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시장고급화와 기업의 대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비시장고급화와 기업의 대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급소비란 무엇인가
1.사회적 현상으로서 고급소비


Ⅱ. 고급소비자 유형
1. 과시성 추구형 2. 유행 추구형
3. 독특성과 개성 추구형 4. 감성적 즐거움 추구형
5. 합리적 가치 추구형

Ⅲ. 고급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특징
1. 과거의 고급소비
(1) 1960-80년대 (2) 1990년대 이후
2. 현재의 고급소비
(1) 소비 양극화 (2) 소비 고급화
3. 국내 고급소비 트렌드의 특징
(1) 유형별 분류 (2) 시기별 분류

Ⅳ. 부문별 고급소비 트렌드
1. 고급소비 시장분석
(1) 유통 (2) 의류 / 패션
(3) 가전 (4) 자동차
(5) 주택 (6) 금융


Ⅴ. 생활가전 속에서의 고급소비 트렌드
1. 고급가전의 종류
(1) 냉장고 시장 - 지펠 / 디오스
(2) TV 시장 - PAVV / X-캔버스
(3) 세탁기 시장 - 하우젠 / 트롬
2. 인터뷰 / 보도기사
3. 구매 동기 분석 - 기업 수익의 대상으로서 고급소비
(1) 정보처리 모델
① 가격-품질 효과(Price-Quality Effect)
② 원산지 효과(Country-of-Origin Effect)
③ 희소성 효과 (Uniqueness Effect)
(2) 정서적 가치 모델
(3) 상징적 상호작용 모델
4. 마케팅 전략
(1) 표적 마케팅 / 귀족(VIP) 마케팅
(2) 통합 브랜드 전략
(3) BI(Brand Identity) 전략
(4) 감성 마케팅
(5) 문화 마케팅

Ⅵ. 기업의 대응
1. 고급제품 시장의 타겟팅
2. 고객정보의 체계적 관리 ․ 유지
3. 프레스티지 마케팅의 활용
4. 브랜드 이미지 관리
5. 우호적인 사회적 환경 조성

본문내용

이익 여부를 고려한다. 이는 기업들이 ‘좋은 일을 함으로써 더 발전한다’는 시각을 바탕으로 하여, 예를 들어 기업의 對 사회 기부 행위를 자선이 아닌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기부를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결정은 한 회사의 이익 창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의해 결정된다. 소비자들의 우호적인 태도는 기업의 제품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다시 시장에서 기업의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기업의 사회적 투자는 일시적으로 기업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비용 감소의 효과를 가져온다. 최근 국내 시장에 진출한 일본의 토요타 자동차의 경우 단기적인 비용 증가를 감수하면서 장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토요타의 한국시장에 대한 기본 전략은 장기적으로, 조용히, 반일감정을 건들지 않고 제품을 판매한다는 것이다. 토요타는 해외시장에서 항상 퍼스트 무버(혼다는 세컨드)로써 시장을 개척해 왔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시장의 경우 처음 진출하는 만큼 실 이익은 많이 포기하면서 정서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이 주요 컨셉이다. 따라서 토요타의 한국지사가 사용하는 공식명칭도 반일감정을 고려하여 ‘한국 토요타’가 아니라 일본 이미지를 뺀 ‘한국 렉서스’라는 점과, 렉서스가 타깃으로 잡고 있는 주 고객층도 수입자동차에 대한 곱지 않은 국민정서를 고려하여 공무원과 대기업 임원은 제외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흥미로운 점은 반일감정에 의해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스크래치에 대한 보장책으로 스크래치 보험을 고객이 아닌 딜러 부담으로 따로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최근 나타나고 있는 소비 양극화 현상은 향후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양자 모두에게 나름대로의 합리적 소비관이 정착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즉 미국식 소비문화처럼 저소득층에게는 실용주의적 소비행태와 절약 소비행태가 자리잡는 반면, 고소득층에게는 무조건적으로 고가품을 구매하는 과시적 소비가 아닌 자신이 좋아하는 명품 브랜드에 대한 심미적 소비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는 최근 우리 국민들의 해외여행 경험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국산품, 수입품을 가리지 않고 좀더 싸고 품질 좋은 것을 쓰겠다는 소비의식이 점차로 확산되고 있는데 기인한다. 즉 과거와 달리 이제는 수입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얻는 정보의 양과 질이 증가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또한 과거처럼 판매된 제품들이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그들 자신의 특유한 라이프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제품들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 소비의 고급화가 과시적 소비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면 앞으로는 합리적 지성소비의 일환으로 변화하는 상황이 도래하고 있다. 국내기업들도 이러한 소비트렌드의 변화를 읽어내고 이를 기업의 수익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극적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 고급제품 시장 활성화를 위한 국내기업의 대응방향
------------------------------------------------------------------------------
-----------------------------------------------------------------------------
※ 참 고 자 료
「소비시장 고급화와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이상민, 최순화, 2001. 3
「소비시장의 양면성과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 370호
2002. 10. 16
「소비시장의 양면성」,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2. 9. 24
「문화와 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이건복 펴냄, 동녘, 1999
「욕망의 인간학」, 김기곤, 세종출판사, 1997
「미학적 마케팅」, 한국언론자료간행회, 한상만, 최주리, 1999
「인간의 욕망과 고급소비와의 관계」
www.zipel.co.kr / www.hauzen.com / www.lgeri.co.kr
www.seri.org / www.nso.go.kr - 통계청
www.naver.com - 지식 IN 검색 / www.cpb.or.kr - 소비자보호원
기타 인터넷 포털 사이트...
● 고급소비란 무엇인가 - 사회적 현상으로서 고급소비
생존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치중하기 보다는 어떻게 더 풍요롭게 살 수 있을까에 관심을 기울이 고 그러한 욕망을 채우기 위해 다양한 삶의 개선을 추구하고 타인에게 부유함을 과시하기 위해 혹은 자 신의 명예를 내세우기 위해 남과는 다른 소비활동을 통해 그것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급제품 을 소비하는 행위
● 고급소비자 유형
과시성 추구형 / 유행 추구형 / 독특성과 개성 추구형 / 감성적 즐거움 추구형 / 합리적 가치 추구형
● 고급소비 트렌드의 특징
▷소비 양극화
최근 국내 소비시장의 특징은 저소득층의 소비여력 감소와 고소득층의 소비 주도 등으로 저가품 수요와 고가품 수요로 양극화되는 경향을 보임.
▷소비 고급화
고소득층이 소비를 주도하면서 소비의 고급화 추세가 뚜렷해짐. 이에 따라 고가제품 시장이 급성 장하고, 대형제품과 유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역시 증가
● 구매 동기 분석 - 기업 수익의 대상으로서 고급소비
가격-품질 효과 / 원산지 효과 / 희소성 효과
● 마케팅 전략
▷표적 마케팅 / 귀족(VIP) 마케팅
ZIPEL: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소득층 소비자 선정, 데이터베이스화해 집중 공략
▷통합 브랜드 전략
HAUZEN: 브랜드 통합을 통해 타겟 소비자에게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고부가가치 창출
▷BI(Brand Identity) 전략
ZIPEL: 삼성이 본사의 로고 대신 ZIPEL이라는 신규 브랜드로 런칭, 고급시장 및 글로벌 시장 겨냥
▷감성 마케팅
브랜드의 이미지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감성에 소구하는 광고가 주류를 이룸.
▷문화 마케팅
마케팅을 위한 문화 ,문화를 위한 마케팅: HAUZEN의 광고에 몬드리안의 추상화가 등장하는 사례
● 기업의 대응
고급제품 시장의 타겟팅 / 고객정보의 체계적 관리 유지 / 프레스티지 마케팅의 활용
브랜드 이미지 관리 / 우호적인 사회적 환경 조성
  • 가격1,6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4.10.1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