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2. 화상 정보 서비스 2
2.1 영상 회의 시스템 4
2.2 영상 전화 5
2.3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5
3. 영상 압축기술 5
3.1 프레임 내 부호화 6
3.1.1 예측 부호화 6
3.1.2 변환 부호화 6
3.1.3 대역 분할 부호화 7
3.2 프레임 간 부호화 8
3.2.1 움직임 변위 추정 9
3.2.2 움직임 변위 추정 후의 압축 부호화 9
3.3 영상 압축 기술의 표준화 동향 10
4. 패킷 영상 11
4.1 패킷망에서의 영상 전송의 문제점 12
4.2 패킷 지터하에서의 클록 동기 재생 12
- -
2. 화상 정보 서비스 2
2.1 영상 회의 시스템 4
2.2 영상 전화 5
2.3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5
3. 영상 압축기술 5
3.1 프레임 내 부호화 6
3.1.1 예측 부호화 6
3.1.2 변환 부호화 6
3.1.3 대역 분할 부호화 7
3.2 프레임 간 부호화 8
3.2.1 움직임 변위 추정 9
3.2.2 움직임 변위 추정 후의 압축 부호화 9
3.3 영상 압축 기술의 표준화 동향 10
4. 패킷 영상 11
4.1 패킷망에서의 영상 전송의 문제점 12
4.2 패킷 지터하에서의 클록 동기 재생 12
- -
본문내용
난다.
영상은 약 30프레임/초의 속도로 매우 빠르게 제공되기 때문에 프레임 간의 연속된 변화는 사람의 눈에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장면으로 보인다. 영상화면은 공간 및 시간영역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데, 공간영역 정보는 각 프레임 내에서 제공되고, 시간영역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시된 영상, 즉 프레임 간에 존재하는 변화로 제공된다.
디지탈 영상 시스템에서 영상의 각 프레임은 “화소”(pixel) 단위로 표본화된다. 화소의 밝기를 나타내는 표본값은 흑백 영상의 경우 화소당 8비트로 양자화된다. 컬러 영상에서 각 화소는 색채 정보, 예를들면 RGB(빨강, 초록, 파랑)를 나타내는 3개의 밝기 정보를 지니며 각각 8비트로 양자화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영상 정보는 그 정보량이 매우 방대하므로, 전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는 영상 압축(또는 부호화) 기술이 필요한데, 이는 주로 공간 및 시간 영역에서의 중복 정보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영역에서의 중복성은 한 프레임 내에서 인접한 화소 간에 그 변화 정도가 크지 않음에 기인하며, 시간영역에서의 중복성은 물체의 움직임이 프레임 간에 변화가 미세한 차이로 나타남에 기인한다. 공간영역의 중복성 제거 방법을 프레임 내 부호화라 하는데, 이는 크게 예측 부호화(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변환 부호화(transform coding), 대역 분할 부호화(subband coding)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시간 영역의 중복성은 프레임 간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이 방법에는 물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이를 보상하는 움직임 추정/보상 방법이 있다. 프레임 내 부호화 및 프레임 간 부호화에는 데이터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하여 손실없이 더 압축하는 줄길이 부호화(run-length coding),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등이 쓰이고 있다.
3.1 프레임 내 부호화
3.1.1 예측 부호화
예측 부호화는 가장 오래된 영상 압축 기법으로, 예측 부호화의 개념은 이웃 화소들로부터 현재의 화소를 예측할 경우, 그 예측 오차가 매우 적다는 데 있다. 예측 부호화 기법은 현재의 화소치와 예측된 값들의 차이(예측 오차)를 양자화한 다음 부호화하는데, 인접한 많은 화소를 이용하여 예측을 할 경우, 예측 오차를 줄여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그 복잡도에 비하여 장점이 크지 않으므로 예측에 사용되는 이웃 화소들의 숫자는 보통 4개 이하가 된다. 그림 3.1은 예측 부호화 기법을 나타낸 것이다.
예측 부호화에서 화질 열화의 종류에는 알갱이 잡음, 경사 과부화, 모서리 떨림 등이 있다. 알갱이 잡음은 양자화 계단의 크기가 너무 큼에 기인하고, 경사 과부하는 계단의 크기가 너무 작음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서로 상반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알갱이 잡음과 경사과부하는 영상 신호의 각 프레임 내에서 복원 영상에는 잡음과 물체의 경계 부분의 일그러 짐으로 나타난다. 영상 신호가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현시될
영상은 약 30프레임/초의 속도로 매우 빠르게 제공되기 때문에 프레임 간의 연속된 변화는 사람의 눈에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장면으로 보인다. 영상화면은 공간 및 시간영역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데, 공간영역 정보는 각 프레임 내에서 제공되고, 시간영역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시된 영상, 즉 프레임 간에 존재하는 변화로 제공된다.
디지탈 영상 시스템에서 영상의 각 프레임은 “화소”(pixel) 단위로 표본화된다. 화소의 밝기를 나타내는 표본값은 흑백 영상의 경우 화소당 8비트로 양자화된다. 컬러 영상에서 각 화소는 색채 정보, 예를들면 RGB(빨강, 초록, 파랑)를 나타내는 3개의 밝기 정보를 지니며 각각 8비트로 양자화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영상 정보는 그 정보량이 매우 방대하므로, 전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는 영상 압축(또는 부호화) 기술이 필요한데, 이는 주로 공간 및 시간 영역에서의 중복 정보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영역에서의 중복성은 한 프레임 내에서 인접한 화소 간에 그 변화 정도가 크지 않음에 기인하며, 시간영역에서의 중복성은 물체의 움직임이 프레임 간에 변화가 미세한 차이로 나타남에 기인한다. 공간영역의 중복성 제거 방법을 프레임 내 부호화라 하는데, 이는 크게 예측 부호화(DPCM: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변환 부호화(transform coding), 대역 분할 부호화(subband coding)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시간 영역의 중복성은 프레임 간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이 방법에는 물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이를 보상하는 움직임 추정/보상 방법이 있다. 프레임 내 부호화 및 프레임 간 부호화에는 데이터의 통계적 성질을 이용하여 손실없이 더 압축하는 줄길이 부호화(run-length coding),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등이 쓰이고 있다.
3.1 프레임 내 부호화
3.1.1 예측 부호화
예측 부호화는 가장 오래된 영상 압축 기법으로, 예측 부호화의 개념은 이웃 화소들로부터 현재의 화소를 예측할 경우, 그 예측 오차가 매우 적다는 데 있다. 예측 부호화 기법은 현재의 화소치와 예측된 값들의 차이(예측 오차)를 양자화한 다음 부호화하는데, 인접한 많은 화소를 이용하여 예측을 할 경우, 예측 오차를 줄여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그 복잡도에 비하여 장점이 크지 않으므로 예측에 사용되는 이웃 화소들의 숫자는 보통 4개 이하가 된다. 그림 3.1은 예측 부호화 기법을 나타낸 것이다.
예측 부호화에서 화질 열화의 종류에는 알갱이 잡음, 경사 과부화, 모서리 떨림 등이 있다. 알갱이 잡음은 양자화 계단의 크기가 너무 큼에 기인하고, 경사 과부하는 계단의 크기가 너무 작음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서로 상반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알갱이 잡음과 경사과부하는 영상 신호의 각 프레임 내에서 복원 영상에는 잡음과 물체의 경계 부분의 일그러 짐으로 나타난다. 영상 신호가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현시될
추천자료
[영상산업] 디지털 영상산업과 방송콘텐츠
광대역 통합망(BCN)의 모든 것
광대역 통합망 (BCN) 구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광대역 통합망 이란?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경영정보, mis]
[게임산업전략][영상산업전략][문화산업전략][BT산업전략][유통산업전략][E-비즈니스산업전략...
W-CDMA 광대역통신 조사내용입니다 07년 11월 12일 만듬.
[수출경쟁력, 문화콘텐츠산업, 문화컨텐츠산업, 방송영상]문화콘텐츠산업(문화컨텐츠산업)의 ...
[영상촬영, 영화촬영, 영상언어, 시각효과]영상촬영(영화촬영)의 정의, 영상촬영(영화촬영)의...
[MBC시사매거진2580, MBC시사매거진2580 제작과정, MBC시사매거진2580 영상기법]MBC시사매거...
[★★추천PPT★★, 게임시장, 게임산업, 한국, 일본]한국과 일본의 게임시장과 게임산업(게임산업...
디지털 영상 조사 (디지털영상이란?, 디지털영상의 활용분야, 디지털 영상의 표현, 디지털 영...
디지털영상 (디지털영상의 종류, 디지털영상을 이용한 사례, 의견)
[스피치커뮤니케이션 공통] 스피치커뮤니케이션의 기본 과정과 효과적 스피치의 요소를 기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