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독립신문
1. 독립신문의 창간배경
1-1. 독립신문의 창간배경
1-2. <독립신문>의 창간인 서재필의 생애
2. 독립신문의 역사와 개요
3. 독립신문의 내용
4. 독립신문의 역할과 의의, 평가
4-1. 독립신문의 역할
4-2. 독립신문의 의의와 재조명
4-3. 독립신문의 평가
Ⅲ. 결론
Ⅱ. 독립신문
1. 독립신문의 창간배경
1-1. 독립신문의 창간배경
1-2. <독립신문>의 창간인 서재필의 생애
2. 독립신문의 역사와 개요
3. 독립신문의 내용
4. 독립신문의 역할과 의의, 평가
4-1. 독립신문의 역할
4-2. 독립신문의 의의와 재조명
4-3. 독립신문의 평가
Ⅲ. 결론
본문내용
체를 지향 하는 신문이다. 우리역사에 처음으로 담론의 광장, 정치의 아고라를 등장하게 하여 유교의 전통을 깨게 한 저널리즘의 새로운 전개를 하게 한다. <독립신문>이 독자투고의 시초가 되었으며 저널리즘의 새 지평을 여는 기폭제가 되었다.
◇ 독립신문과 주시경에 대한 재조명
교보원(校補員)이었던 주시경은 신문사 안에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만들어 국어연구에 전념하기 시작하였고 독립신문은 정부와 국민들이 한글을 공용문자로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독립신문이 한글만 쓴 것은 서재필과 주시경의 합작이라는 주장이 있다. 서재필의 민주주의적사상과 자기나라의 말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인 자기나라의 글로 표현해야한다는 주시경의 민족주의적 주장 및 선각적 국어문법연구의 합작의 결과로 이룩된 것이라 해석 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주시경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고 ‘언론과 한국 현대사’에서 언급하고 있다. 주시경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해야 할 이유는 서재필의 한글에 관한 사상이 무엇이었는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주시경은 후에 한글학자로서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역사는 시차를 따져서 평가해야 하는 것이다. 주시경의 한글 연구 업적은 뛰어나지만 시차로 보아 독립신문 발간 당시에는 아직 배재학당의 학생이었으며 서재필의 다음 위치에서 독립신문을 제작할 입장은 아니었다고 보고 있다.
4-3. 독립신문의 평가
<독립신문>의 평가는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으로 나뉜다. <독립신문>의 발간이 조국의 자주 독립을 위한 일익으로써 이를 발족시켰던 것이 사실인 만큼 이 신문을 통하여 독자와 민중을 자주독립의 방향으로 계몽하고 이끌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독립신문>은 다른 민간 신문의 발간을 자극하여 한국의 언론발달에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과감 한 한글전용으로 국어 운동사에도 획기적인 공적을 남겼다. 그러므로 <독립신문>은 19세 기 말의 한국사회의 발전과 민중의 계몽을 위하여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 한 시대의 기념비 적인 신문이었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반면에 <독립신문>은 일본의 한국 침략을 반대하는 의병들을 도적떼로 표현하며 일본의 침략을 반대하지 않았다. 일본세력을 물리쳐야 한다고 주장하던 신기선을 비난하고 친일파 이완용을 칭찬하였다.
또한 독립협회에 관계했던 사람들 가운데는 친일파들이 적지 않게 섞여 있었다.
독립이라는 단어도 참된 독립이 아니라 “조선이 청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일본에게 붙자”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재필은 자신을 한국 사람이 아닌 미국인 필립 제이슨으로 행세하였다는 점 이다. 그는 독립신문에 실린 한국 사람에 대한 기사가 경멸조라는 일부의 평도 이를 뒷받침한다. 잘못을 바로잡자는 충정에서 쓴 것이라 할지라도 “세계에서 제일 불쌍하고 더러운 백성은 조선 백성”이라거나 “대한 사람은 외국에 가서도 협잡을 하려하고 남을 속이려든 다”는 등의 기사는 이에 힘을 실어준다.
이와 같은 <독립신문>에 대한 엇갈린 평가는 지금까지도 종종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근대 신문의 효시라고 일컬어지는 <독립신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이면서 한글이란 문자에 개화와 신분제 폐지, 실학 등 선진적인 내용을 담아 백성에 전달한 <독립신문>은 새 저널리즘의 장을 여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독립신문>과 <독립신문>의 발행인인 서재필이 친일적인 색채를 띄고 있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같이 서재필과 <독립신문>에 관한 평가가 긍정과 부정으로 나뉜다고 해서 이것이 양극단으로 치우쳐서는 안 된다. <독립신문>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과 <독립신문>그 자체가 지닌 의의를 생각할 때, 부분적 사실보다는 보다 개괄적이고 전체적인 시각으로 이를 바라보려는 시각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민환, 『한국 언론사』(사회비평사, 1996).
김홍우,「한국사회과학론의 화두로서 《독립신문》」(미발행 원고).
서울대 정치학과 독립신문강독회, 『독립신문, 다시읽기』(푸른역사, 2004).
서정우, 정진석, 차배근, 한태열,『신문학이론』(전정신판; 박영사, 2001).
이광린,「서재필의 개화사상」,『한국개화사상 연구』(일조각, 1979).
이상철, 『신문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정진석, 『언론과 한국 현대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조맹기, 『한국 언론사의 이해』(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채백,『신문』(대원사, 2003).
◇ 독립신문과 주시경에 대한 재조명
교보원(校補員)이었던 주시경은 신문사 안에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만들어 국어연구에 전념하기 시작하였고 독립신문은 정부와 국민들이 한글을 공용문자로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독립신문이 한글만 쓴 것은 서재필과 주시경의 합작이라는 주장이 있다. 서재필의 민주주의적사상과 자기나라의 말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인 자기나라의 글로 표현해야한다는 주시경의 민족주의적 주장 및 선각적 국어문법연구의 합작의 결과로 이룩된 것이라 해석 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주시경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고 ‘언론과 한국 현대사’에서 언급하고 있다. 주시경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해야 할 이유는 서재필의 한글에 관한 사상이 무엇이었는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주시경은 후에 한글학자로서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역사는 시차를 따져서 평가해야 하는 것이다. 주시경의 한글 연구 업적은 뛰어나지만 시차로 보아 독립신문 발간 당시에는 아직 배재학당의 학생이었으며 서재필의 다음 위치에서 독립신문을 제작할 입장은 아니었다고 보고 있다.
4-3. 독립신문의 평가
<독립신문>의 평가는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으로 나뉜다. <독립신문>의 발간이 조국의 자주 독립을 위한 일익으로써 이를 발족시켰던 것이 사실인 만큼 이 신문을 통하여 독자와 민중을 자주독립의 방향으로 계몽하고 이끌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독립신문>은 다른 민간 신문의 발간을 자극하여 한국의 언론발달에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과감 한 한글전용으로 국어 운동사에도 획기적인 공적을 남겼다. 그러므로 <독립신문>은 19세 기 말의 한국사회의 발전과 민중의 계몽을 위하여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 한 시대의 기념비 적인 신문이었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반면에 <독립신문>은 일본의 한국 침략을 반대하는 의병들을 도적떼로 표현하며 일본의 침략을 반대하지 않았다. 일본세력을 물리쳐야 한다고 주장하던 신기선을 비난하고 친일파 이완용을 칭찬하였다.
또한 독립협회에 관계했던 사람들 가운데는 친일파들이 적지 않게 섞여 있었다.
독립이라는 단어도 참된 독립이 아니라 “조선이 청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일본에게 붙자”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재필은 자신을 한국 사람이 아닌 미국인 필립 제이슨으로 행세하였다는 점 이다. 그는 독립신문에 실린 한국 사람에 대한 기사가 경멸조라는 일부의 평도 이를 뒷받침한다. 잘못을 바로잡자는 충정에서 쓴 것이라 할지라도 “세계에서 제일 불쌍하고 더러운 백성은 조선 백성”이라거나 “대한 사람은 외국에 가서도 협잡을 하려하고 남을 속이려든 다”는 등의 기사는 이에 힘을 실어준다.
이와 같은 <독립신문>에 대한 엇갈린 평가는 지금까지도 종종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근대 신문의 효시라고 일컬어지는 <독립신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이면서 한글이란 문자에 개화와 신분제 폐지, 실학 등 선진적인 내용을 담아 백성에 전달한 <독립신문>은 새 저널리즘의 장을 여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독립신문>과 <독립신문>의 발행인인 서재필이 친일적인 색채를 띄고 있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같이 서재필과 <독립신문>에 관한 평가가 긍정과 부정으로 나뉜다고 해서 이것이 양극단으로 치우쳐서는 안 된다. <독립신문>이 우리 사회에 끼친 영향과 <독립신문>그 자체가 지닌 의의를 생각할 때, 부분적 사실보다는 보다 개괄적이고 전체적인 시각으로 이를 바라보려는 시각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민환, 『한국 언론사』(사회비평사, 1996).
김홍우,「한국사회과학론의 화두로서 《독립신문》」(미발행 원고).
서울대 정치학과 독립신문강독회, 『독립신문, 다시읽기』(푸른역사, 2004).
서정우, 정진석, 차배근, 한태열,『신문학이론』(전정신판; 박영사, 2001).
이광린,「서재필의 개화사상」,『한국개화사상 연구』(일조각, 1979).
이상철, 『신문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정진석, 『언론과 한국 현대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조맹기, 『한국 언론사의 이해』(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채백,『신문』(대원사, 2003).
추천자료
독립신문과 신문으로 만들어진 우리 역사....
신문 독과점현상과 안티조선운동
에스더 박의 불꽃같이 짧은 삶
과거와 현대의 신문
6ㆍ29선언의 배경과 역사적 의미
[방송환경][방송이념][방송체제][방송정책][방송산업]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이념, 방송체...
1970,80년대 언론 보도의 왜곡
[지역언론][지역언론개혁정책][지역언론개혁][지역언론 중요성][지역언론 현실][지역언론 문...
[신종플루] 신종플루의 치료법과 대처방안
저널리즘의 역할, 방송저널리즘과 공정성, 방송저널리즘과 공익성, 방송저널리즘의 기자상 심...
[국민건강보험]국민건강보험이론과 민영화를 비롯한 쟁점 및 관련기사
[에듀넷][에듀넷의 발전 방향]에듀넷의 개념, 에듀넷의 목적, 에듀넷의 이용 실태, 에듀넷의 ...
민간아동복지와 지역아동센터 : We Start(위 스타트)와 Dream Start(드림스타트) 중심으로
KTX경쟁체제도입 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