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참고 사항
3. 참고 자료
2. 참고 사항
3. 참고 자료
본문내용
2h_ie = 2{beta}r_e
로 일반적으로 수 [
k OMEGA
]을 가진다.
그림 4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면 입력 저항을 더 높게 할 수가 있으며, (a)에서는
R_i = 4h_fe h_ie = 4{beta}^2 r_e
이고, (b)에서는
R_i = 2(h_ie + h_fe R_e ) = 2{beta}(r_e + R_e )
이다.
(a) (b)
[그림 4] 고입력 저항 회로
5) 출력 저항
이상적인 차동 증폭기에서 출력 저항은 0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1의 (b)와 그림 4의 회로에서 이 출력 저항을 상당히 낮추려면 그림 5와 같은 이미터 follower 회로를 채택해야 한다.
출력 저항
R_e
는
R_o = R_c over beta
[그림 5] 낮은 출력 저항을 가지는 차동 증폭기
6) 동상 신호 성분의 제거
CMRR을 개선하려면
A_d
를 크게하고,
A_c
를 작게 하면 좋다.
A_c
는
R_E
의 실효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다. 정전류원은
R_E
가 큰 값이 되도록 하면서
I_E
의 직류 바이어스 값을 설정하여 준다.
제너 다이오드 전압,
V_z
에 따른 정전류
I_E
와 트랜지스터 출력 저항
h_oe
에 따라 정해지는 유효 저항
R_E
(
R_E = 1/h_oe
)가 있는 정전류원 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6(b)]
(a) (b)
[그림 6] CMRR를 크게 하기 위한 정전류원 회로
3. 참고 자료
전자공학 (이수원, 구기준, 임영근, 이영노 공저) - 학문당; 341-350p.
전자공학의 기초 (이영근 저) - 광림사; 601-620p.
로 일반적으로 수 [
k OMEGA
]을 가진다.
그림 4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면 입력 저항을 더 높게 할 수가 있으며, (a)에서는
R_i = 4h_fe h_ie = 4{beta}^2 r_e
이고, (b)에서는
R_i = 2(h_ie + h_fe R_e ) = 2{beta}(r_e + R_e )
이다.
(a) (b)
[그림 4] 고입력 저항 회로
5) 출력 저항
이상적인 차동 증폭기에서 출력 저항은 0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1의 (b)와 그림 4의 회로에서 이 출력 저항을 상당히 낮추려면 그림 5와 같은 이미터 follower 회로를 채택해야 한다.
출력 저항
R_e
는
R_o = R_c over beta
[그림 5] 낮은 출력 저항을 가지는 차동 증폭기
6) 동상 신호 성분의 제거
CMRR을 개선하려면
A_d
를 크게하고,
A_c
를 작게 하면 좋다.
A_c
는
R_E
의 실효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줄일 수 있다. 정전류원은
R_E
가 큰 값이 되도록 하면서
I_E
의 직류 바이어스 값을 설정하여 준다.
제너 다이오드 전압,
V_z
에 따른 정전류
I_E
와 트랜지스터 출력 저항
h_oe
에 따라 정해지는 유효 저항
R_E
(
R_E = 1/h_oe
)가 있는 정전류원 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6(b)]
(a) (b)
[그림 6] CMRR를 크게 하기 위한 정전류원 회로
3. 참고 자료
전자공학 (이수원, 구기준, 임영근, 이영노 공저) - 학문당; 341-350p.
전자공학의 기초 (이영근 저) - 광림사; 601-620p.
추천자료
[공과대]-공통증폭기 실험 레포트
MOSFET이 saturation영역에 있을때 증폭기로 사용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연산 증폭기(OP Amp) 특성 실험
결과-광섬유 증폭기 및 레이저 실험
p-spice를 이용한 MOS 증폭기 실험
OP AMP(연산증폭기)의 특성
연산 증폭기 (OP Amp) 예비보고서
[전자회로실험] BJT 증폭기의 DC 바이어스 예비보고서
실험(3) 예비 3-12,13전압분배 바이어스 공통 콜렉터,베이스 증폭기
실험(3)_결과_3-16 공통소스 JFET 증폭기
기초회로실험 예비 리포트 op-amp 증폭실험
전자물리 전치증폭기
전자공학실험2 4장 2009037406 최광호
전자회로실험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