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Ⅲ 르네상스의 조경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
2. 로마․로마 근교의 Villa
3. 후기 르네상스 (17c)
4. 프랑스
1. 터스카니의 르네상스
2. 로마․로마 근교의 Villa
3. 후기 르네상스 (17c)
4. 프랑스
본문내용
na 분수 → 왕자의 가로 → 아폴로 분천
1.6km의 grand canal에서는 뱃놀이를 즐김
⑤ 르노트르 정원의 특징과 각국에의 영향
1) 르노트르 정원의 특징
- 정원은 단순한 주택의 연장이 아니라 광때한 면적의 대지 구성 요소의 하나
- 대지의 기복에 조화시키되 축에 기초를 둔 2차원적 기하학을 구성 (총림 + hedge + allee)
- 산울타리로서 총림과 기타공간을 명확하게 구분
- Unity는 하늘이나 기타 정원구성요소들이 수면에 반영하게 함으로서 형성되게 하고, Allee는 끝없이 외부로 확산하게 한다.
- 조각, 분수등 예술 작품을 공간 구성에 있어 리듬 혹은 강조요소로서 사용한다.
- 장엄한 scale의 도입 (인간의 위엄과 권위를 고양)
- Vista를 형성한다.
2) 소로의 사용 : round point을 기점으로 팔방으로 뻗은 수렵용 도로 사냥의 중심지
3) 산림의 이용과 평면상의 전개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의 주수종인 사이프러스, 스톤 파인, 감탕나무등의 상록수 대신 낙엽 활엽수가 주종을 이룸 → 수목 한 그루의 수형보다 녹색 mass로서의 수목을 다룸
프랑스의 정원은 단순히 평면 기하학적이고 장식적인 정원이 아닌 macro한 옥외공간
장엄양식(grand style)이라 함 : 소로에 의한 비스타(Vista) 구성하여 웅대하게 경관을 전개
총림 : 르노트르가 공간의 벽체, 비스타를 구성하기 위해 채택
→ 구획총림, 성(星)형총림, 5점형총림, 보올링 그린등 4가지
4) 장식적인 정원 : 여러가지 화단으로써 화려하게 장식
- 자수화단 : 회양목이나 로즈메리등으로써 화단을 당초무늬화단으로 만듬
- 대칭화단 : 대칭적인 4부분에 의해 나선무늬, 매듭무늬등으로 이룸
- 영국화단 : 단순히 잔디밭으로나 어떤 형태를 그려 넣은 잔디밭으로 이루어진 화단
- 구획화단 : 회양목으로써만 대칭형 무늬를 만드는 화단
- 감귤화단 : 잔디 대신 오렌지 화단을 심는 화단
- 물화단 : 분천지가 여려개 조합되어 있는 화단
5) 르노트르의 영향 : 프랑스의 바로크 이념이 가장 대담하고 철저하게 잘전됨
◆ 네덜란드 : 교외의 소정원에 프랑스식 파르테르를 만들고 여기에 튤립, 히야신스를 심었다.
◆ 중국(청) : 제주이트파 선교사에 의해 원명원속에 동양 최초의 서양식 정원을 세움
◆ 오스트리아
벨베데레궁 - 한폭의 바로크풍의 그림으로서 상하 두단의 테러스로 구성
→ 상단 : 오락지로서 600명 수용가능. 중앙에 분수를 가진 대규모 프랑스식 파르테르로 됨
하단 : 왕의 여름 거주지
현재는 고산식물원이 있다
셴브룬성 : 가장 대표적 프랑스 정원
◆ 도시계획 : 러시아의 폐테르스부르크(St. Petersburg)와 니메, 미국의 워싱턴 계획
5. 튜우더·스튜어드조의 영국
① 환경
다습 온난한 기후
완만하게 물결치듯 기복을 이룬 구릉 : 강과 소하천 역시 완만한 구릉
토지는 비옥하고 소규모의 시각적 지형단위가 끝없이 연결됨
→ 비옥한 구릉에 다습의 흐린날이 많아서 잔디밭, 보올링 그린이 성행하게 되었고 강렬한 색체의 꽃과 원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② 튜우더조의 영국정원
장원(manor)을 중심으로한 소규모의 정원으로 발달
◆ 성캐더린 수도원(St. Catherine\'s Court) : 소규모 장원으로 뛰어난 작품
오밀조밀함, 부드러운 색조, 가정 주택같은 특질, bowling green
◆ 몬타큐트(Montacute) : 이탈리아 영향의 가든
브라망테의 벨베데레원이 완공된지 75년후(1580)에 축조
의식적으로 주축선이 설정됨
평면은 대단히 단순 : H형 저택 건물의 중앙에서 긴 sight-line이 양측으로 남
분수를 설치한 잔디밭, 상단부·하단부의 테라스 → 정연하고 단순한 형태
③ 스튜어드왕조의 정원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중국의 정원에 영향을 받음
◆ 프랑스의 영향 : 의도된 주축선, 방사형의 소로, 연못, 비스타, 전정한 산울타리
→ Melbourne Hall, Brambam Park, Wrest Park, Hampton Court, Hatfield House
◆ 멜보른 호올(Melbourene Hall) : 프랑스 영향
화려하고 풍성한 식재로서 영국적인 성격에 프랑스 디자인 요소가 가미
헨리 와이즈(Henry Wise)가 정원을 개조
※ 영국의 최초의 상업적 조원사 : 와이즈와 런던(Gerge London)
◆ 레벤스 호올(Levens Hall) : 네덜란드의 영향
Topiary garden이라 불리울 만큼 다양한 형태의 토피아리 사용
영국 르네상스시대 정원의 특징인 보올링 그린, 채소원, 포장된 산책로가 설치
※ 영국 정형식 정원 특징 → 토피아리의 과다 사용
: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아 회양목, 주목등 상록수를 환상적 형태로 다듬어 만듬
◆ 햄프턴코오트 (Hampton Court) : 여러나라의 영향
소규모의 knot화단, 자갈을 깐 구획로, 원정 및 연회당, 왕가의 문장을 단 야수상등
Pond garden(Dutch garden) : 단정한 기하학적 형태에 밝고 다채로운 색상의 정원
→ 네덜란드의 영향을 잘나타내 줌
④ 영국 정형식 정원의 특징
18c의 자연풍경식과는 대조적인 정형식 정원 : 대부분 부유층을 위한 정원
테라스를 설치 : 장방형보다는 정(正)방형의 형태 → 이태리 양식을 연상케 함
→ Montacute House, Levens Hall
Forthright : 4사람 정도가 다니는 곧게 뻗은 길 → 전형적인 영국 르네상스의 한 유형
예) Haddon Hall의 Dorothy Vernen(최초의 시도), 레벤스 호올, 핫필드 하우스
: 이런 곧은 길은 자갈을 깔거나 잔디를 입혔음
→ 후에 타일이나 판석으로 재료 바뀜 (프랑스의 영향)
축산(Mound) : 대규모의 정원에서 주로 채택. 정상에는 원정 혹은 연회당을 설치함
정상에 오르는 길은 나선형 도로 → 바빌론의 직구라트와 유사한 형태
Bowling green : 볼링 경기장 → 레벤스호울이 대표적
Knots 화단 : 햄프턴 코오트
약초원(Herb garden) : 주택정원의 필수적 부분 → 거형과 장방형
영국정원의 특징적 구조물 : 석제, 나간, 철제, 장식물, 분수, 문주등
1.6km의 grand canal에서는 뱃놀이를 즐김
⑤ 르노트르 정원의 특징과 각국에의 영향
1) 르노트르 정원의 특징
- 정원은 단순한 주택의 연장이 아니라 광때한 면적의 대지 구성 요소의 하나
- 대지의 기복에 조화시키되 축에 기초를 둔 2차원적 기하학을 구성 (총림 + hedge + allee)
- 산울타리로서 총림과 기타공간을 명확하게 구분
- Unity는 하늘이나 기타 정원구성요소들이 수면에 반영하게 함으로서 형성되게 하고, Allee는 끝없이 외부로 확산하게 한다.
- 조각, 분수등 예술 작품을 공간 구성에 있어 리듬 혹은 강조요소로서 사용한다.
- 장엄한 scale의 도입 (인간의 위엄과 권위를 고양)
- Vista를 형성한다.
2) 소로의 사용 : round point을 기점으로 팔방으로 뻗은 수렵용 도로 사냥의 중심지
3) 산림의 이용과 평면상의 전개
프랑스에서는 이탈리아의 주수종인 사이프러스, 스톤 파인, 감탕나무등의 상록수 대신 낙엽 활엽수가 주종을 이룸 → 수목 한 그루의 수형보다 녹색 mass로서의 수목을 다룸
프랑스의 정원은 단순히 평면 기하학적이고 장식적인 정원이 아닌 macro한 옥외공간
장엄양식(grand style)이라 함 : 소로에 의한 비스타(Vista) 구성하여 웅대하게 경관을 전개
총림 : 르노트르가 공간의 벽체, 비스타를 구성하기 위해 채택
→ 구획총림, 성(星)형총림, 5점형총림, 보올링 그린등 4가지
4) 장식적인 정원 : 여러가지 화단으로써 화려하게 장식
- 자수화단 : 회양목이나 로즈메리등으로써 화단을 당초무늬화단으로 만듬
- 대칭화단 : 대칭적인 4부분에 의해 나선무늬, 매듭무늬등으로 이룸
- 영국화단 : 단순히 잔디밭으로나 어떤 형태를 그려 넣은 잔디밭으로 이루어진 화단
- 구획화단 : 회양목으로써만 대칭형 무늬를 만드는 화단
- 감귤화단 : 잔디 대신 오렌지 화단을 심는 화단
- 물화단 : 분천지가 여려개 조합되어 있는 화단
5) 르노트르의 영향 : 프랑스의 바로크 이념이 가장 대담하고 철저하게 잘전됨
◆ 네덜란드 : 교외의 소정원에 프랑스식 파르테르를 만들고 여기에 튤립, 히야신스를 심었다.
◆ 중국(청) : 제주이트파 선교사에 의해 원명원속에 동양 최초의 서양식 정원을 세움
◆ 오스트리아
벨베데레궁 - 한폭의 바로크풍의 그림으로서 상하 두단의 테러스로 구성
→ 상단 : 오락지로서 600명 수용가능. 중앙에 분수를 가진 대규모 프랑스식 파르테르로 됨
하단 : 왕의 여름 거주지
현재는 고산식물원이 있다
셴브룬성 : 가장 대표적 프랑스 정원
◆ 도시계획 : 러시아의 폐테르스부르크(St. Petersburg)와 니메, 미국의 워싱턴 계획
5. 튜우더·스튜어드조의 영국
① 환경
다습 온난한 기후
완만하게 물결치듯 기복을 이룬 구릉 : 강과 소하천 역시 완만한 구릉
토지는 비옥하고 소규모의 시각적 지형단위가 끝없이 연결됨
→ 비옥한 구릉에 다습의 흐린날이 많아서 잔디밭, 보올링 그린이 성행하게 되었고 강렬한 색체의 꽃과 원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② 튜우더조의 영국정원
장원(manor)을 중심으로한 소규모의 정원으로 발달
◆ 성캐더린 수도원(St. Catherine\'s Court) : 소규모 장원으로 뛰어난 작품
오밀조밀함, 부드러운 색조, 가정 주택같은 특질, bowling green
◆ 몬타큐트(Montacute) : 이탈리아 영향의 가든
브라망테의 벨베데레원이 완공된지 75년후(1580)에 축조
의식적으로 주축선이 설정됨
평면은 대단히 단순 : H형 저택 건물의 중앙에서 긴 sight-line이 양측으로 남
분수를 설치한 잔디밭, 상단부·하단부의 테라스 → 정연하고 단순한 형태
③ 스튜어드왕조의 정원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중국의 정원에 영향을 받음
◆ 프랑스의 영향 : 의도된 주축선, 방사형의 소로, 연못, 비스타, 전정한 산울타리
→ Melbourne Hall, Brambam Park, Wrest Park, Hampton Court, Hatfield House
◆ 멜보른 호올(Melbourene Hall) : 프랑스 영향
화려하고 풍성한 식재로서 영국적인 성격에 프랑스 디자인 요소가 가미
헨리 와이즈(Henry Wise)가 정원을 개조
※ 영국의 최초의 상업적 조원사 : 와이즈와 런던(Gerge London)
◆ 레벤스 호올(Levens Hall) : 네덜란드의 영향
Topiary garden이라 불리울 만큼 다양한 형태의 토피아리 사용
영국 르네상스시대 정원의 특징인 보올링 그린, 채소원, 포장된 산책로가 설치
※ 영국 정형식 정원 특징 → 토피아리의 과다 사용
: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아 회양목, 주목등 상록수를 환상적 형태로 다듬어 만듬
◆ 햄프턴코오트 (Hampton Court) : 여러나라의 영향
소규모의 knot화단, 자갈을 깐 구획로, 원정 및 연회당, 왕가의 문장을 단 야수상등
Pond garden(Dutch garden) : 단정한 기하학적 형태에 밝고 다채로운 색상의 정원
→ 네덜란드의 영향을 잘나타내 줌
④ 영국 정형식 정원의 특징
18c의 자연풍경식과는 대조적인 정형식 정원 : 대부분 부유층을 위한 정원
테라스를 설치 : 장방형보다는 정(正)방형의 형태 → 이태리 양식을 연상케 함
→ Montacute House, Levens Hall
Forthright : 4사람 정도가 다니는 곧게 뻗은 길 → 전형적인 영국 르네상스의 한 유형
예) Haddon Hall의 Dorothy Vernen(최초의 시도), 레벤스 호올, 핫필드 하우스
: 이런 곧은 길은 자갈을 깔거나 잔디를 입혔음
→ 후에 타일이나 판석으로 재료 바뀜 (프랑스의 영향)
축산(Mound) : 대규모의 정원에서 주로 채택. 정상에는 원정 혹은 연회당을 설치함
정상에 오르는 길은 나선형 도로 → 바빌론의 직구라트와 유사한 형태
Bowling green : 볼링 경기장 → 레벤스호울이 대표적
Knots 화단 : 햄프턴 코오트
약초원(Herb garden) : 주택정원의 필수적 부분 → 거형과 장방형
영국정원의 특징적 구조물 : 석제, 나간, 철제, 장식물, 분수, 문주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