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남한,북한의 광장
3.집단,개인의 광장
4.명준의 광장
4.1 윤애와 은혜
4.2 나팔수에서 부챗살까지, 욕망으로서의 광장
4.3 이명준의 마지막 광장
5.마치며
2.남한,북한의 광장
3.집단,개인의 광장
4.명준의 광장
4.1 윤애와 은혜
4.2 나팔수에서 부챗살까지, 욕망으로서의 광장
4.3 이명준의 마지막 광장
5.마치며
본문내용
욕망이 모인 곳에서 유토피아나 모두의 욕망을 충족시켜줄 광장을 기대하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였을지 모른다. 작가의 말을 빌리면, 사람들은 광장에서 졌을 때 밀실로 물러나지만 결국 지지 않은 사람은 없는 것처럼. 광장과 밀실이 맞뚫렸던 시기에 대한 이야기가 소설 속에 잠시 언급되는데 \'잠시\'였던 만큼 작가역시 별로 자신이 없던 말인 것 같다. 남한과 북한에 대한 묘사도 그리 잘 된 것 같지는 않다. 배경 묘사에 있어서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미지에서 특별히 벗어난, 날카로운 통찰력은 보이지 않았다. 특히 북한의 모습은 덩어리만 툭 던져놓고 중요한 살들은 붙이지 않는 느낌이었다. 소설 전반적으로 깔린 철학적 사유들 또한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지만 때때로 너무 사유에만 치중한다는 느낌이 들었다.(이명준을 보다 나약한 인간으로 보여주는 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결국 이 소설은 우리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잊고 있던 문제를 한 번 더 짚어주는 정도의 역할을 한다.
비록 이명준의 선택이 죽음이라는 가장 맥 빠지는 길을 택했다 하더라도 남과 북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다루면서 \'광장\'이라는 적절한 상징물을 통해 다양한 사유를 보여준『광장』은 잘 쓴 소설이다.
비록 이명준의 선택이 죽음이라는 가장 맥 빠지는 길을 택했다 하더라도 남과 북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다루면서 \'광장\'이라는 적절한 상징물을 통해 다양한 사유를 보여준『광장』은 잘 쓴 소설이다.
추천자료
HP를 중심으로 한국과 싱가포르 비교
만해 한용운의 시적 세계의 특성
조직문화 [인문과학]
싸이버 외대 중앙아시아 사회와 문화 원문번역
조직문화의 개념 및 중요성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
[사회과학] 후기인상주의
[해체주의건축][해체주의건축 특징][해체주의건축 의의][해체주의건축 대표적 인물][해체주의...
유한양행의 설립자의 기업가정신연구
It기업에서 기업문화의 의의, 중요성, 발전방향
조직組織문화 관리방안
조직문화는 무엇이며 사회복지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시오.
사회복지 조직의 문화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