효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다. 정전류원은
R_E
가 큰 값이 되도록 하면서
I_E
의 직류 바이어스 값을 설정하여 준다.
제너 다이오드 전압,
V_z
에 따른 정전류
I_E
와 트랜지스터 출력 저항
h_oe
에 따라 정해지는 유효 저항
R_E
(
R_E = 1/h_oe
)가 있는 정전류원 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6(b)]
(a) (b)
[그림 6] CMRR를 크게 하기 위한 정전류원 회로
3. 참고 자료
전자공학 (이수원, 구기준, 임영근, 이영노 공저) - 학문당; 341-350p.
전자공학의 기초 (이영근 저) - 광림사; 601-620p.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9.12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