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6061합금의 시료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 관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L6061합금의 시료에 따른 기계적 특성 변화 관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속현미경은 시편에 수직으로 광선을 입사시켜 반사된 빛에 의해서 관찰하게 된다. 편을 시편대 위에 올려 놓을 때에는 시편이 광축에 똑바로 수직이 되게 하기 위하여 평압기를 사용한다. 시편을 시편대 위에 올려 놓은 후에는 다음의 조작에 의하여 조직을 관찰한다.
(1) 먼저 접안 렌즈를 뽑아내고 그 속을 들여다 보년서 유리판의 밝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광학의 위치와 유리판의 회전을 조정한다. 밝기가 균일하고 또 중심부에 밝은 부분이 위치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야 조리개와 밝기 조리개를 조절한다. 완저하게 되었을 경우 접안 렌즈를 끼우고 저배율에서 대체적인 초점을 맞춘다.
(2) 다음은 초점 조정을 한다. 우선 저배율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보면서 시편의 대물렌즈를 가까이 접근시킨 다음 접안렌즈를 통하여 조동 손잡이로 대강의 초점을 맞힌 후 미동 손잡이로 정확히 초점을 맞춘다. 고배율로 관찰할 필요가 있을 때는 대물렌즈의 변환기를 회전기켜 고배율의 대물렌즈로 바꾸고 미동손잡에 의해서 초점을 맞춘다. 또한 1000배 이상의 고배율에서 관찰할 때에는 유침계렌즈를 사용하여, 이 때 렌즈와 시편사이에는 기름을 채운다.
(3)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조직을 관찰하게 되는데 관찰 요령은 다음과 같다.우선 처음의 관찰 배율은 100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현미경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는 특히 초점을 잘 맞추고 적당한 배율, 밝기 등을 조절해서 일반 사진을 촬영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촬영한다. 또한 35mm필름을 사용해서 촬영할 때에는 고감도 필름(ASA 100이상)이 노출시간도 짧고, 시야가 어두울 때도 유리하지만 명암이 약해지지 때문에 보통 ASA 50 이하의 필름이 좋다.관찰된 조직은 반드시 부식액, 부식시간, 배율 등을 적어 놓도록 한다.
(4) 렌즈의 분해능은 시편중의 2점을 보고 구분할 수 있는 최단거리(D),
즉 빛의 파장을 λ,렌즈의 개구수(대물렌즈에 표시되어 있음)를 N.A라고 하면 D=0.61λ/N.A로 나타낼 수 있다.광학현미경에서 렌즈계(주로 대물렌즈의 N.A)를 적절히 선택하므로서0.25μ(유침계렌즈), 0.5μ(건조계렌즈) 정도까지의 미세조직을 식별할 수 있다.현미경의 배율은 렌즈의 개구수(N.A)의 500∼1000배로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로크웰 경도시험기
로크웰 경도는 압입 자국이 작아서 시험편이 작은 것 또는 얇은 것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단단한 재료 및 연한 재료의 금속과 합금의 경도 측정에 널리 사용된다. 로크웰 경도는 아래 그림의 (b)와 같이 기본 하중(10kgf)을 작용시키고 이것에 시험 하중(강구는 100kgf, 다이아몬드 압입체는 150kgf)으로 한 후 다시 처음 하중으로 하였을 때, 기본 하중과 시험 하중으로 인하여 생긴 자국의 깊이 차 h로 측정한다.
로크웰 경도 시험에서는 압입체의 종류와 하중의 크기 등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여러 종류의 시험 조건이 있으며 주로 B 스케일과 C 스케일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B 경도는 대략 0~100, C 경도는 0~70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마. 충격시험
1) 충격 시험편 규격
시험편은 그 모양 및 치수에 따라 1~5호 시편으로 구분하고, 그 중 2호, 4호 , 5호의 표준 치수와 용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 5호 시험편 (샤르피 충격 시험기에 사용) >
충격 시험편 홈 부분의 대칭 평면과 시험편의 길이 방향 중심축선이 이루는 각은 452이내이어야 하고 홈 부는 매끄러워야 하며, 시험편의 나비는 재료의 치수 형편에 따라 10mm미만의 치수로 변경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표준 나비는 7.55mm및 2.5mm로 하고 이들의 호칭 치수에 대한 치수 허용하는 어느 것이나 0.05mm로 한다. 이 경우 시험 결과는 시험편 번호 외에 시험편의 나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2) 충격시험기의 원리 및 충격값
샤르피 충격 시험기(Charpy impact tester)
샤르피 충격시험은 노치를 가진 시험편을 일정한 높이에서 해머(hammer)로 타격해서 파단시키고 그때의 흡수 에너지(Energy)를 구하는 방법을 샤르피시험(Charpy impact test)이라고 하고 1901년 G. Charpy가 발표한 시험법으로 오늘날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 3-4>는 샤르피 충격시험기의 원리를 나타내었다. 처음에 설립한 진자의 지지각 α와 파괴한 후에 반대측으로 진상한 각 β를 구하고 양쪽의 위치에너지의 차로부터 시편의 파괴에 소비된 에너지를 구한다. 장치가 비교적 작아서 취급하기 쉬우며 시편파괴에 요하는 에너지를 구한다. 장치가 비교적 작아서 취급하기 쉬우며 시편파괴에 요하는 에너지도 간단히 구할 수 있는 점등 장점이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아지조드 시험법이 영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반면 샤르피 충격 시험은 미국, 독일, 프랑스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해머와 시편지지대를 <그림 3-5>에 나타내었다. 금속시험편의 경우에는 30kg.m 또는 50kg.m 용량의 기계가 사용되지만 합성수지재료의 충격시험용으로는 0.3kg.m정도의 것도 있다. 사용할 때편의 규격을 <그림 3-6>에 나타내었다. 충격속도는 5~6m/초이다.
시험편의 노치부의 뒷면을 해머로 때려 1회의 충격으로 시험편을 파괴한다.
시험편을 설치할 때에는 시편의 노치부를 지지대의 중앙에 일정시키고 해머가 정확히 노치부 뒷면이 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실온 이외 온도에서 실험할 경우에는 지정시험온도에 의 허용차를 갖는 액조 속에서 적어도 10분간(또는 60분간) 유지시킨 후 끄집어내어 5초 이내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번 시험은 15℃의 실험실 온도분위기에서 실시하였다.
<그림 3-4> 샤르피충격시험의 원리도 <그림 3-5> 샤르피충격시험기 시편지지대와 해머
<<그림 3-4>에서 초기 해머의 지지각을 α, 파단후의 상승각을 β, 해머의 중량을 W(kg), 회전중심에서 해머 중심까지의 거리를 R(cm), 해머중심의 처음 높이를 (cm), 충격후의 해머의 중심높이를 (cm)라고 하면

키워드

Al6061,   합금,   시표,   기계,   기계적,   특성,   현미경,   관찰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