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과 독립협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1) 대한제국
1) 대한제국의 성립
2) 대한제국의 정치체제 논쟁
3) 주체세력
4) 대한제국의 정책
(2) 독립협회
1) 독립협회의 성립과 그 발전과정
2) 독립협회의 사상
3) 독립협회 운동의 전개
4) 독립협회의 개혁 구상의 내용
3.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역사적 의의 및 한계
(1) 대한제국
(2) 독립협회
(3)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의 한계
4. 대한제국과 독립협회를 둘러싼 논쟁들
5. 나가며

본문내용

각 분야의 변화상을 정리하면서 ‘대한제국 정부의 개혁은 갑오을미개혁은 물론, 독립협회측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서 황권의 전제화라는 측면을 제외하면 대체로 정부측의 개혁이 인정된다’고 주장, 광무개혁의 입론을 보강하였고, 宋炳基, 앞의 글.
강만길은 대한제국기 상공업분야의 근대적 성격을 인정하면서 광무개혁론을 지지하였다. 姜萬吉, 앞의 大韓帝國 時期의 商工業問題 및 大韓帝國의 性格.
이상의 광무개혁논쟁은 그 자체로서 대한제국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관심을 고양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임과 동시에 향후의 논쟁이 예기되었던 분야이기도 하다.
이후 1970년대 후반과 8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崔德壽池川英勝朱鎭五 등이 독립협회의 사상적 한계를 지적하면서 ‘친미적’ 혹은 ‘친일적’ 성향을 비판하여 주목을 끈 바 있다. 최덕수는 독립협회는 의회개설을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 황권의 강화를 주장하는 등 모순을 보였으며, 독립협회는 프로이센형의 입헌군주제를 지향하였고, 외교론은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응한 영일미의 노선에 동조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거의 같은 시기에 池川英勝은 독립협회가 우민관을 갖고 있었고, 평등의식이 불철저하였으며, 국민의 국정참가를 거부하는 등 국민주권사상이 불투명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한 걸음 나아가 이러한 독립협회의 사상적 한계가 바로 독립협회운동 실패의 주요 원인이라고 규정하였다. 주진오도 이들의 주장에 이어 독립협회의 군권민권에 대한 인식, 외교론(중립외교론), 경제체제개혁 구상 등에 한계가 있고, 독립협회는 의회개설론을 표방하면서도 한편에서는 군주권의 강화를 요구하는 내적모순을 지니고 있었으며, 외교론은 중립외교론이 아니라 반러, 친미영일 외교론이라는 주장, 나아가 그의 경제체제 개혁구상은 지주제를 강화, 유지하려는 성격을 띠고 있는 반민족반민중단체였으며 일본의 명치유신과 같은 ‘변형된 절대주의 경제체제’를 추구했다고 주장하였다. 독립협회의 정체론 및 외교론, 경제체제 개혁구상 등에 대해서는 崔德壽, 앞의 獨立協會의 政體論 및 外交論 硏究 ; 池川英勝, 앞의 獨立協會の自由民權思想について;朱鎭五, 앞의 독립협회의 경제체제개혁 구상과 그 성격 등을 참조.
이들의 주장은 대체로 김용섭, 강만길의 입론을 보강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李玟源이 그동안의 연구에서 독립협회를 매판집단 내지는 친일영미적 단체로 규정한 것과 대한제국정부와 독립협회의 극단적 대립만 보아온 2분법적 논리에 대해 몇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대한제국 정부에게 가장 부담스러웠던 것은 내부의 갈등 이전에 러일 등의 압제였지만, 이점이 균형있게 고려되지 않았으며, 둘째, 정부와 독립협회의 관계는 시기와 사안에 따라 협조적, 혹은 대립적이었는데 주로 후자의 측면에만 주목하고 있는 점, 셋째, 정부와 독립협회의 중요한 인식차는 황권문제에서 비교적 뚜렷하지만 정작 이 부분이 모호하게 이해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들이 그동안의 광무개혁논쟁이 거리를 좁히지 못한 채 평행선을 그어온 주요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李玟源, 앞의 大韓帝國의 改革과 그 實態-政府와 獨立協會의 皇權認識과 關聯하여-.
이상에서 볼 때 광무개혁 논쟁의 발단은 김용섭과 신용하의 서평에서 시작되어, 광무개혁을 지지하는 강만길과 송병기의 주장으로 이어졌고, 최덕수, 주진오의 글에서는 광무개혁의 입론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독립협회의 사상과 활동의 한계를 지적한 것이라 하겠다. 반면 이민원은 그 동안의 광무개혁논쟁에 대해 몇 가지 이견을 제시한 것으로서 독립협회가 친일영미 단체인가, 또는 독립협회와 정부 사이에 어떠한 갈등이 존재하였는가라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에 앞서 러일 등의 압제 하에 정부는 어떠한 입장이었고, 정부와 독립협회는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자 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당시의 정황과 양자의 성격을 이해하는 첩경이라는 주장으로 이해된다.
Ⅴ. 나가며
지금까지의 논쟁의 요점은 대한제국 시기에 실제로 이루어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일련의 개혁을 소위 광무개혁이라 이름 붙여 그것을 갑오경장이나 을미개혁과 연결되는 근대적 개혁으로 정착시키려는 이론과, 이 시기의 일련의 개혁은 역사적 의의를 전혀 인정할 수 없으며 다만 독립협회의 개혁사상만이 시민혁명을 지향한 것이었지만 보수 반동적인 집권세력에 의하여 탄압됨으로써 이 시기의 역사가 실패한 것으로 이해하는 이론이 대립되었다.
광무개혁의 경우 경제적사회적문화적인 면에 있어서 상당히 이루어졌지만 개혁의 본질적인 성격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는 한편, 더 나아가 권력구조면의 개혁이 이루어지기는커녕 오히려 절대황권이 성립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음을 특히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개혁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하더라도 국민주권이 달성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역사적 의미에 있어서의 근대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려움을 분명히 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광무개혁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도 이런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독립협회의 사상에 대해서도 그것이 민권을 강조하고 근대적 개혁을 주장한 것을 충분히 인정한다 하여도 국민주권을 달성하기 위한 본질적인 문제로 왕권을 부정하는 사상이 얼마나 철저하였으며 국민의 정권 담당능력을 얼마나 확신하였는지에 초점에 맞추어서 그 사상을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 강만길, 「大韓帝國의 성격」, 『分斷時代의 歷史認識』, 창작과 비평사, 1979
◆ 강만길, 「獨立協會 運動」『韓國近代史』, 창작과 비평사, 1989, p224
◆ 서영희, 「광무정권의 형성과 개혁정책 추진」, 『역사와 현실』8, 1992
◆ 신용하, 「독립협회만민공동회의 역사적 의의」, 『한국사』41, 국사편찬위원회, 1999
◆ 이민원,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독립협회에 대한 연구성과 과제」
◆ 이윤상, 「대한제국기의 개혁」, 『한국사』40, 국사편찬위원회, 1999
◆ 주진오, 「獨立協會運動」, 『한국사』11, 한길사,
◆ 한국사연구회, 「大韓帝國과 獨立協會」, 『韓國史硏究入門』, 지식산업사, 1982, p459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7, 웅진출판주식회사, 1995, p73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1.1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