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마킹의 정의와 사례 허와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벤치마킹의 정의와 사례 허와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벤치마케팅이란 ?
⦁벤치마케팅에 대한 간략한 소개

❐ 벤치마케팅의 장단점
⦁벤치마케팅의 허와 실
⦁벤치마케팅의 장점

❐ 브레인스토밍이란?
⦁개요
⦁적용절차
⦁적용사례
⦁체크리스트 적용사례

본문내용

디어에 대한 평가는 보류되어야만 한다.
자유분방 - 우스꽝스럽거나 현실적이지 않은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모든 아이디어를 환영한다. 엉뚱한 아이디어일수록 더 좋다. 아이디어는 색다른 시각으로부터 올 때가 많다.
수량추구 - 아이디어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아이디어의 수가 많을수록 훌륭한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합개선 - 참가자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더 좋은 아이디어로 바꾸거나 두세 개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훨씬 더 좋은 아이디어로 만들 수 있다.
[단계 5] 그룹의 구성원들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때 위의 네 가지 규칙을 계속 준수하도록 한다.
[단계 6] 기록원은 아이디어가 나오는 즉시 플립차트에 기록한다.
[단계 7] 아이디어가 충분히 나왔으면 잠시 휴식을 취한 뒤에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를 한다.
3. 적용사례
문제: 일을 할 때 부서간 협력이 잘 되도록 하는 방법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들이 나왔다:
목적의식을 조성한다.
훌륭한 관리자를 고용한다.
요술방망이를 휘두른다.
훌륭한 요정을 고용한다.
사교적 소풍을 장려한다 - 예를 들면, 크리스마스 파티
부서간의 전략적 결속을 추진한다.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토의한다.
공동의 문제를 논의한다.
관리기관의 컨설턴트를 초빙한다.
브레인스토밍 회의를 해서 아이디어를 낸다.
모든 부서를 없애버리고 컴퓨터 한 대로 대체한다.
컴퓨터를 없애버린다.
인간관계를 향상을 장려하고, 기계적 사고를 배격한다.
부서간 업무 분담
부서간 업무 풍성화 또는 부서간 업무 확대
참고: 어떻게 아이디어가 다른 아이디어로부터 발전되는지 주목할 것:
2-->3-->4-->9, 1-->7-->8
4. 체크리스트 적용사례
고든법(Gordon Method)
브레인 스토밍에서는 가능한 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좁히면서 아이디어를 발상하지만, 고든법은 그 반대로 문제를 구상화시켜서 무엇이 진정한 문제인가를 모른다는 상태에서 출발, 참가자들에게 그것에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게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문제가 지나치게 구체적이다 보면 발상하는 참가자가 자칫 현실적인 문제에만 사고를 국한시키게 되어 기본적으로 아이디어를 발상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고든법은 주제와 전혀 관계없는 사실로부터 발상을 시작해서 문제해결로 몰입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것에서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게 되는 것을 가끔 경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토스터의 신제품을 생각할 경우, 토스터를 눈 앞에 놓으면 확실히 아이디어는 나오지만, 근본적인 아이디어는 나오기 어렵다. 그래서 주제로서 추상적인 것 즉, 「굽다」라는 방법으로 낸다. 이런 주제를 내면, 토스터에 구애되지 않고 전혀 각도가 다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 방법은 브레인 스토밍과 비슷한 점이 많으나 주제를 내는 방법에 큰 특색이 있다. 추상의 폭을 넓혀 주제를 내면 생각하는 사람의 사고는 폭넓게 퍼져 구체적인 문제를 생각할 경우에는 도저히 상상도 못했던 아이디어가 나온다.
물론 주제가 추상적이기 때문에 나오는 아이디어도 예측과 빗나간 것도 있지만 리더는 그것들을 실제주제와 결합시켜, 회의중이라도 항상 검토하고 있어야 한다. 시기를 보아 리더는 주제를 좁히고, 회의가 끝나기 조금 전에 진짜 주제를 말한다. 단점으로는 리더의 유도가 어렵다는 것, 최저 3시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시네틱스(Synetics)
먼저 시네틱스의 어원을 찾아보면, 것관련이 없는 요소들 간의 결합겄을 의미하는 희랍어의 것synectios\'로부터 왔다. 이 개념이 고든의 연구노력에 의해 창안된 것을 일본의 나까야마(中山正和)가 보완하여 산업계에서 널리 활용하게 되었다.
고든은 천재나 대발명가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연구를 실시해 보았더니 이들은 발명과정에서 대부분 Analogy(유비, 유추, 추상)사고를 한다는 공통적인 현상을 발견했다. Analogy사고라는 것은 어떤 사물과 현상을 관찰하여 다른 사상을 추측하거나 연상하는 심리현상으로, 이것을 Imagination(상상, 공상, 구상)의 힘으로 하는 일종의 것이미지겄사고이다.
이 시네틱스 기법은 두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친숙한 것을 이용해 새로운 것을 창안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친숙치 않은 것을 친숙한 것으로 보도록하는 것이다. 우리가 주변의 사물로부터 무엇인가를 추출하려면 먼저 너무나 친숙해서 달리 보이는 것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벗어나야 한다. 우리는 친숙하지 않은 것을 보면 기존의 인지 구조내에서 이들을 탐색한 후에 무관심의 영역으로 내던져버리는 때가 많다. 그러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친숙하지 않은 상황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기법은 다음의 네가지 유형의 것들이 있다.
1) 직접적 유추(direct analogy)
실제로는 닮지 않은 두 개의 이념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는 유추방법이다. 문제해결에서의 직접적인 유추의 좋은 예는 전화기를 만들 때 사람의 귀아 입을 비교한데서 찾을 수 있다. 오늘날의 전화기를 송수화기가 하나로 붙어 있지만 옛날의 전화기는 사람의 이과 귀가 서로 떨어져 있듯이 송화기와 수화기가 따로 떨어져 있었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것치약의 튜브 뚜껑을 사용할 때마다 여는 것이 귀찮으니까 뚜껑이 없는 치약을 만들 수는 없을까겄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무도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했다.
그러던 중 어느 미국인이 우연히 말이 똥을 누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다.
발은 엉덩이의 주위가 더러워지지 않게 깨끗이 탈분하고 있었다.
이 현상에서 힌트를 얻어 말 엉덩이의 근육상태를 본떠서 밸브를 3개 사용해, 튜브를 누르면 치약이 잘 나오고 누른 손을 늦추면 밸브가 닫히며 튜브의 입구 주위에는 치약이 묻지 않는 치약을 발명하여 크게 히트한 상품이 되었다.
또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겁지금 새 호스를 만들려고 하는데 여러분은 먼저 자기 자신이 완전히 호스가 되어 주십시오. 자, 고압 액체가 당신의 몸 안에 들어왔어요. 어때요....?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11.0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