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이대로 좋은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가. 신체적 학대
나. 정서적 학대
다. 성적 학대
라. 방임

III. 결론

본문내용

는 등)
C) 초등학생 연령
1. 엄지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깨무는 습관이 있다.
2. 치아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
3. 칠판의 큰글씨조차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4. 학교에서 교사와 같은 어른에게 지나치게 달라붙고 의존적이다. 이는 집에서 어른의 관심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5. 혼자 공상의 세계에 자주 빠져든다.
6. 우울해보이거나, 지나치게 수줍음이 많고, 의사소통을 잘 하지 않고 수동적이다.
D) 청소년기
가정에서 방임되는 청소년들은 흔히 일탈적이거나 비행행위를 잘 일으키기 때문에 그저 문제아로 치부되는데 그치기 쉬우나 그 근본적인 원인은 청소년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의 방임때문일 수 있다. 겉에서 보기에는 문제를 일으키는 '골치덩어리'에 지나지 않을지 모르나 사실상 이 아이들은 각자의 기본적인 생존과 어린 동생들의 생존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스스로 해결하기 위하여 애를 쓰고 있는 중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비행 청소년들을 성급히 판단하고 교화시키는데 급급해하지 말고 가장 우선 집에서 부모로부터 방임되고 있지 않은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때로는 이러한 청소년들이 자신의 부모를 보호하기 위해서나 집안의 상황이 부끄러워서 곧이곧대로 말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C. 방임의 실제 양상
1. 유기 또는 버림 : 아이를 완전히 버리거나 집에서 쫑아내는 경우, 또는 어른의 돌봄없이 장시간 혼자 두는 경우.
2. 감찰의 소홀 (Lack of supervision): 아이가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예로 영아가 길거리를 혼자 헤매는 경우 또는 아동이 독극물 근처에 있는 것을 방치하여 그것을 마시는 경우.
3. 영양 실조의 방치: 아이에게 필요한 음식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영양실조 걸린 경우.
4. 의료적 방임: 아이에게 의료적 또는 치과적 치료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방치하거나 적합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예로 눈이 몹시 나쁜 아이에게 안경을 맞추어주지 않는 경우.
5.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지 않음 : 학교교육이나 대안교육을 제공하지 않거나 그 기회를 막는 경우. 양육자가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가장 흔한 경우는 아이가 습관적으로 결석하는 것을 방치하거나 허용하는 경우이다.
6.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의복의 제공: 아이에게 필요한 최소한도의 의복의 제공하지 않는 경우. 예로 아이의 옷이 오랜 시간 세탁이 되지 않거나 찢어진 채로 입고 다니도록 하는 경우, 또는 비나 추위 등의 기후적 조건으로부터 아이를 보호할 수 있는 의복을 입히지 않는 경우.
7. 주거지의 문제 : 아이의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도의 주거지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이를테면, 어느 정도의 공간, 적절한 온도, 배수시설, 전기, 구조적 안정성, 위생성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 외에도 주거지에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예로 아이가 살고 있는 집안 곳곳에 전선이 노출되어 있어서 감전의 위험이 있는 경우 등.
8. 위생상의 문제 : 아이를 잘 씻기고 청결하게 두지 않는 경우. 이런 경우 아이는 냄새를 심하게 풍기거나 몸이 더러워 보인다.
9. Failure-to-thrive (FTT) syndrome : 이 신드롬은 유아나 어린 아동에게서 더 흔히 발견되는데 지속적인 영양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신드롬의 약 25% 정도는 출생때부터 지닌 기질적인 (organic) 원인에 의한 것이고, 약 25% 정도는 출생후 어머니가 제대로 먹이지 않은 탓이며, 나머지 약 50% 정도는 위에 설명된 양육자의 극심한 방임으로 인한것이라고 밝혀져 있다. FTT 신드롬의 아동들은 비슷한 연령의 아동들에 비해 몸무게와 키가 비정상적으로 작아서 "사회심리적 왜소증 (psychosocial dwarfish)"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Kempe et al., 1980).
III. 결론
이제 아동학대에 대한 우리 사회에서의 관심이 높아져 가는 것은 매우 환영할 일이다. 학계에서 많은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시에 사회 곳곳에서 대중매체를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의식을 일깨우는 많은 노력을 볼 수 있다. 그러한 노력 가운데 최근에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 성매매가 현재 우리 사회에서 성문화가 얼마나 삐뚤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을 드러내고 있음에 초점을 맞춘 반면, 그것이 명백한 아동 학대 행위이라는 관점에서는 그리 많이 논의되지 않았음이 안타깝다. 청소년 성 매매가 아동 학대라는 문제로 간주되지 않을 때는 성 매매를 한 청소년들이 그저 탈선하고 잘못 판단을 내린 아이들이라는 시각에 머무를 뿐, 행동의 결과가 위에서 정리한 심각한 징후들과 증상으로 그 아이들에게 남을 것이라는 생각이 단지 일부 아동 관련 종사자들에게만 남아서는 안 된다.
아동학대의 기본 관점은 아동들은 부모의 아이만이 아니라 곧 우리 모두의 아이라는 사실에 입각하고 있다. 이는 곧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가치와 우리사회 모든 구성원의 건강함을 유지하려는 노력에 기초하고 있다. 이제 우리집아이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두 눈을 똑똑히 뜨고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아동학대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대중의 민감성을 높이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그리고 대중의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이슈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먼저 제공해야 한다. 본 발표자가 아동학대 문제의 여러 부분 중에서도 징후와 증상에 초점을 맞춘 이유도 이 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아프리카의 난민들의 고통을 피상적으로 논의했을 때보다 그들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글로든 사진으로든 표현했을 때 가장 많은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참고 자료
-박금윤. "아동학대의 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중앙대학교, 1999
-박은경. "아동학대에 관한 사회적 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단국대학교, 2000
-박혜경,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국민대학교, 1998
목 차
I. 서론
II. 본론
가. 신체적 학대
나. 정서적 학대
다. 성적 학대
라. 방임
III. 결론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1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