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기후변동의 의미
2. 기후변동의 원인
3. 지질시대의 구분과 기후환경
① 선캄브리아대의 환경
② 고생대의 환경
③ 중생대의 환경
④ 신생대의 환경
4. 후빙기의 기후변동
5. 제3기~후빙기의 기후환경과 해수면 변동
6. 신생대 제4기의 해수면 변화와 지형 발달
7.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재앙
Ⅲ. 결 론
Ⅱ. 본 론
1. 기후변동의 의미
2. 기후변동의 원인
3. 지질시대의 구분과 기후환경
① 선캄브리아대의 환경
② 고생대의 환경
③ 중생대의 환경
④ 신생대의 환경
4. 후빙기의 기후변동
5. 제3기~후빙기의 기후환경과 해수면 변동
6. 신생대 제4기의 해수면 변화와 지형 발달
7.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재앙
Ⅲ. 결 론
본문내용
하기에는 지구 기온이 내려가고 극 빙하가 확장되면서 해수량이 줄어들어 해수면은 하강하였다. 이에 대해 간빙기 때는 지구 기온이 상승하고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해수량이 늘어나고 해수면은 상승하였다. 이러한 해수면 변동은 해안 지형, 하천 지형의 형성, 변화에 영향을 끼쳤으며, 인간을 비롯한 생물들의 대륙 간 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제3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년∼약 200만년전의 시기로 이때는 지금보다도 세계 전체적으로 온화한 기온을 보인 때이다. 남극의 빙하나 그린란드의 빙하가 사라지고 수목이 우거졌으며 사하라 사막에도 울창한 수목이 형성되었다. 해수면은 지금보다도 180m 정도 높았으며 공룡이 멸망하고 포유류와 조류가 발달한 시기이다. 이러한 고온 시기에는 화학적 풍화가 많이 진전되었으며, 반면 제4기에는 기계적 풍화가 많이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때는 인도대륙이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을 형성하였고 환태평양 지역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제3기 말부터 기온이 점차 하강하였다. 기온 하강에는 화산폭발, 지구자전과 공전주기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반면 제4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200만년에 시작된 시기로 인류의 출현시기이다. 이 시기는 극심한 기후의 변동을 보이면서 지표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 크게 Pleistocene(홍적세)와 Holocene(충적세)로 구분되며 전자를 구석기 시대로 후자를 신석기 시대로 구분한다. 전자의 시기에는 빙하의 확장에 따른 빙기와 간빙기가 최소 4번 이상이 출현하였다. 빙기에는 해수면이 하강하는데 특히 마지막 빙기에는 현 해수면보다도 약 100m 정도가 하강하면서 인접 지역이 연결되어 인류와 동물의 이동이 가능하였다. 가령 제주도의 구석기 유적과 육지 동물인 사슴 등이 나타나는 것이나 일본의 조상들의 이동 등도 이때 일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간빙기에는 지금과 비슷한 기후환경을 보이면서 해수면이 상승하였다. 덕천 승리산 유적 등지에서 남방계의 물소 뼈와 북방계의 맘모스 뼈가 동시에 출토되는 것은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약 8000년 전부터 온화해지면서 해수면이 상승한 후빙기에 신석기 문화가 우리나라의 문화 원류가 되면서 주로 해안가와 산록에 패총과 지석묘 문화를 만들었다. 이때의 급격한 해수면 상승은 약 6000년에 피크를 이루면서 내륙 깊숙이 침입하여 내륙 평야의 토대를 이루고 많은 지형변화를 가져왔다.
6. 신생대 제4기의 해수면 변화와 지형 발달
신생대 제4기에는 4차례의 빙기와 3차례의 간빙기가 있었으며 마지막 빙기인 뷔름 빙기 이후 현재까지를 후빙기라 한다.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은 침식 기준면에 변화를 일으켜 지형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침식 기준면이란 하천이 지표를 깎아 낼 수 있는 한계로, 보통 해수면을 침식 기준면으로 간주한다.
빙기에는 지구상의 많은 수분이 얼음 상태가 되므로 해수면이 내려가게 되는데, 마지막 빙기인 뷔름기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120m 정도 하강하여 황해와 남해는 육지로 드러나 우리 나라는 중국·일본과 연결되었었다. 즉 마지막 빙기의 경우 현재의 황해는 육지였으며 남해안 다도해의 섬들은 육지의 산지였다. 해수면이 하강하면 침식 기준면이 낮아짐에 따라 하천의 침식 작용이 활발해져 하곡은 깊이 파이게 되며, 하천의 침식 작용에 의해 감입곡류천, 하안단구 등이 발달하게 된다. 또한 현재보다 기온이 낮아 기계적 풍화가 활발하였고 백두산 주변의 고산 지대에서는 빙하 지형인 카르(권곡)가 형성되었다.
간빙기(후빙기)에는 기온 상승으로 고위도 지방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여 황 남해에는 넓은 대륙붕이 형성되었다. 또한 깊은 골짜기에 만이 형성되고 해안 저지대가 침수되어 황·남해안에는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 형성되었고, 동해안에는 만의 입구를 사주가 가로막아 석호가 형성되었다. 해수면 상승에 의한 침식 기준면의 상승으로 하천의 침식력이 상실되고 퇴적 작용이 활발해져 충적 지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해수면의 높이는 빙기의 발달과 후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빙하기에는 해수면은 낮아져 현재보다 약 130m나 하강하였다. 빙하의 융해에 따라 해수면은 높아졌으며 후빙기 고온기에는 세계곳곳에 해진이 일어났다. 우리나라 주변에서는 빙하기에는 대륙붕이 완전히 드러나 중국본토와 육속이 되었으며 일본과도 육속되어 있었다. 그것이 빙하가 사라지면서 해면은 상승했고 황해나 동해가 형성되었다. 서울 주변의 구정선으로 보아 후빙기고온기에 최대로 해면이 높아
제3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년∼약 200만년전의 시기로 이때는 지금보다도 세계 전체적으로 온화한 기온을 보인 때이다. 남극의 빙하나 그린란드의 빙하가 사라지고 수목이 우거졌으며 사하라 사막에도 울창한 수목이 형성되었다. 해수면은 지금보다도 180m 정도 높았으며 공룡이 멸망하고 포유류와 조류가 발달한 시기이다. 이러한 고온 시기에는 화학적 풍화가 많이 진전되었으며, 반면 제4기에는 기계적 풍화가 많이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때는 인도대륙이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을 형성하였고 환태평양 지역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던 시기이다. 제3기 말부터 기온이 점차 하강하였다. 기온 하강에는 화산폭발, 지구자전과 공전주기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반면 제4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200만년에 시작된 시기로 인류의 출현시기이다. 이 시기는 극심한 기후의 변동을 보이면서 지표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 크게 Pleistocene(홍적세)와 Holocene(충적세)로 구분되며 전자를 구석기 시대로 후자를 신석기 시대로 구분한다. 전자의 시기에는 빙하의 확장에 따른 빙기와 간빙기가 최소 4번 이상이 출현하였다. 빙기에는 해수면이 하강하는데 특히 마지막 빙기에는 현 해수면보다도 약 100m 정도가 하강하면서 인접 지역이 연결되어 인류와 동물의 이동이 가능하였다. 가령 제주도의 구석기 유적과 육지 동물인 사슴 등이 나타나는 것이나 일본의 조상들의 이동 등도 이때 일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간빙기에는 지금과 비슷한 기후환경을 보이면서 해수면이 상승하였다. 덕천 승리산 유적 등지에서 남방계의 물소 뼈와 북방계의 맘모스 뼈가 동시에 출토되는 것은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약 8000년 전부터 온화해지면서 해수면이 상승한 후빙기에 신석기 문화가 우리나라의 문화 원류가 되면서 주로 해안가와 산록에 패총과 지석묘 문화를 만들었다. 이때의 급격한 해수면 상승은 약 6000년에 피크를 이루면서 내륙 깊숙이 침입하여 내륙 평야의 토대를 이루고 많은 지형변화를 가져왔다.
6. 신생대 제4기의 해수면 변화와 지형 발달
신생대 제4기에는 4차례의 빙기와 3차례의 간빙기가 있었으며 마지막 빙기인 뷔름 빙기 이후 현재까지를 후빙기라 한다.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은 침식 기준면에 변화를 일으켜 지형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침식 기준면이란 하천이 지표를 깎아 낼 수 있는 한계로, 보통 해수면을 침식 기준면으로 간주한다.
빙기에는 지구상의 많은 수분이 얼음 상태가 되므로 해수면이 내려가게 되는데, 마지막 빙기인 뷔름기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120m 정도 하강하여 황해와 남해는 육지로 드러나 우리 나라는 중국·일본과 연결되었었다. 즉 마지막 빙기의 경우 현재의 황해는 육지였으며 남해안 다도해의 섬들은 육지의 산지였다. 해수면이 하강하면 침식 기준면이 낮아짐에 따라 하천의 침식 작용이 활발해져 하곡은 깊이 파이게 되며, 하천의 침식 작용에 의해 감입곡류천, 하안단구 등이 발달하게 된다. 또한 현재보다 기온이 낮아 기계적 풍화가 활발하였고 백두산 주변의 고산 지대에서는 빙하 지형인 카르(권곡)가 형성되었다.
간빙기(후빙기)에는 기온 상승으로 고위도 지방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여 황 남해에는 넓은 대륙붕이 형성되었다. 또한 깊은 골짜기에 만이 형성되고 해안 저지대가 침수되어 황·남해안에는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 형성되었고, 동해안에는 만의 입구를 사주가 가로막아 석호가 형성되었다. 해수면 상승에 의한 침식 기준면의 상승으로 하천의 침식력이 상실되고 퇴적 작용이 활발해져 충적 지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해수면의 높이는 빙기의 발달과 후퇴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빙하기에는 해수면은 낮아져 현재보다 약 130m나 하강하였다. 빙하의 융해에 따라 해수면은 높아졌으며 후빙기 고온기에는 세계곳곳에 해진이 일어났다. 우리나라 주변에서는 빙하기에는 대륙붕이 완전히 드러나 중국본토와 육속이 되었으며 일본과도 육속되어 있었다. 그것이 빙하가 사라지면서 해면은 상승했고 황해나 동해가 형성되었다. 서울 주변의 구정선으로 보아 후빙기고온기에 최대로 해면이 높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