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래놀이[1]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래놀이[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기치기
2. 비석치기
3. 팽치치기
4. 자치기
5. 그림자밟기
6. 기차놀이
7. 수건돌리기
8. 엿치기
9. 공기받기
10. 꼬리잡기
11. 돌차기
12. 말타기 놀음

본문내용

녀들이 많이 모이면 하날 때, 두날 때, 사나중, 날 때, 윤달, 거지, 팔대, 장군, 고두래, 뻥의 수노래를 하여 맨 끝에 뻥에 해당하는 사람이 술래가 되고 그 앞의 고두래 에 해당하는 사람이 꼬리가 된다. 하날때는 머리가 된다. 요즘은 가위바위보로 정하는 경우가 많다. 머리가 되는 사람이 맨 앞에 서고 나머지는 그 사람의 뒤에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길게 매달린다. 그러면 앞에 선 술래가 맨 끝에 있는 꼬리를 잡아야 하는 것이다. 술래가 머리 앞에 서면 머리는 두 손을 벌려 술래를 막으려고 한다. 이때 술래의 옷이나 몸을 붙잡아서는 안되고 앞사람의 허리를 놓아서도 안된다. 술래가 꼬리를 잡으면 술래는 머리가 되고 그 전 머리는 머리 다음에 서게 된다. 게임은 술래가 꼬리를 잡을때까지 계속되고 만일 잡지 못할 시에는 계속 술래를 면치 못하게 된다.
12) 돌차기
겨울을 제외한 계절에 주로 행하는데 평평한 땅바닥에서 두사람 혹은 세사람이 하는데 사람이 많을 경우 편을 짜서 하게 된다. 참가자 각각 자신이 쓸 돌을 고르는데 이때 납작하고 손바닥 만한 차기 좋은 골을 골라야 하고 가위바위보를 통해 이긴 사람부터 시작하게 된다. 처음에 돌을 첫째칸에 놓고 왼쪽 발로 차서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그리고 둘째, 첫째 칸으로 나오면 되는 것으로 한 점을 얻게 된다. 이때 그어 놓은 줄에 돌이 닿게 되거나 밖으로 나가게 되면 퇴장을 해야 하는데 점수는 얻지 못하고 다음 사람이 이어서 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많은 점수를 올린 사람이 이기게 되는 것이다. 이 돌차기는 지방에 따라서 사방치기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1.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