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사무가〉
〈지노귀굿〉
〈씻김굿〉
〈오구굿〉
<바리데기의 전체 줄거리>
☞ 지역에 따른 바리데기
☞ 지역별로 전승되는 바리데기 내용 공통점
〈작품내용〉
1. 바리공주의 탄생과 부모와의 이별
2. 부모와의 재회
3. 바리공주의 모험
4. 부모님의 회생과 무신이 된 바리공주
<핵심정리〉
<작품해설 〉
<심화 학습>
<참고문헌〉
〈지노귀굿〉
〈씻김굿〉
〈오구굿〉
<바리데기의 전체 줄거리>
☞ 지역에 따른 바리데기
☞ 지역별로 전승되는 바리데기 내용 공통점
〈작품내용〉
1. 바리공주의 탄생과 부모와의 이별
2. 부모와의 재회
3. 바리공주의 모험
4. 부모님의 회생과 무신이 된 바리공주
<핵심정리〉
<작품해설 〉
<심화 학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 공양을 받고, 들로 내려오면 큰머리 단장에 은아몽두리 입고 언얼도와 삼지창, 방울과 부채를 손에 든 무당이 되어 죽은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도록 마련하였다.
〈핵심정리〉
* 종류: 서사무가, 무속 서사시
* 성격: 신화적, 교훈적, 운율적
* 운율: 4.4조 바탕
* 주제: ▶ 죽은 사람을 살리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과 바리데기의 고난
▶ 부모에 대한 효성
* 의의: 무속신 본풀이의 전형적인 형태로 영웅의 일생과 유관하다.
〈작품해설 1〉
<바리데기>는 사람이 죽은 뒤 49일 안에 지내는 '지노귀굿(오구굿)'에서 가창되는 무가이다. 무가는 무(巫)라는 직업 전문인에 의하여 무(巫)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무속 예의에서 불려지는 구비 문학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한다.
바리데기는 서천(西天)의 영약(靈藥)을 구하여 죽은 부모를 살리는데, 이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을 보여 준다. 죽음에서의 승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바리데기의 시련과 지극한 효성을 고소설의 영웅과 관련지으며 읽을 필요가 있다.
☞ 구조 : <바리데기> 무가는 '이승의 버림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靈界)에서 시련→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
☞ 내용
① 버려진 아기가 부모를 재회하기 위해서는 신적 능력을 지닌 사람이 되어야 함 → 혈연 관계의 중요성이 강조
② 아이를 버린 부모가 병이 듦 → 불교의 인과 응보 사상
③ 바리데기가 영계의 시련을 회피하지 않은 이유 : 효 사상의 강조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기 위한 것으로 가부장적 세계관이 반영, 또한 결혼은 고생이라는 전통적 결혼관이 투영
④ 바리공주가 마지막에 무당이 되었던 것은 불교나 유교에 의해 사회적으로 미신처럼 여겨지는 사정 속에서 도교(무속)가 사회의 지지를 받거나 쉽게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작품해설 2〉
무가는 '무당'아라는 전문인에 의해 무(巫)로서의 사제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무당굿에서 불려지는 노래이다. 이는 구비 문학의 하나로서 주술적인 기능이 주가 된다. 즉 신을 청하고(청신, 請神), 신을 즐겁게 하며(오신, 娛神), 신에게 소원을 빌고 보냄(송신, 送神)으로써 액을 막고 복을 얻으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무가는 주술적 기능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오락적 기능과 문학적 기능도 함께 지닌다. 무가가 구연되는 '굿'판은 종교적 의례뿐만 아니라, 집단적 축제의 장소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무가는 신과 사람을 즐겁게 하고 감동시키며, 또 그러할 때 참다운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 바리데기 무가는 오구굿에서 구연되는 무가이다.
이 무가는 '이승의 버림(부모로부터 버림 받음)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에서의 시련 →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을 구조로 짜여져 있다. 즉 시련을 이겨내고 영원을 얻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이 나타나 있다.
〈작품해설 3〉
기아(棄兒)·구약(求藥)·회생(回生) 등이 중요한 서사적 요소를 이루고 있으며, 효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숭고미가 나타나 있다. 효는 만선지기(萬善之基)의 유교의 덕목으로서 가장 찬양받았던 행위였다.
생을 주관하는 생산신(生産神)의 유래를 밝힌 제석본(帝釋本) 풀이에 비하여, 바리 공주는 사(死)를 주관하는 사경신의 유래를 밝힌 무조화(巫祖話)이다.
고귀한 공주의 신분으로 부모에게 버림을 받은 공주가 자기를 버린 부모의 병을 고치기 위해 먼 길을 떠난다. 궁중에서 곱게 자란 여섯 딸이 모두 거절했던 길이다. 이런 바리 공주의 결심은 비장미의 발현이다. 약값이 없는 바리 공주는 나무 삼 년 하여 주고, 불 삼 년 때어 주고, 물 삼 년 길어 준다. 더욱이 무장승과 결혼까지 하여 아들 일곱을 낳아 준다.
바리 공주의 이러한 고초는 죽은 부모를 살리게 되는 고난의 과정이지만, 결국 위대한 결과를 낳게 된다.
<심화 학습>
1. 소재의 상징성
전통적으로 무당은 신과의 교섭자요, 이승과 저승의 중개자였다. 병을 치료하고 앞날을 예언하며 신의 대리인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서양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무당이 없다. 무당은 주술과 종교라는 두 요소를 공유한 것인데, 서양에는 그러한 존재가 없다. 문학에서는 신의 선택에 의한 운명 내지는 토속문화를 대표하기도 한다. 다음 항목에서 서술되어야 할 내용이지만 소재가 무녀라는 면에서는 김동리의 「무녀도」, 「을화」, 한승원의 「불의 딸」, 조정래의 「태백산맥」과 관련이 된다. 후에 와서 무당이 불신되면서 무당은 탐욕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2.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렇게 부모를 위해 약을 구하러 시련을 겪고 모험을 하는 이야기는 설화 소설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모티브다. 여기에는 기아(棄兒), 재생(再生), 효행(孝行) 설화가 혼합되어 있다. 「숙향전(淑香傳)」. 「적성의전(狄成義傳)」 등의 조선 소설에서 이 같은 삽화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출생부터 버림을 받고 시련을 겪는 것은 동양에 공통된 영웅의 일생과 상통하기도 하다. 한편, 이 이야기는 집안의 위기를 이김으로써 세상 일반의 구원자가 된 성취담인데, 이런 면에서 「조웅전」과 「옥루몽」 등과 관련이 있다. 모두 집안의 위기와 나라의 위기를 동시에 이기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바리공주 무가는 타문학 장르와 매우 밀접하며 그 전승 기간이 장구했으리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1) 김동욱(1960), "무가 바리공주", 『황의돈 선생 고희기념논총』, 동국대 사학회.
2) 서대석(1972), "바리공주 연구", 『계명논총』 8, 계명대학교.
3) 최강현(1979), "바리공주 신화의 분석",『한국민속학』11, 한국민속학회.
4) 김열규(1977), "바리데기",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1, 비교문학회.
목 차
〈서사무가〉
〈지노귀굿〉
〈씻김굿〉
〈오구굿〉
<바리데기의 전체 줄거리>
☞ 지역에 따른 바리데기
☞ 지역별로 전승되는 바리데기 내용 공통점
〈작품내용〉
1. 바리공주의 탄생과 부모와의 이별
2. 부모와의 재회
3. 바리공주의 모험
4. 부모님의 회생과 무신이 된 바리공주
<핵심정리〉
<작품해설 〉
<심화 학습>
<참고문헌〉
〈핵심정리〉
* 종류: 서사무가, 무속 서사시
* 성격: 신화적, 교훈적, 운율적
* 운율: 4.4조 바탕
* 주제: ▶ 죽은 사람을 살리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과 바리데기의 고난
▶ 부모에 대한 효성
* 의의: 무속신 본풀이의 전형적인 형태로 영웅의 일생과 유관하다.
〈작품해설 1〉
<바리데기>는 사람이 죽은 뒤 49일 안에 지내는 '지노귀굿(오구굿)'에서 가창되는 무가이다. 무가는 무(巫)라는 직업 전문인에 의하여 무(巫)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무속 예의에서 불려지는 구비 문학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한다.
바리데기는 서천(西天)의 영약(靈藥)을 구하여 죽은 부모를 살리는데, 이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죽지 않고 영원히 살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을 보여 준다. 죽음에서의 승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바리데기의 시련과 지극한 효성을 고소설의 영웅과 관련지으며 읽을 필요가 있다.
☞ 구조 : <바리데기> 무가는 '이승의 버림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靈界)에서 시련→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
☞ 내용
① 버려진 아기가 부모를 재회하기 위해서는 신적 능력을 지닌 사람이 되어야 함 → 혈연 관계의 중요성이 강조
② 아이를 버린 부모가 병이 듦 → 불교의 인과 응보 사상
③ 바리데기가 영계의 시련을 회피하지 않은 이유 : 효 사상의 강조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기 위한 것으로 가부장적 세계관이 반영, 또한 결혼은 고생이라는 전통적 결혼관이 투영
④ 바리공주가 마지막에 무당이 되었던 것은 불교나 유교에 의해 사회적으로 미신처럼 여겨지는 사정 속에서 도교(무속)가 사회의 지지를 받거나 쉽게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작품해설 2〉
무가는 '무당'아라는 전문인에 의해 무(巫)로서의 사제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무당굿에서 불려지는 노래이다. 이는 구비 문학의 하나로서 주술적인 기능이 주가 된다. 즉 신을 청하고(청신, 請神), 신을 즐겁게 하며(오신, 娛神), 신에게 소원을 빌고 보냄(송신, 送神)으로써 액을 막고 복을 얻으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무가는 주술적 기능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오락적 기능과 문학적 기능도 함께 지닌다. 무가가 구연되는 '굿'판은 종교적 의례뿐만 아니라, 집단적 축제의 장소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무가는 신과 사람을 즐겁게 하고 감동시키며, 또 그러할 때 참다운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 바리데기 무가는 오구굿에서 구연되는 무가이다.
이 무가는 '이승의 버림(부모로부터 버림 받음) → 이승과 저승 사이의 세계인 영계에서의 시련 → 이승으로 귀환하여 부모를 살림 →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별이나 무당이 됨'을 구조로 짜여져 있다. 즉 시련을 이겨내고 영원을 얻고자 하는 인간의 소망이 나타나 있다.
〈작품해설 3〉
기아(棄兒)·구약(求藥)·회생(回生) 등이 중요한 서사적 요소를 이루고 있으며, 효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숭고미가 나타나 있다. 효는 만선지기(萬善之基)의 유교의 덕목으로서 가장 찬양받았던 행위였다.
생을 주관하는 생산신(生産神)의 유래를 밝힌 제석본(帝釋本) 풀이에 비하여, 바리 공주는 사(死)를 주관하는 사경신의 유래를 밝힌 무조화(巫祖話)이다.
고귀한 공주의 신분으로 부모에게 버림을 받은 공주가 자기를 버린 부모의 병을 고치기 위해 먼 길을 떠난다. 궁중에서 곱게 자란 여섯 딸이 모두 거절했던 길이다. 이런 바리 공주의 결심은 비장미의 발현이다. 약값이 없는 바리 공주는 나무 삼 년 하여 주고, 불 삼 년 때어 주고, 물 삼 년 길어 준다. 더욱이 무장승과 결혼까지 하여 아들 일곱을 낳아 준다.
바리 공주의 이러한 고초는 죽은 부모를 살리게 되는 고난의 과정이지만, 결국 위대한 결과를 낳게 된다.
<심화 학습>
1. 소재의 상징성
전통적으로 무당은 신과의 교섭자요, 이승과 저승의 중개자였다. 병을 치료하고 앞날을 예언하며 신의 대리인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서양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무당이 없다. 무당은 주술과 종교라는 두 요소를 공유한 것인데, 서양에는 그러한 존재가 없다. 문학에서는 신의 선택에 의한 운명 내지는 토속문화를 대표하기도 한다. 다음 항목에서 서술되어야 할 내용이지만 소재가 무녀라는 면에서는 김동리의 「무녀도」, 「을화」, 한승원의 「불의 딸」, 조정래의 「태백산맥」과 관련이 된다. 후에 와서 무당이 불신되면서 무당은 탐욕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2.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렇게 부모를 위해 약을 구하러 시련을 겪고 모험을 하는 이야기는 설화 소설 등에서 많이 발견되는 모티브다. 여기에는 기아(棄兒), 재생(再生), 효행(孝行) 설화가 혼합되어 있다. 「숙향전(淑香傳)」. 「적성의전(狄成義傳)」 등의 조선 소설에서 이 같은 삽화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출생부터 버림을 받고 시련을 겪는 것은 동양에 공통된 영웅의 일생과 상통하기도 하다. 한편, 이 이야기는 집안의 위기를 이김으로써 세상 일반의 구원자가 된 성취담인데, 이런 면에서 「조웅전」과 「옥루몽」 등과 관련이 있다. 모두 집안의 위기와 나라의 위기를 동시에 이기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바리공주 무가는 타문학 장르와 매우 밀접하며 그 전승 기간이 장구했으리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1) 김동욱(1960), "무가 바리공주", 『황의돈 선생 고희기념논총』, 동국대 사학회.
2) 서대석(1972), "바리공주 연구", 『계명논총』 8, 계명대학교.
3) 최강현(1979), "바리공주 신화의 분석",『한국민속학』11, 한국민속학회.
4) 김열규(1977), "바리데기",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1, 비교문학회.
목 차
〈서사무가〉
〈지노귀굿〉
〈씻김굿〉
〈오구굿〉
<바리데기의 전체 줄거리>
☞ 지역에 따른 바리데기
☞ 지역별로 전승되는 바리데기 내용 공통점
〈작품내용〉
1. 바리공주의 탄생과 부모와의 이별
2. 부모와의 재회
3. 바리공주의 모험
4. 부모님의 회생과 무신이 된 바리공주
<핵심정리〉
<작품해설 〉
<심화 학습>
<참고문헌〉
추천자료
- [구비문학 설화] 춘향전
- 구비문학과 민속
- [한국 구비문학]손없는 색시
- [구비문학]무가, 민요, 판소리의 비교
- [구비문학론]민요의 현재적 의미
- [구비문학]수궁가관람기
-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 [루마니아][루마니아문화][루마니아의 문화][차우세스코 무덤][경제]루마니아의 역사, 루마니...
- 2006년 구비문학 현지조사 보고서 -경북 문경을 중심으로-
- [현대사회][현대][한국사회][한국][사회문제]현대사회의 정보화, 현대사회의 기술개발, 현대...
- [구비문학] 꼭두각시놀음에 관해서
- 2014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자신의견해)
- 대중매체로서의 신화의 해석(단군신화해석, 신화의이해, 건국신화, 대중매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