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 제1장 서 언
_ 제2장 청소년선도보호의 철학
_ 1. 청소년선도보호와 정의
_ 2. 청소년기의 중요성
_ 3. 좋은 책의 중요성
_ 4. 환경과 태도-감사하는 마음
_ 5. 적극적 사고방식
_ 제3장 결 언
_ 제2장 청소년선도보호의 철학
_ 1. 청소년선도보호와 정의
_ 2. 청소년기의 중요성
_ 3. 좋은 책의 중요성
_ 4. 환경과 태도-감사하는 마음
_ 5. 적극적 사고방식
_ 제3장 결 언
본문내용
저지르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身體障碍靑少年들이 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눈물겨운 노력을 하고 있는 동안 身體가 건강한 청소년들이 세상을 비관하고 비행으로 나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청소년들의 환경이 아무리 劣惡한다고 하더라도 우선 신체장애가 없고 건강하다면, 그것에 대하여 하늘에 감사하고 또 부[127] 모님께 고마와해야 되지 않을까? 환경이 불우하다고 하여 父母님을 원망하고 不平不滿 가운데 지낸다면, 자신의 마음만 아플 뿐이지 더 나아지는 것이 있을까? 부모를 원망하고 社會를 원망해 보아야 나아지는 것은 없고 자신의 마음만 아플 뿐이다. 또 環境이 좋다고 하여 다 행복하게 사는 것도 아니다. 환경이 좋은 가운데 지내는 사람도 교만하면, 그것을 자신의 공로인양 생각하고, 주위 사람들이 자신에게 더 잘해주지 않는다고 불평불만 가운데 살 수 있는 것이다. 또 環境이 나쁘다고 하여 다 불행하게 사는 것도 아니다. 비록 환경이 나쁘다고 하더라도 身體가 健康하며 최소한의 의식주가 주어지는데 대하여 하늘과 이웃에 感謝하는 가운데 밝고 기쁘게 더 나은 내일을 위하여 희망차게 노력하는 사람들이 수없이 많이 있는 것이다.
_ 우리 社會에서 가장 부족하고 그러면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덕목이 감사하는 마음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사람은 어른들이나 靑少年들이나 불만을 품는만큼 이웃에게 해를 끼치고 괴로움을 주는 반면에, 감사하는만큼 이웃과 사회에 유익을 주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얼마나 效果的으로 불만을 해소하고 그 대신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해 주는가에 역시 非行豫防의 관건이 달려 있다고 할 수있을 것이다.
_ 라. 또 靑少年들에게 부모님 내지는 어른들의 세계를 이해하여 보도록 요구한다면, 그것은 무리한 일일까? 어른들도 靑少年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마당에 청소년들에게 어른들을 이해하여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임에 틀림없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청소년들이 보기에 잘못 가르치는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청소년들이 그분들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어른들이라고 하여 완전한 존재일 수 없다는 것을 그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어른들도 그분들의 부모인 조부모님이나 그분들의 선생님들에게 배운 것을 능가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부모님세대들은 얼마나 어려운 環境 가운데 敎育을 받았으며, 또 얼마나 어려운 삶을 살아 왔던가? 일본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해방 후의 혼란, 6.25, 또 경제건설을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하였던 시대를 살지 않았던가? 오히려 청소년들이 그러한 부모님 세대를 이해하고 불쌍히 생각하며, 그분들의 노고에 보답할 마음을 가져야되지 않을까?
_ 英國의 시인 워즈워드는 "어린이는[128] 어른이 아버지"라고 노래하였다. 靑少年들에게 올바르게 생각하는 方法을 가르쳐줄 때, 오히려 세상의 때로 물들지 않은 순수한 인격의 所有者들인 그들이 어른들을 이해하는 것이 더 수월하지 않을까?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올바르게 생각하는 態度 내지 哲學을 確立하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적극적 思考方式
_ 마지막으로 靑少年들에게 심어주어야 할 哲學이 있다면, 그것은 적극적 思考方式이라고 생각한다. 착하고 바르게 사는 사람은 하늘이 돕고 땅이 보살핀다는 信念을 갖고 열심히 노력할 때, 누구나 잘 살 수 있다는 肯定的이고 積極的인 생각을 갖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찌기 精神醫學者인 칼메닝거 박사는 "태도는 사실보다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물이 반정도 들어 있는 컵을 받고, 어떤 사람은 겨우 물이 반밖에 없다고 불평할 수 있는데 반하여, 어떤 사람은 물이 반씩이나 있다고 기뻐하고 감사할 수 있다. 우리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 그 사실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의 태도인 것이다. 이 세상은 겉보기에는 不公平하고 모순에 차 있는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고, 겉보기와는 상관없이 人間은 누구나 노력한만큼 보람과 행복을 누리는 것이다. 하늘과 땅은 어느 사람이든 그가 뿌린만큼의 행복을 거두게 해준다는 점에서 이 세상은 공평한 것이며 열심히 노력할 價値가 있는 세상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 할 것이다. 靑少年들에게 나도 잘할 수 있고, 또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신념을 심어 줄 수 있는 적극적 思考方式의 哲學을 確立시켜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第3章 結 言
_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靑少年非行의 原因을 家庭敎育의 잘못에 60 내지 70%, 學校敎育의 문제점에 20 내지 30%, 사회적인 요인을 10 내지 20% 정도로 의식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주8) 靑少年들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라는 관점에서 그러한 意識이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家庭敎育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靑少年들의 人格이 올바로 성장할 수 없다는 사실은 너무나 자명하여 이야기할 필요조차 없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여야 家庭敎育을 잘 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인가이다.[129] 올바른 敎育을 받지 못한 父母들이 가정교육을 올바로 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여기에서 우리는 가정교육에 많은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어떻게 우리 社會가 家庭敎育이 잘 될 수 있도록 부모들을 잘 교육할 것인가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치열한 生存競爭 가운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보통 市民들보다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자들, 가진 자들, 부한 자들, 배운 자들에게 期待可能性이 더 큰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에게 責任을 더묻지 않을 수 없다는 觀點에서 오늘날의 靑少年問題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8) 靑少年敎育의 責任을 1차적으로 가정에 두는 견해가 일반적이다.(오선주, 靑少年非行對策에 관한 各國制度, 인권과 정의 제168호 43면 참조)
_ 靑少年을 위한 投資야말로 가장 확실한 투자이며, 靑少年을 위한 노력이야말로 가장 보람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非行靑少年들에 대하여 檢察이나 法院으로서는 家庭이나 學校, 社會에 그 責任을 돌리는 구태의연한 사고에서 벗어나서 스스로 큰 責任을 의식하고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_ 우리 社會에서 가장 부족하고 그러면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덕목이 감사하는 마음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사람은 어른들이나 靑少年들이나 불만을 품는만큼 이웃에게 해를 끼치고 괴로움을 주는 반면에, 감사하는만큼 이웃과 사회에 유익을 주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얼마나 效果的으로 불만을 해소하고 그 대신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해 주는가에 역시 非行豫防의 관건이 달려 있다고 할 수있을 것이다.
_ 라. 또 靑少年들에게 부모님 내지는 어른들의 세계를 이해하여 보도록 요구한다면, 그것은 무리한 일일까? 어른들도 靑少年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마당에 청소년들에게 어른들을 이해하여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임에 틀림없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청소년들이 보기에 잘못 가르치는 부모님이나 선생님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청소년들이 그분들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어른들이라고 하여 완전한 존재일 수 없다는 것을 그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어른들도 그분들의 부모인 조부모님이나 그분들의 선생님들에게 배운 것을 능가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부모님세대들은 얼마나 어려운 環境 가운데 敎育을 받았으며, 또 얼마나 어려운 삶을 살아 왔던가? 일본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해방 후의 혼란, 6.25, 또 경제건설을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하였던 시대를 살지 않았던가? 오히려 청소년들이 그러한 부모님 세대를 이해하고 불쌍히 생각하며, 그분들의 노고에 보답할 마음을 가져야되지 않을까?
_ 英國의 시인 워즈워드는 "어린이는[128] 어른이 아버지"라고 노래하였다. 靑少年들에게 올바르게 생각하는 方法을 가르쳐줄 때, 오히려 세상의 때로 물들지 않은 순수한 인격의 所有者들인 그들이 어른들을 이해하는 것이 더 수월하지 않을까?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올바르게 생각하는 態度 내지 哲學을 確立하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적극적 思考方式
_ 마지막으로 靑少年들에게 심어주어야 할 哲學이 있다면, 그것은 적극적 思考方式이라고 생각한다. 착하고 바르게 사는 사람은 하늘이 돕고 땅이 보살핀다는 信念을 갖고 열심히 노력할 때, 누구나 잘 살 수 있다는 肯定的이고 積極的인 생각을 갖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찌기 精神醫學者인 칼메닝거 박사는 "태도는 사실보다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물이 반정도 들어 있는 컵을 받고, 어떤 사람은 겨우 물이 반밖에 없다고 불평할 수 있는데 반하여, 어떤 사람은 물이 반씩이나 있다고 기뻐하고 감사할 수 있다. 우리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 그 사실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의 태도인 것이다. 이 세상은 겉보기에는 不公平하고 모순에 차 있는 것 같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고, 겉보기와는 상관없이 人間은 누구나 노력한만큼 보람과 행복을 누리는 것이다. 하늘과 땅은 어느 사람이든 그가 뿌린만큼의 행복을 거두게 해준다는 점에서 이 세상은 공평한 것이며 열심히 노력할 價値가 있는 세상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 할 것이다. 靑少年들에게 나도 잘할 수 있고, 또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신념을 심어 줄 수 있는 적극적 思考方式의 哲學을 確立시켜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第3章 結 言
_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靑少年非行의 原因을 家庭敎育의 잘못에 60 내지 70%, 學校敎育의 문제점에 20 내지 30%, 사회적인 요인을 10 내지 20% 정도로 의식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주8) 靑少年들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라는 관점에서 그러한 意識이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家庭敎育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靑少年들의 人格이 올바로 성장할 수 없다는 사실은 너무나 자명하여 이야기할 필요조차 없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여야 家庭敎育을 잘 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인가이다.[129] 올바른 敎育을 받지 못한 父母들이 가정교육을 올바로 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여기에서 우리는 가정교육에 많은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어떻게 우리 社會가 家庭敎育이 잘 될 수 있도록 부모들을 잘 교육할 것인가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치열한 生存競爭 가운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보통 市民들보다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자들, 가진 자들, 부한 자들, 배운 자들에게 期待可能性이 더 큰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에게 責任을 더묻지 않을 수 없다는 觀點에서 오늘날의 靑少年問題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8) 靑少年敎育의 責任을 1차적으로 가정에 두는 견해가 일반적이다.(오선주, 靑少年非行對策에 관한 各國制度, 인권과 정의 제168호 43면 참조)
_ 靑少年을 위한 投資야말로 가장 확실한 투자이며, 靑少年을 위한 노력이야말로 가장 보람된 일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非行靑少年들에 대하여 檢察이나 法院으로서는 家庭이나 學校, 社會에 그 責任을 돌리는 구태의연한 사고에서 벗어나서 스스로 큰 責任을 의식하고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온라인게임과 청소년 보호
아동복지관련법률 ㅡ 청소년보호법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실태와 보호방안 [A+레포트 참 좋은 자료]
[청소년 문제와 보호] 어른에 의한 폭력
육성제도론 제6장 - 청소년보호에 관한 법
청소년 흡연문제에 대한 실태조사 및 보호방안 연구
[청소년 보호법] 셧 다운 제도에 관해서
[청소년문제와 보호] 분노(anger)의 개념 이해
[청소년문제와 보호] 한국문화에서의 분노이해 - 한(恨)과 화병 (hwa-byung)
[청소년문제와 보호] 정신장애 진단체계에 따른 분노(anger)이해 - 정서장애와 분노, 편집성 ...
[청소년문제와 보호] 경험유형과 반응에 따른 분노(anger)이해 - 분노경험 유형, 분노경험 반...
[청소년문제와 보호] 분노의 인지행동 치료적 접근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
[청소년문제와 보호] 분노의 정신분석적 접근 - 지그무드 프로이드(Sigmmd Freud),멜라니 클...
사회복지조사론-스마트폰 중독에 빠진 청소년보호자의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는 조사를 실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