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키릴과 발칸 반도의 그리스도교 전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시대적 배경

3. 키릴의 생애와 활동

4. 발칸 지역 선교의 의의와 종교 전파의 방향성

5. 맺음말

본문내용

한 셈이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발칸유럽에서 주류를 이루어 온 민족에게 그리스도교가 전파되는 것을 살펴보면서 종교의 전파가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것을 현대의 우리 생활과 어떤 연관을 지을 수 있을까? 사무엘 헌팅턴은 20세기 후반 탈냉전 시대의 현대사를 문명 충돌의 역사라고 했다. 실제로 현재 서방 기독교 국가의 대표 격인 미국은 석유의 문제로든, 정치적 이유로든, 이라크를 중심으로 아랍권과 적대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미국이 그들의 정책에 대해 종교적인 이유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무시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미 그들은 폭력으로 이슬람 문화를 짓밟고 아랍 민족을 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미국은 이미 기독교 국가들을 대표할 수 없는 나라다. 국제적인 문제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독교 문화의 현 주소를 생각해 봐도 종교 전파의 왜곡된 방향성은 드러난다. 다른 교단, 다른 종교와 그것에 속한 사람들을 무시하고 전혀 배려하지 않는 신앙 활동은 이미 그리스도교의 교리와 멀어져 버렸다. 선교지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문화의 전파, 종교의 전파를 이루려고 했던 키릴과 메토디우스 그리고 그들 제자들의 노력은 교리적인 정확성, 보편성을 떠나서 우리는 그들이 취한 태도를 그리스도교 선교 역사상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해도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 신우태 편저(2001), 성 끼릴과 함께 떠나는 중세 여행, 명지
- 한정숙, 김경연 옮김(1999),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1996),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까치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1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