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수술 환자의 전신마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마취전 환자평가

2. 마취전투약

3. 마취약제

4. 자가진정통증조절법(Patient-controlled sedation and analgesia, PCSA)

5. 마취관리

6. 마취회복실(postanesthesia care unit, PACU)에서의 환자관리

본문내용

부터 오는 구심성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기도 감각이 저하되기 때문에 흡인성 폐렴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얕은 전신마취에서는 인두 자극으로 수술중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출혈이 발생하면 환자가 대부분 삼키게 되고 오심 및 구토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마취에서 각성되기 전에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내용물을 흡인하면 도움이 된다. 기관내 튜브 발관후 삼킨 혈액의 폐흡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관내 튜브의 발관은 환자의 방어적 기도반사가 돌아온 후에 시행되어야 한다. 편도절제술 후 출혈이 있는 환자는 삼킨 혈액이 폐로 흡인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회복실에서 환자는 경도의 하지거상 자세에서 옆으로 눕힌 상태로 관찰하여야 한다. 출혈로 인하여 재수술을 시행할 경우 마취유도 중 심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5) 머리 및 목 수술 마취관리
두경부의 암수술을 받을 환자들은 장기간의 과도한 흡연과 음주력이 있고 폐 및 간기능부전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후두절제술을 받을 환자 중 일부는 두경부 방사선치료로 인하여 후두개 섬유화, 후두 부종, 개구장애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후두 및 구인두의 종괴로 인하여 부분적인 기도폐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도확보가 중요하며,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각성하 기관내 삽관 또는 기관절개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6. 마취회복실(postanesthesia care unit, PACU)에서의 환자관리
1) 저산소혈증
전신마취로부터 환자가 깨어날 때에는 환자의 산소화(산소포화도) 및 환기상태(호흡수, 기도유지), 순환상태(심전도, 혈압, 맥박)를 집중 감시하여야 한다.
마취후 초래될 수 있는 가장 흔한 합병증은 저산소혈증이며 그 원인으로는 기도폐쇄, 후두경련, 기도내 분비물 저류, 흡입마취제 또는 근육이완제의 잔류효과 등에 의한 저환기, 환기관류 불균형, 심박출량의 감소, 산소소모량의 증가 등이 있다. 수술 종류나 기간에 상관없이 수술후 환자들은 모두 안면 마스크를 통하여 산소를 최소한 30-35% 농도로 투여 받아야 한다. 흡입가스는 가습기를 통하여 가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기도가 과민한 경우에는 반드시 흡입가스를 가습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맥박산소계측기로 동맥혈 헤모글로빈 산소포화도를 감시하면 PaO2의 감소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산소 투여에도 불구하고 저산소혈증이 계속된다면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여야 한다.
2) 기도폐쇄
마취후에 의식이 명료하지 못한 환자들은 혀가 구강 뒤로 쳐져서 기도폐쇄가 흔히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지만 후두경련 혹은 상기도 손상에 인한 부종으로 인하여 후두폐쇄가 발생할 수도 있다. 마취유도시 기관내 삽관이 힘들었던 경우에는 기관내 튜브를 유지한 채 환자를 회복실로 옮긴 후, 완전히 각성되고 자발호흡이 충분한 것을 확인하고 발관하여야 한다. 기관내 튜브를 발관할 때에는 반드시 재삽관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하며, 기관내 튜브에서 기낭의 공기를 뺀 후 튜브 구멍을 손으로 막았을 때 튜브 주위의 기도 공간을 통하여 환자가 호흡을 할 수 없으면 발관 후에 기도폐쇄가 발생한 가능성이 높다.
3) 퇴실 기준
① 활력징후가 안정되어야 한다.
② 의식상태가 수술전 수준으로 회복되어야 한다.
③ 수술후 통증이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④ 수술후 발생한 여러 합병증에 대한 처치가 모두 끝나야 한다.
⑤ 오심과 구토에 대하여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⑥ 유출관(drain)과 튜브가 적절히 작동하여야 한다.
⑦ 수술부위의 출혈에 대한 처치를 시행하였거나 출혈이 멈추어야 한다.
⑧ 수술후 의사 처치 지시가 적절히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⑨ 필요한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1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