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2p
◇ 브랜드 선정이유
◇ 고품질의 시장지향적 캐주얼 브랜드 빈폴 그리고 NO-SALE 정책
본 론 --------------------------------------- 4p
1. BEANPOLE 브랜드 소개 -4p
2. 국내 패션 시장 환경 분석 - 6p
◇ 2007 Korea Fashion Market
◇ 국내패션시장 안의 빈폴 그리고 폴로
3. 경쟁사 분석 - POLO -10p
◇ 소비자 선호도 - BEANPOLE vs POLO
4.『SWOT 분석』 - 13p
5.『시장세분화, 표적시장 선택 및 포지셔닝 (STP전략)』 - 16p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6.『마케팅믹스(Marketing Mix) 전략』 - 22p
◇ Place
◇ Price
◇ Product
◇ Promotion
결 론 -------------------------------------- 27p
◈ 패션 시장에서 빈폴이 가지는 경쟁 가치
◈ ‘글로벌 브랜드’ 빈폴의 해외진출
◈ 빈폴의 발전과제
◈ 맺음말
◇ 브랜드 선정이유
◇ 고품질의 시장지향적 캐주얼 브랜드 빈폴 그리고 NO-SALE 정책
본 론 --------------------------------------- 4p
1. BEANPOLE 브랜드 소개 -4p
2. 국내 패션 시장 환경 분석 - 6p
◇ 2007 Korea Fashion Market
◇ 국내패션시장 안의 빈폴 그리고 폴로
3. 경쟁사 분석 - POLO -10p
◇ 소비자 선호도 - BEANPOLE vs POLO
4.『SWOT 분석』 - 13p
5.『시장세분화, 표적시장 선택 및 포지셔닝 (STP전략)』 - 16p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6.『마케팅믹스(Marketing Mix) 전략』 - 22p
◇ Place
◇ Price
◇ Product
◇ Promotion
결 론 -------------------------------------- 27p
◈ 패션 시장에서 빈폴이 가지는 경쟁 가치
◈ ‘글로벌 브랜드’ 빈폴의 해외진출
◈ 빈폴의 발전과제
◈ 맺음말
본문내용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reats(위협)
① 외국브랜드의 국내 입점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②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인 POLO와의 경쟁이 계속 될 것이다.
모조품 발생으로 인한 이미지 손상 가능성이 있다.
< POLO >
[내적분석]
Strength(강점)
① 성공적인 소비자들의 감성 자극 - 닮고 싶은 라이프 스타일
- 폴로가 국내 소비자에게 소개된 지 15년, 폴로는 국내에서 트래디셔널 캐주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남성복 Polo Ralph Lauren, 여성복 Ralph Lauren, 아동복 Polo Boys, 침장류인 Ralph Laruen Home Collection 등 브랜드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리딩 브랜드로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 의류 브랜드에서 가장 카피하고 싶은, 소위 말해 가장 시장성이 있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일고 있는 캐주얼 붐은 바로 폴로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② 충분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반영 및 베이직으로 소화
- 폴로가 소비자에게 끊임없는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에 대해 혹자는 10년이 지나도 어제 산 듯한 폴로의 디자인, 즉 오래 입을 수 있고 입기에 편하고 자연스러운 옷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폴로만의 고유한 멋에 변화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를 가미하고 이를 다시 폴로만의 basic으로 소화해내는 것, 이런 점이 폴로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트렌드만을 쫓아 브랜드 컨셉을 바꾸기에 바쁜 국내 여타 브랜드와의 차이점이라 하겠다. 하지만 무엇보다 폴로 랄프 로렌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던 이유는 ‘폴로는 폴로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전달하고자 끊임없이 노력을 해왔다는 점’일 것이다.
폴로는 소비자에게 단순히 ‘옷’, 즉 ‘제품’을 팔려고 하지 않는다. 제품에서부터 매장 인테리어, VMD(Visual Merchandising), 광고에 이르기까지 폴로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소비자가 이를 따르도록 한다. 의류, 액세서리, 향수, 홈 퍼니싱에 이르기까지 모든 라인에 있어서 일관성을 통해 폴로만의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폴로는 더 이상 옷을 파는 단순한 의류 브랜드가 아니다. 고객에게 폴로만의 라이프스타일, 폴로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Value), 폴로의 정신을 전달하는, 그래서 고객들의 삶에 밀착하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폴로의 브랜드 가치는 측정할 수 없는 귀한 것이 된다.
출처 : 두산 사보 2000년 4월호
< 2007년 4월 15일 한국경제 보도>
◆폴로, 백화점발(發) 추격전
폴로가 작년 하반기부터 급상승, 빈폴의 `독주 체제`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주요 판매통로인 백화점에서 이 같은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폴로 ,타미힐피거 같은 직수입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빈폴 등 국내 브랜드엔 그림자가 드리워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빈폴과 폴로의 성장세가 현격히 대비된다\"며 \"작년 하반기에 폴로가 10%대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한 데 비해 빈폴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점을 기준으로 지난 1~3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7개 브랜드 가운데 폴로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 성장해 가장 높았고 빈폴은 증가율이 1%에 그쳤다. 홍용기 롯데백화점 홍보팀 계장은 \"7개 브랜드의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을 백분율로 환산,각각의 점유율을 산출해 보면 빈폴과 폴로가 각각 26.3%,26.2%로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폴로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막대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다양성이나 각각의 수요층에 맞는 상품 개발 등에서 토종 브랜드를 압도한다\"며 \"최근 빈폴이 프리미엄급인 `컬렉션 라인`을 강화하면서 디자인 및 원단의 80%를 이탈리아에서 직수입하고 있는 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진성 제일모직 빈폴부문 전략팀장은 \"패션의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에 해외 디자인 센터를 구축한 데다 국내에서 개발이 어려운 고급 울,실크 혼방,캐시미어 혼방류 등 수입 소재들을 사용해 `컬렉션 라인`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 STP ANALYSIS.
1. Segmentation
빈폴은 기존에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연령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 브랜드를 추구하다가 시장이 다양해지고, 세분화됨에 따라 여러 타겟을 선정하여 기존의 자사의 브랜드 라인을 세분화하였다.
1) BEANPOLE
빈폴은 89년 처음 런칭된 캐주얼브랜드로 10대부터 50대까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 브랜드로 12년째 꾸준히 매출신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2) BEANPOLE LADIES
여성만을 위한 브랜드로 2001년 S/S시즌부터 새롭게 출범시킨 것으로 여성라인을 독립 브랜드화시킨 ‘빈폴 레이디스’는 유럽적인 감각에 현대감성을 가미한 Contemporary Traditional 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전통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개발적인 미국의 생활방식을 한국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절충시킨 이미지를 표방한다.
기본적인 타켓은 22세~26세의 대학생과 커리어 우먼, 지적이며 세련된 여성을 대상으로 단품 크로스코디에 강한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행복을 시즌테마로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는 빈폴은 중심색상으로 베이지, 그레이, 화이트, 그린, 블랙 등을 사용하여 산뜻한 감성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핑크, 레드, 옐로우, 블루 등을 엑센트 컬러로 사용하여, 풍부한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잇따.
주요소재는 울 스트레치 소재, 다양한 면소재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실루엣의 경우, 너무 몸에 달라붙지 않는 여유로운 슬림형으로, 실루엣이 있는 캐주얼을 표방한다.
주요아이템의 가격대를 보면, 재킷이 15만5천원~27만9천원, 바지가 8만9천원~17만9천원, 셔츠가 7만5천원~121만5천원, 스웨터가 7만9천원에서 27만9천원선이다.
3) BEANPOLE HOMME
2001년 가을 처음 출시된 빈폴 옴무눈
Threats(위협)
① 외국브랜드의 국내 입점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②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인 POLO와의 경쟁이 계속 될 것이다.
모조품 발생으로 인한 이미지 손상 가능성이 있다.
< POLO >
[내적분석]
Strength(강점)
① 성공적인 소비자들의 감성 자극 - 닮고 싶은 라이프 스타일
- 폴로가 국내 소비자에게 소개된 지 15년, 폴로는 국내에서 트래디셔널 캐주얼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남성복 Polo Ralph Lauren, 여성복 Ralph Lauren, 아동복 Polo Boys, 침장류인 Ralph Laruen Home Collection 등 브랜드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리딩 브랜드로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 의류 브랜드에서 가장 카피하고 싶은, 소위 말해 가장 시장성이 있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일고 있는 캐주얼 붐은 바로 폴로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② 충분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의 반영 및 베이직으로 소화
- 폴로가 소비자에게 끊임없는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에 대해 혹자는 10년이 지나도 어제 산 듯한 폴로의 디자인, 즉 오래 입을 수 있고 입기에 편하고 자연스러운 옷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폴로만의 고유한 멋에 변화하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트렌드를 가미하고 이를 다시 폴로만의 basic으로 소화해내는 것, 이런 점이 폴로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트렌드만을 쫓아 브랜드 컨셉을 바꾸기에 바쁜 국내 여타 브랜드와의 차이점이라 하겠다. 하지만 무엇보다 폴로 랄프 로렌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던 이유는 ‘폴로는 폴로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전달하고자 끊임없이 노력을 해왔다는 점’일 것이다.
폴로는 소비자에게 단순히 ‘옷’, 즉 ‘제품’을 팔려고 하지 않는다. 제품에서부터 매장 인테리어, VMD(Visual Merchandising), 광고에 이르기까지 폴로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소비자가 이를 따르도록 한다. 의류, 액세서리, 향수, 홈 퍼니싱에 이르기까지 모든 라인에 있어서 일관성을 통해 폴로만의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폴로는 더 이상 옷을 파는 단순한 의류 브랜드가 아니다. 고객에게 폴로만의 라이프스타일, 폴로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Value), 폴로의 정신을 전달하는, 그래서 고객들의 삶에 밀착하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폴로의 브랜드 가치는 측정할 수 없는 귀한 것이 된다.
출처 : 두산 사보 2000년 4월호
< 2007년 4월 15일 한국경제 보도>
◆폴로, 백화점발(發) 추격전
폴로가 작년 하반기부터 급상승, 빈폴의 `독주 체제`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주요 판매통로인 백화점에서 이 같은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폴로 ,타미힐피거 같은 직수입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빈폴 등 국내 브랜드엔 그림자가 드리워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빈폴과 폴로의 성장세가 현격히 대비된다\"며 \"작년 하반기에 폴로가 10%대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한 데 비해 빈폴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고 덧붙였다.
현대백화점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점을 기준으로 지난 1~3월 매출을 분석한 결과 7개 브랜드 가운데 폴로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 성장해 가장 높았고 빈폴은 증가율이 1%에 그쳤다. 홍용기 롯데백화점 홍보팀 계장은 \"7개 브랜드의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을 백분율로 환산,각각의 점유율을 산출해 보면 빈폴과 폴로가 각각 26.3%,26.2%로 거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폴로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막대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다양성이나 각각의 수요층에 맞는 상품 개발 등에서 토종 브랜드를 압도한다\"며 \"최근 빈폴이 프리미엄급인 `컬렉션 라인`을 강화하면서 디자인 및 원단의 80%를 이탈리아에서 직수입하고 있는 건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진성 제일모직 빈폴부문 전략팀장은 \"패션의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에 해외 디자인 센터를 구축한 데다 국내에서 개발이 어려운 고급 울,실크 혼방,캐시미어 혼방류 등 수입 소재들을 사용해 `컬렉션 라인`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 STP ANALYSIS.
1. Segmentation
빈폴은 기존에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연령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 브랜드를 추구하다가 시장이 다양해지고, 세분화됨에 따라 여러 타겟을 선정하여 기존의 자사의 브랜드 라인을 세분화하였다.
1) BEANPOLE
빈폴은 89년 처음 런칭된 캐주얼브랜드로 10대부터 50대까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 브랜드로 12년째 꾸준히 매출신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2) BEANPOLE LADIES
여성만을 위한 브랜드로 2001년 S/S시즌부터 새롭게 출범시킨 것으로 여성라인을 독립 브랜드화시킨 ‘빈폴 레이디스’는 유럽적인 감각에 현대감성을 가미한 Contemporary Traditional 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전통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개발적인 미국의 생활방식을 한국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절충시킨 이미지를 표방한다.
기본적인 타켓은 22세~26세의 대학생과 커리어 우먼, 지적이며 세련된 여성을 대상으로 단품 크로스코디에 강한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행복을 시즌테마로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는 빈폴은 중심색상으로 베이지, 그레이, 화이트, 그린, 블랙 등을 사용하여 산뜻한 감성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핑크, 레드, 옐로우, 블루 등을 엑센트 컬러로 사용하여, 풍부한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잇따.
주요소재는 울 스트레치 소재, 다양한 면소재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실루엣의 경우, 너무 몸에 달라붙지 않는 여유로운 슬림형으로, 실루엣이 있는 캐주얼을 표방한다.
주요아이템의 가격대를 보면, 재킷이 15만5천원~27만9천원, 바지가 8만9천원~17만9천원, 셔츠가 7만5천원~121만5천원, 스웨터가 7만9천원에서 27만9천원선이다.
3) BEANPOLE HOMME
2001년 가을 처음 출시된 빈폴 옴무눈
추천자료
[소비자행동] bean pole의 마케팅전략과 브랜드이미지,소비자만족도에 대한 조사
스포츠웨어, 골프웨어 시장의 현재모습과 그에 알맞은 마케팅 전략
Time sports(한섬) 남성 의류 마케팅 사례 분석
남성 캐주얼 헤지스 마케팅 전략
BEAN POLE의 스테디셀러 브랜드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폴로(Polo)의 마케팅 전략 분석
SPA 브랜드 포에버21의 마케팅 전략
LG패션vs제일모직 기업분석,마케팅전략비교분석과 경영전략제시
8 seconds - SPA,SPA브랜드,에잇세컨즈,에이세컨즈브랜드,제일모직,제일모직마케팅,에잇세컨...
에잇세컨즈(8seconds) vs ZARA(자라) 기업 마케팅전략,유통전략 비교분석.pptx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실패한 최신마케팅(브랜드) 사례 분석> 브랜...
블랙야크 브랜드분석과 블랙야크 마케팅 SWOT,4P전략분석과 블랙야크 미래전략제안과 향후전...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현황분석과 제일모직 주요 경영,마케팅전략분석및 제일모직 향후전략...
K2 브랜드분석과 SWOT분석및 K2 마케팅 사례분석과 향후전략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