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 론
1. 미국의 정치에 대한 이해
2. 빈 라덴의 테러위협과 대선에서의 영향 분석
3. 美대선 이후의 한반도 정세
4. 미 대선 이후의 한미동맹
Ⅲ. 마치며 : 미대선 결과에 대한 나의 견해
Ⅱ. 본 론
1. 미국의 정치에 대한 이해
2. 빈 라덴의 테러위협과 대선에서의 영향 분석
3. 美대선 이후의 한반도 정세
4. 미 대선 이후의 한미동맹
Ⅲ. 마치며 : 미대선 결과에 대한 나의 견해
본문내용
의도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일 뿐이다.
Ⅲ. 마치며 : 미대선 결과에 대한 나의 견해
나는 이번 대선을 관심 있게 지켜봤다. 그 이유는 미국이란 정치 선진국의 '민주주의적인 토론'과 '선거방식', 그로인한 세계파장 때문이었다.
오늘 새벽 케리가 부시에게 전화를 걸어 패배를 인정했다는 기사가 미 방송들로부터 긴급 뉴스로 보도됐다. 이 얼마나 본받을 만한 기사인가? 어제 TV 방송뉴스를 볼 때까지만 해도 케리는 오하이오주의 부재자투표 등에 이의를 재기해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불과 몇 시간도 흐르지 않아 패배를 인정했다고 하니 미국 사회의 국익을 고려한 '승부문화'에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그동안 진보와 개혁성향의 한국사람들이 부시 재선을 우려했던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시의 밀어부치기식 세계정치 행태, 둘째, 북한을 포함한 테러국가들에 대한 반목적인 시각과 군사행동, 셋째, 미국 국익을 앞세운 군사방위와 미국경제 우선한 정책
이런 이유로 세계 여러 나라의 미움을 샀던 부시가 다시 미국대통령으로 재선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테러와의 전쟁' 때문이었다. 어쩌면 미국 국민들은 '타협'과 '대화'를 강조한 케리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는 것을 우려했을 수도 있다. 부시정책과 정책 방향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상반된다고 생각해 케리 공약이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부시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국민들은 독재와 테러에 반감을 가진 민주시민들이다. 이 테러와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부시정책이 더 실효가 있고, 미국 국익과 세계에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아무튼 이라크 전쟁으로 반미감정이 격화된 시점에서 미국 국민들은 어떻게 해서라도 부시가 마무리를 잘 지어주길 원했었을 것이다.
반미국가들과 세계 독재자들도 내심 부시보다는 케리가 미국 대통령으로 뽑히길 바랬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케리가 부시보다 온건 정책을 많이 펼 것임을 공약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 열린우리당인 여당과 청와대의 입장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북한과의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정부로서는 부시의 북한에 대한 테러국가 지목과 테러국가들에 대한 강강공책은 분명 우리나라로서는 엄청난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난 예전부터 이라크파병에 찬성 입장을 밝혀 왔고, 북한 정책에 대해서나 테러국가들에 대해서 강도 높은 정책을 펴 달라고 이야기 해 왔다. 부시 정부는 앞으로 북한 탈북주민들을 위한 '수용소'를 중국에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가 북한 김정일과 공산당에 겁을 먹고 못하는 일을 미국이 해 주는 것이다. 뉴스로 한국 정부가 중국정부에 제대로 탈북자 처리문제 하나 언급하고 항의하고, 외교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볼 때마다 나는 정부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지금도 정부차원이 아닌 민간 종교단체와 시민단체들이 가서 탈북주민들을 돕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앞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북한경제를 살리는 문제는 양당 선택해야 하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핵을 포기해야 하는 쪽으로 인식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본다.
한미동맹 강화와 방위조약 재편, 테러국가와의 전쟁, 북한경제 살리기, 탈북자 난민보호, 경제살리기는 다음 부시정부와 우리정부가 함께 공조할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이 그동안 핵문제를 언급하지도 않고, 6자회담에 대한 반응이 없었던 이유는 부시재선이 실패로 돌아가길 원하고 바랬었기 때문이었다. 이제 부시정부가 다시 출범하면 북한의 반응이 나올 것이다. 그 때 북한의 첫 마디가 무엇인 지 우리는 예의주시해서 들어 볼 필요가 있다.
Ⅲ. 마치며 : 미대선 결과에 대한 나의 견해
나는 이번 대선을 관심 있게 지켜봤다. 그 이유는 미국이란 정치 선진국의 '민주주의적인 토론'과 '선거방식', 그로인한 세계파장 때문이었다.
오늘 새벽 케리가 부시에게 전화를 걸어 패배를 인정했다는 기사가 미 방송들로부터 긴급 뉴스로 보도됐다. 이 얼마나 본받을 만한 기사인가? 어제 TV 방송뉴스를 볼 때까지만 해도 케리는 오하이오주의 부재자투표 등에 이의를 재기해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불과 몇 시간도 흐르지 않아 패배를 인정했다고 하니 미국 사회의 국익을 고려한 '승부문화'에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그동안 진보와 개혁성향의 한국사람들이 부시 재선을 우려했던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시의 밀어부치기식 세계정치 행태, 둘째, 북한을 포함한 테러국가들에 대한 반목적인 시각과 군사행동, 셋째, 미국 국익을 앞세운 군사방위와 미국경제 우선한 정책
이런 이유로 세계 여러 나라의 미움을 샀던 부시가 다시 미국대통령으로 재선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테러와의 전쟁' 때문이었다. 어쩌면 미국 국민들은 '타협'과 '대화'를 강조한 케리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는 것을 우려했을 수도 있다. 부시정책과 정책 방향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상반된다고 생각해 케리 공약이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부시를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국민들은 독재와 테러에 반감을 가진 민주시민들이다. 이 테러와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부시정책이 더 실효가 있고, 미국 국익과 세계에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아무튼 이라크 전쟁으로 반미감정이 격화된 시점에서 미국 국민들은 어떻게 해서라도 부시가 마무리를 잘 지어주길 원했었을 것이다.
반미국가들과 세계 독재자들도 내심 부시보다는 케리가 미국 대통령으로 뽑히길 바랬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케리가 부시보다 온건 정책을 많이 펼 것임을 공약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 열린우리당인 여당과 청와대의 입장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북한과의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정부로서는 부시의 북한에 대한 테러국가 지목과 테러국가들에 대한 강강공책은 분명 우리나라로서는 엄청난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난 예전부터 이라크파병에 찬성 입장을 밝혀 왔고, 북한 정책에 대해서나 테러국가들에 대해서 강도 높은 정책을 펴 달라고 이야기 해 왔다. 부시 정부는 앞으로 북한 탈북주민들을 위한 '수용소'를 중국에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정부가 북한 김정일과 공산당에 겁을 먹고 못하는 일을 미국이 해 주는 것이다. 뉴스로 한국 정부가 중국정부에 제대로 탈북자 처리문제 하나 언급하고 항의하고, 외교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볼 때마다 나는 정부에 대한 불신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지금도 정부차원이 아닌 민간 종교단체와 시민단체들이 가서 탈북주민들을 돕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앞으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북한경제를 살리는 문제는 양당 선택해야 하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핵을 포기해야 하는 쪽으로 인식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본다.
한미동맹 강화와 방위조약 재편, 테러국가와의 전쟁, 북한경제 살리기, 탈북자 난민보호, 경제살리기는 다음 부시정부와 우리정부가 함께 공조할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이 그동안 핵문제를 언급하지도 않고, 6자회담에 대한 반응이 없었던 이유는 부시재선이 실패로 돌아가길 원하고 바랬었기 때문이었다. 이제 부시정부가 다시 출범하면 북한의 반응이 나올 것이다. 그 때 북한의 첫 마디가 무엇인 지 우리는 예의주시해서 들어 볼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외교정책 연구
- 중국의 미국정책
- 1945년 ~ 1953년 미국의 대한(對韓)정책과 맥아더 재평가
- 중국의 미국정책
- 21세기 동북아 주변정세를 파악하고 이러한 주변정세의 변화 속에서 한국은 어떠한 상황에 처...
- 북핵 위기와 미국의 대북핵정책
- 동북아국제정세론- 북일관계
- [자주국방][적정 국방비][동북아시아 국방정세][자주국방 연구개발][자주국방개혁]자주국방의...
- [국제안보(세계안보), 국제안보(세계안보) 환경, 국제안보(세계안보) 정세, 이사회, 9 11테러...
- [국제][국제이해][국제정세][국제협력][국제교류][국제공항][국제비교]국제이해, 국제정세, ...
-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세상읽기와논술(E형) 미국 트럼프 정권의 등장
- 동북아 정세론-북핵위협에 따른 불안정한 동북아정세를 개관하고, 이에 따른 대한민국의 바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