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는 표음적(表音的) ·표의적(表意的)으로 사용되다가 이것을 모태로 하여 히라가나[平假名]와 가다카나[片假名]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본래(本來)의 용법 외에 향찰(鄕札)· 이두(吏讀)·구결(口訣)과 같은 한자 음훈차표기법(音訓借表記法)이 발달하였으며 훈민정음 제정 후에도 한자는 거의 모든 문자생활의 지배적인 수단이 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수입된 한자 이외에 국어에만 쓰이는 독특한 속자(俗字)를 만들었다. 즉 이두(吏讀)에서 전화된 뿐( )·며(콴)·소(召)와 같은 한자가 있으며, 다음은 관부(官簿)·군적(軍籍)·공사문부(公私文簿)에 쓰이던 태(太:콩)·끝[印]·탈(市)과 같은 한자 및 고유명사의 표기를 위한 걱(룁)·돌(乭)·쇠(釗)·갈(乫)·묠(탤)과 같은 글자가 만들어졌다.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수입된 한자 이외에 국어에만 쓰이는 독특한 속자(俗字)를 만들었다. 즉 이두(吏讀)에서 전화된 뿐( )·며(콴)·소(召)와 같은 한자가 있으며, 다음은 관부(官簿)·군적(軍籍)·공사문부(公私文簿)에 쓰이던 태(太:콩)·끝[印]·탈(市)과 같은 한자 및 고유명사의 표기를 위한 걱(룁)·돌(乭)·쇠(釗)·갈(乫)·묠(탤)과 같은 글자가 만들어졌다.
추천자료
(교과교육론)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하여
[과외]1-01 한자의 짜임
(뜻이 비슷한 한자와 그 용례 그리고 차이)
한글, 영어, 한자의 동음현상을 이용한 브랜드 네이밍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구결,향찰)
6)국어-사실과 관점-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5)창의적 재량-옛 이야기 속의 한자 익히기(중안)
자동차 엠블럼을 통한 한자 활용 조사분석
6학년 국어 지도안-소중한 우리말-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뜻을 알고 분류해보기(...
사회복지의 개념에 대한 서술로 사회복지의 한자 및 영어의 과 국내외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
사회복지(社會福祉)의 한자 및 영어의 뜻과 국내외 학자들이 정의한 개념과 본인이 생각하는 ...
[제주대] <한자의 이해> 요약, 족보
(제주대) <한자의 이해> 요약, 족보
일본어 문자와 표기 [한자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