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칸동맹
(1)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동맹조약 (1912. 3. 13)
(2) 그리스와 불가리아 동맹 조약 (1912. 5. 29)
(3) 러시아
2. 제 1차 발칸 전쟁 (1912. 10 ~ 1913. 5)
(1) 발발
(2) 전개
(3) 전쟁의 종식
3. 제 2차 발칸 전쟁 (1913. 6 ~ 8)
(1) 배경
(2) 전개
(3) 종식
(4) 결과
Ⅲ. 결론 (발칸전쟁의 의의)
Ⅱ. 본론
1. 발칸동맹
(1)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동맹조약 (1912. 3. 13)
(2) 그리스와 불가리아 동맹 조약 (1912. 5. 29)
(3) 러시아
2. 제 1차 발칸 전쟁 (1912. 10 ~ 1913. 5)
(1) 발발
(2) 전개
(3) 전쟁의 종식
3. 제 2차 발칸 전쟁 (1913. 6 ~ 8)
(1) 배경
(2) 전개
(3) 종식
(4) 결과
Ⅲ. 결론 (발칸전쟁의 의의)
본문내용
었다.
(4) 결과
- 발칸 전쟁으로 오.헝과 세르비아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알바니아의 건설과 관련 하여 양국은 화해할 수 없는 적대관계로 되었다.
- 발칸 전쟁은 러시아, 오.헝간의 전쟁으로 확산 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 독일은 오.헝의 지지를, 프랑스는 러시아의 지원을 분명히 하였다.
- 그러나 발칸 전쟁은 국지전으로 종식되었다.
- 사라예보(Sarajavo) 사건 이후에도 독일과 오.헝은 분쟁을 국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 으나 그들의 판단은 착오였다.
Ⅲ. 결론 (발칸전쟁의 의의)
삼국동맹이라는 중부 유럽 국가군과 삼국협상이라는 동맹체제 간의 대립이 더욱 심화되어 열강간의 새로운 긴장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발칸 전쟁은 세계 대전의 전초전에 불과하였다. 불가리아는 제 1차 발칸 전쟁을 통해 획득한 영토를 모두 잃었기 때문에 현상 타파 국가가 되었으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제 1차 세계대전에서는 독일, 오스트리아 측에 가담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
◎ 김순규 『신국제정치사』(1994)
◎ 김용구 『세계외교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로이 브리지, 로저 불렌, 이상철 옮김 『새 유럽 외교사(Ⅰ) 1815-1914』 (1995)
(4) 결과
- 발칸 전쟁으로 오.헝과 세르비아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알바니아의 건설과 관련 하여 양국은 화해할 수 없는 적대관계로 되었다.
- 발칸 전쟁은 러시아, 오.헝간의 전쟁으로 확산 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 독일은 오.헝의 지지를, 프랑스는 러시아의 지원을 분명히 하였다.
- 그러나 발칸 전쟁은 국지전으로 종식되었다.
- 사라예보(Sarajavo) 사건 이후에도 독일과 오.헝은 분쟁을 국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 으나 그들의 판단은 착오였다.
Ⅲ. 결론 (발칸전쟁의 의의)
삼국동맹이라는 중부 유럽 국가군과 삼국협상이라는 동맹체제 간의 대립이 더욱 심화되어 열강간의 새로운 긴장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발칸 전쟁은 세계 대전의 전초전에 불과하였다. 불가리아는 제 1차 발칸 전쟁을 통해 획득한 영토를 모두 잃었기 때문에 현상 타파 국가가 되었으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제 1차 세계대전에서는 독일, 오스트리아 측에 가담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
◎ 김순규 『신국제정치사』(1994)
◎ 김용구 『세계외교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로이 브리지, 로저 불렌, 이상철 옮김 『새 유럽 외교사(Ⅰ) 1815-1914』 (1995)
추천자료
이라크 파병에 대하여...
의화단 운동과 신해혁명에 대한 조사
[국사교육] 일제의 침략과정
중국.소련(러)관계 변천 원인에 관한 연구
전환기 남북미관계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의도 및 한미의 딜레마
탈냉전기 NATO의 변화와 전망
일본군 위안부 한국 정부는 무죄인가
재세례파
메이지 유신의 진행과정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유로존(Eurozone)의 재정위기와 해결방안 [유럽연합(EU)의 개념(정의)과 형성배경 및 목적, ...
유로존(Eurozone)의 재정위기와 해결방안 (유럽연합의 개념과 형성배경 및 목적, 유로존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