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 진의 형성배경과 초기
1. 춘추 ․ 전국시대의 개괄
2. 여불위와 진시황제 이야기
3. 6국의 멸망 → 진의 천하 통일
4.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
<<참고>>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
> 진나라의 발전
1. 정치
2. 경제
3. 문화
> 진시황에 대해 - 진시황은 어떤인물 이었을까?
1. 처음으로 황제(皇帝)의 칭호를 쓰다
2. 진 시황제의 통일 정책
3. 불로장생의 꿈
4. 또 하나의 거대한 지하도시, 진시황릉
5. 만리장성을 진시황이 모두 쌓은 것?
6. 진시황의 죽음
<<참고자료>>진시황의 등은 곱사등이었다?
> 진의 멸망
1. 원인
2. 결과
> 한의 건국
1. 계기
※참고자료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조관희
-사기본기, 이인호
-중국역사 박물관, 중국사학회
-이야기 중국사 1권, 청아출판사
-繪畵本)中國通史 :秦漢.2, 浙江小年兒童出版社
> 진의 형성배경과 초기
1. 춘추 ․ 전국시대의 개괄
2. 여불위와 진시황제 이야기
3. 6국의 멸망 → 진의 천하 통일
4.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
<<참고>>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
> 진나라의 발전
1. 정치
2. 경제
3. 문화
> 진시황에 대해 - 진시황은 어떤인물 이었을까?
1. 처음으로 황제(皇帝)의 칭호를 쓰다
2. 진 시황제의 통일 정책
3. 불로장생의 꿈
4. 또 하나의 거대한 지하도시, 진시황릉
5. 만리장성을 진시황이 모두 쌓은 것?
6. 진시황의 죽음
<<참고자료>>진시황의 등은 곱사등이었다?
> 진의 멸망
1. 원인
2. 결과
> 한의 건국
1. 계기
※참고자료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조관희
-사기본기, 이인호
-중국역사 박물관, 중국사학회
-이야기 중국사 1권, 청아출판사
-繪畵本)中國通史 :秦漢.2, 浙江小年兒童出版社
본문내용
천하통일을 위한 기반을 다져갔다.
부국강병의 추구와 권모 술수가 소용돌이치며 명군과 명신들, 명장과 맹장들의 일진 일퇴의 공방전이 근 2백년 동안 계속되는 동안 진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나라의 힘은 점점 쇠약해져 차례차례 진나라에 멸망해 버리고 B.C.221년 제나라가 마지막으로 진나라에 항복함으로써 진의 시황제가 중국최초의 대통일 국가를 세우가 된다.
2. 여불위와 진시황제 이야기
전국시대에는 상인들이 각국을 왕래하면서 상업을 경영하는 사람이 많았다. 여불위도 그중 하나로 그는 천금의 재산을 모은 큰 부자였다. 그가 어느날 상업관계로 조나라 수도 한단에 왔다가 우연한 기회에 진나라에서 인질로 와 있는 진왕의 손자 자초를 만나게 된다. 자초는
진 소왕의 둘째아들 안국군의 20여명이나 되는 아들중의 하나로 왕위 계승서열로 따지면 전혀 가망이 없는 편에 속했었다. 하지만 진나라 태자가 죽고 안국군이 태자가되었다. 당시 안국군의 정부인인 화양부인에게는 아들이 없었는데, 이를 안 여불위는 자초에게 많은 재물을 주어 훌륭한 빈객들을 사귀게 하는 한편, 화양부인과 그녀의 언니에게 예물을 바치면서 자초를 후계자로 삼게 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 열전에 따르면, 여불위는 자초의 청에 못 이겨 자신의 애첩까지 자초에게 시집보냈는데 당시 그의 애첩은 임신 중이었다고 한다. 이듬해 태어난 아이가 정(政)이니 곧 훗날의 진시황이다. 사마천의 말대로라면, 진시황은 여불위의 아들인 셈이다
진의 소왕이 죽고 태자 안국군이 즉위하니 이가 효문왕(孝文王)이다. 효문왕이 즉위하자 자초를 태자로 삼았으며 조나라에서는 자초의 부인과 아들정을 진나라로 돌려보냈다. 소왕이 죽은후 1년의 상기를 마치고 즉위식을 올린 효문왕은 즉위 3일만에 죽고, 태자였던 자초가 장양왕으로 즉위하나, 즉위3년만에 죽게 됨으로, B.C.246년 13세의 어린 나이로 정이 왕이 된다. 정은 여불위를 상승보다 한층 높은 ‘상국’으로 삼는다.
여불위는 많은 선비들을 불러모아 이른바 백과사절을 펴낸다. 사람들을 이를 『여씨춘추(呂氏春秋)』라 불렸는데 그 대부분은 아직까지 현존한다. 『여씨춘추』가 완성되자 여불위는 이것을 함양의 시문에 진열하여 놓고 천금을 그위에 달아놓은 다음「이 책에서 단 한 글자라도 더 보태거나 빼버리거나 고치는 자가 있으면 천금을 주겠노라」로 호언했다. 후세에 이글을 가르쳐 ‘일자천금(一字千金)’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고사에서 비론된 것이다.
한편, 여불위는 일찍이 자신의 첩이었던 시황제의 생모와 정을 통하고 있었는데, 그는 이일이 발각되어 화가 미칠것을 걱정하여 ‘노애’를 대신 태후에게 보냈고, 그둘사이에 두 아들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 추문이 드디어 시황제 9년(B.C.238)에 드러나 노애의 삼족을 멸하고 노애사건 1년후에 여불위를 상국의 직에서 파면하고 그의 봉지인 하남 낙양으로 보냈다.
그러나 그에게 제후들의 빈객과 사자들의 끊임없는 왕래를 보고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다시 촉땅으로 보냈다. 여불위는 진시황이 장차 자기를 참형에 처할것을 알고 시황제 12년(B.C. 235)에 스스로 음독자살한다.
3. 6국의 멸망 → 진의 천하 통일
전국시대로 들어서면서 군웅이 할거하여 밀고 밀리는 전쟁이 200여 년 동안 계속되자 진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나라는 국력이 약화되어, 진나라에 의해 차례차례 멸망하게 되었다. (번호 순서대로 멸망)
① 한나라: 시황제 17년(B.C.230)멸망. 지리적으로 진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으며 가장 약한 나라였기 때문에 먼저 멸망함.
② 조나라: 시황제 19년(B.C.228) 조나라 수도 한단이 함락되고 노나라가 멸망.
③ 위나라: 시황제 22년(B.C.225)위나라 수도 대량이 함락되고 위왕은 포로가 됨으로 멸망.
④ 초나라: 시황제 24년(B.C.223)멸망. 진의 왕전을 맞아 싸운 초의 항연은 나중에 진나라를 멸망시킨 항우의 일족으로 항우의 할아버지뻘이다.
⑤ 연나라: 시황제 25년(B.C.222)멸망. cf)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아래 참조
⑥ 제나라: 시황제 26년(B.C.221)제나라의 항복으로 마침내 천하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게 되었다.
4.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
진나라가 전하를 통일하는 역사적 과정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은 바로 연나라 태자 단(丹)이 자객 형가를 진나라에 보내어 시황제를 암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다.
일찍이 연나라 태자 단은 조나라에 인질로 가있었는데 조나라에 인질로 와있던 자초의 아들 정과 가까워져 그 둘은 유년기시절을 아주 절친하게 보냈다. 후에 정이 진나라 임금이 되고, 단이 진의 인질로 가게 되었는데, 옛 친구의 정을 생각해 반가히 대해줄거라 여겼던 단의 생각과는 반대로 진왕 정은 그를 냉정하게 대했고, 자신의 조국 연을 멸망하려하였다. 이에 태자 단은 원한을 품고 도망하여 돌아와 복수를 위해 형가라는 자객을 고용한다.
한편, 진나라의 장수 번오기가 진왕에게 죄를 짓고 연나라에 망명와 있었는데, 그는 시황제 암살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목을 내놓는다. 형가는 번장군의 머리와 연나라 독항(督亢) 땅의 지도를 들고 시황제 앞에 서게 된다. 시황제 앞에서 두루마리로 된 지도를 펼치며, 두루마리 끝에 숨겨둔 비수로 시황제를 찌르지만 빗나가고 그의 암살을 실패하게 된다. 형가가 진나라 함양궁에서 죽음을 당한 5년후 연나라는 멸망한다.
<<참고>>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
1. 지리적 이점
진나라의 경우 국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외국군이 쉽게 쳐들어가지 못합니다.
2. 풍부한 인재들
전국시대 7국 가운데서 인재가 제일 많은 나라가 바로 진나라입니다. 물론 자국출신의 인재들도 있었지만 외국에서 온 인재들도 능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높은 자리에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왕족이나 귀족이라도 능력이 없으면 출세를 못했지요. 백리해, 건숙, 상군(상앙),이사) 등이 모두 외국출신으로 정승의 반열에 오른 사람들입니다.
3. 확고한 왕권
진나라의 경우 왕만이 철을 제조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왕족들의 힘이 약합니다.(철이 없으므로 무기를 만들 수 없고 결국 사병도 기를 수 없으므로) 진나라의 경우는 왕이 암살당하거나
부국강병의 추구와 권모 술수가 소용돌이치며 명군과 명신들, 명장과 맹장들의 일진 일퇴의 공방전이 근 2백년 동안 계속되는 동안 진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나라의 힘은 점점 쇠약해져 차례차례 진나라에 멸망해 버리고 B.C.221년 제나라가 마지막으로 진나라에 항복함으로써 진의 시황제가 중국최초의 대통일 국가를 세우가 된다.
2. 여불위와 진시황제 이야기
전국시대에는 상인들이 각국을 왕래하면서 상업을 경영하는 사람이 많았다. 여불위도 그중 하나로 그는 천금의 재산을 모은 큰 부자였다. 그가 어느날 상업관계로 조나라 수도 한단에 왔다가 우연한 기회에 진나라에서 인질로 와 있는 진왕의 손자 자초를 만나게 된다. 자초는
진 소왕의 둘째아들 안국군의 20여명이나 되는 아들중의 하나로 왕위 계승서열로 따지면 전혀 가망이 없는 편에 속했었다. 하지만 진나라 태자가 죽고 안국군이 태자가되었다. 당시 안국군의 정부인인 화양부인에게는 아들이 없었는데, 이를 안 여불위는 자초에게 많은 재물을 주어 훌륭한 빈객들을 사귀게 하는 한편, 화양부인과 그녀의 언니에게 예물을 바치면서 자초를 후계자로 삼게 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 열전에 따르면, 여불위는 자초의 청에 못 이겨 자신의 애첩까지 자초에게 시집보냈는데 당시 그의 애첩은 임신 중이었다고 한다. 이듬해 태어난 아이가 정(政)이니 곧 훗날의 진시황이다. 사마천의 말대로라면, 진시황은 여불위의 아들인 셈이다
진의 소왕이 죽고 태자 안국군이 즉위하니 이가 효문왕(孝文王)이다. 효문왕이 즉위하자 자초를 태자로 삼았으며 조나라에서는 자초의 부인과 아들정을 진나라로 돌려보냈다. 소왕이 죽은후 1년의 상기를 마치고 즉위식을 올린 효문왕은 즉위 3일만에 죽고, 태자였던 자초가 장양왕으로 즉위하나, 즉위3년만에 죽게 됨으로, B.C.246년 13세의 어린 나이로 정이 왕이 된다. 정은 여불위를 상승보다 한층 높은 ‘상국’으로 삼는다.
여불위는 많은 선비들을 불러모아 이른바 백과사절을 펴낸다. 사람들을 이를 『여씨춘추(呂氏春秋)』라 불렸는데 그 대부분은 아직까지 현존한다. 『여씨춘추』가 완성되자 여불위는 이것을 함양의 시문에 진열하여 놓고 천금을 그위에 달아놓은 다음「이 책에서 단 한 글자라도 더 보태거나 빼버리거나 고치는 자가 있으면 천금을 주겠노라」로 호언했다. 후세에 이글을 가르쳐 ‘일자천금(一字千金)’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고사에서 비론된 것이다.
한편, 여불위는 일찍이 자신의 첩이었던 시황제의 생모와 정을 통하고 있었는데, 그는 이일이 발각되어 화가 미칠것을 걱정하여 ‘노애’를 대신 태후에게 보냈고, 그둘사이에 두 아들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 추문이 드디어 시황제 9년(B.C.238)에 드러나 노애의 삼족을 멸하고 노애사건 1년후에 여불위를 상국의 직에서 파면하고 그의 봉지인 하남 낙양으로 보냈다.
그러나 그에게 제후들의 빈객과 사자들의 끊임없는 왕래를 보고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다시 촉땅으로 보냈다. 여불위는 진시황이 장차 자기를 참형에 처할것을 알고 시황제 12년(B.C. 235)에 스스로 음독자살한다.
3. 6국의 멸망 → 진의 천하 통일
전국시대로 들어서면서 군웅이 할거하여 밀고 밀리는 전쟁이 200여 년 동안 계속되자 진나라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나라는 국력이 약화되어, 진나라에 의해 차례차례 멸망하게 되었다. (번호 순서대로 멸망)
① 한나라: 시황제 17년(B.C.230)멸망. 지리적으로 진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으며 가장 약한 나라였기 때문에 먼저 멸망함.
② 조나라: 시황제 19년(B.C.228) 조나라 수도 한단이 함락되고 노나라가 멸망.
③ 위나라: 시황제 22년(B.C.225)위나라 수도 대량이 함락되고 위왕은 포로가 됨으로 멸망.
④ 초나라: 시황제 24년(B.C.223)멸망. 진의 왕전을 맞아 싸운 초의 항연은 나중에 진나라를 멸망시킨 항우의 일족으로 항우의 할아버지뻘이다.
⑤ 연나라: 시황제 25년(B.C.222)멸망. cf)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아래 참조
⑥ 제나라: 시황제 26년(B.C.221)제나라의 항복으로 마침내 천하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게 되었다.
4. 형가의 시황제 암살사건
진나라가 전하를 통일하는 역사적 과정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은 바로 연나라 태자 단(丹)이 자객 형가를 진나라에 보내어 시황제를 암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다.
일찍이 연나라 태자 단은 조나라에 인질로 가있었는데 조나라에 인질로 와있던 자초의 아들 정과 가까워져 그 둘은 유년기시절을 아주 절친하게 보냈다. 후에 정이 진나라 임금이 되고, 단이 진의 인질로 가게 되었는데, 옛 친구의 정을 생각해 반가히 대해줄거라 여겼던 단의 생각과는 반대로 진왕 정은 그를 냉정하게 대했고, 자신의 조국 연을 멸망하려하였다. 이에 태자 단은 원한을 품고 도망하여 돌아와 복수를 위해 형가라는 자객을 고용한다.
한편, 진나라의 장수 번오기가 진왕에게 죄를 짓고 연나라에 망명와 있었는데, 그는 시황제 암살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목을 내놓는다. 형가는 번장군의 머리와 연나라 독항(督亢) 땅의 지도를 들고 시황제 앞에 서게 된다. 시황제 앞에서 두루마리로 된 지도를 펼치며, 두루마리 끝에 숨겨둔 비수로 시황제를 찌르지만 빗나가고 그의 암살을 실패하게 된다. 형가가 진나라 함양궁에서 죽음을 당한 5년후 연나라는 멸망한다.
<<참고>>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
1. 지리적 이점
진나라의 경우 국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외국군이 쉽게 쳐들어가지 못합니다.
2. 풍부한 인재들
전국시대 7국 가운데서 인재가 제일 많은 나라가 바로 진나라입니다. 물론 자국출신의 인재들도 있었지만 외국에서 온 인재들도 능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높은 자리에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왕족이나 귀족이라도 능력이 없으면 출세를 못했지요. 백리해, 건숙, 상군(상앙),이사) 등이 모두 외국출신으로 정승의 반열에 오른 사람들입니다.
3. 확고한 왕권
진나라의 경우 왕만이 철을 제조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왕족들의 힘이 약합니다.(철이 없으므로 무기를 만들 수 없고 결국 사병도 기를 수 없으므로) 진나라의 경우는 왕이 암살당하거나
추천자료
고사성어를 통해 본 춘추 전국 시대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 대해...
고구려 5부 체제의 성립과 그 구조
우리나라 금속공예의 성립과발전
중세 유럽세계의 성립과 봉건사회
한나라의 정치(동양고대)
중국 역사 변천 레포트 (레포트 표지와 차례)
[제조물책임법][PL법][제조물책임][PL]제조물책임법(PL법)의 정의, 성립배경과 제조물책임법(...
위진시대의 현학
춘추전국통일
진한사 1장~8장 요약정리
[발명][학부모발명교육][학부모발명교육 방침][학부모발명교육 효과]발명의 개념, 발명의 성...
[저작물][저작권][저작물 복제][저작물 이용][홈페이지][저작물 기술조치보호]저작물의 성격,...
동양의 역사와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