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마케팅믹스 사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마케팅믹스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로만손 마케팅믹스

2.현대자동차 마케팅믹스

3.스타벅스 마케팅믹스

4.질레트 마케팅믹스

본문내용

객의 소리\'에 연주했던 음악을 판매하라는 내용의 제안을 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는 1994년 겨울에 발매된 케니 지의 \'Miracle\'을 스토어에서 들려주면서 시험적으로 CD을 판매해 보았다. CD는 날개 돋친 듯 팔렸다.
시험판매에 성공한 후 스타벅스는Capital Record와의 제휴를 통해 재즈를 선곡한 CD를 제작했다. 이 CD의 제작을 통해 캐피탈 레코드사는 기존의 음반판매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배급망을 구축했으며 스타벅스는 흘러간 재즈명곡 편집음반을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었다. 이 재즈음반은 Blue Note Bland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는데 스타벅스는 음반의 판매촉진을 위해 같은 이름의 혼합커피도 개발하였다. 이 CD는 75,000여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스타벅스는 계속적으로 음악의 장르를 넓혀가면서 여러 장의 CD를 추가로 편집, 제작하였다.
사람들은 이 음반들을 들으면 무의식적으로 스타벅스를 느낄 것이다.
3.3.4. Green Team 창설
스타벅스에서 판매하는 모든 커피는 일회용 종이컵에 담겨서 나간다. 커피를 먹은 후에 쓰레기로 쌓이는 일회용 종이컵들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스타벅스의 환경 친화적 가치관과 고객에게 봉사하는 이미지, 일류 브랜드의 이미지와 충돌하게 되었다. 고객들은 스타벅스의 커피에는 매우 만족하지만 쌓여가는 종이컵과 냅킨, 플라스틱 뚜껑을 보면서 환경문제에 대해 걱정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러한 고객의 의견에 따라 스타벅스는 환경문제 해결에 공헌하고,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모든 지역의 스타벅스 관리인들로 구성된 \'그린팀\'을 창설했다. 이 팀은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고 실험한다. 그린팀이 개발한 종이컵에 둥글게 끼우는 \'종이 슬리브\'는 비용 면에서의 절감효과는 뛰어나지 않지만 재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뜨거운 커피를 담아내야 하는 종이컵은 잡기에 뜨거워 두 개를 겹쳐 제공하였는데 이를 슬리브를 사용하여 대폭 줄이게 되었다. 그린팀은 환경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스타벅스의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4. SWOT분석
[표1. 스타벅스의 SWOT분석]
Strengths
-Brand Power
-높은 품질, 다양한 제품
-전문적인 barist
Weakness
-혼잡한 점포
편안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함
barista와의 relationship이 이루어지
지 못함
Opportunities
-성장하는 시장
-소비욕구와 인구밀도가 높은 시장
-서구 문화에 익숙하고 고가 브랜드를 선호
하는 소비
Threats
-경쟁사: 저가의take-out 매장
Low entry barrier & exit barrier
-고객 : switching cost=0
차별화 되지 못하면 고객을 잃을 위험 성이 크다.
4.1. Strength(강점)
4.1.1. 커피문화의 재발견
미국에서 커피라는 것은 우리나라의 보리차와 같이 물과 함께 마셔지는 식수와 같은 역할을 해왔고 80년대까지 거의 대부분의 커피는 값싸고 편리한 기능상의 장점만이 강조되어왔다. 하지만 80년대는 미국인들의 경제력이 증가하고 건강과 그 외의 고급스러운 것들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가격보다는 한 차원 높은 무엇인가를 원하게 되었다. 이전의 싸구려 원두를 사용한 일괄적이고 간편한 커피보다는 맛과 향이 뛰어나고 단순히 커피뿐만이 아닌 그들을 위한 무엇인가를 요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었다.
현재 스타벅스의 CEO인 하워드 슐츠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만한 커피가 없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사람들은 집에서 스타벅스의 고급원두를 갈아 마실 수 있게 되었지만 집 밖에서는 맛과 향이 풍부한 고급 커피를 즐길 수가 없었고 슐츠는 그러한 소비자들에게 집 이외에서 고급커피를 제공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미국인들은 미국인 특유의 커피문화가 자리 잡고 있었지만 소득증대에 따른 그들의 갈증은 귀족사회에 대한 동경이었고 그 중 하나가 \'티타임\'이었다. 그 동안은 커피를 단순한 음료수 혹은 잠을 깨기 위한 기능성 등으로 즐겨왔지만 \'커피 한 잔의 여유\'에 대한 그들의 욕구는 뿌리칠 수가 없었다. 그 한 잔이라는 것은 단순히 커피의 맛이 아니라 그 한잔에 담겨있는 생활의 여유로움과 여유로움을 즐길 수 있는 \'특권이 핵심인 것이다.
스타벅스는 미국인들이 내심 동경하고 있는 유럽의 고풍스럽고 여유로운 분위기와 미국 특유의 문화를 조화시킨 스타벅스의 인테리어와 커피의 맛, 그리고 그 외의 것들에 대해 이미지를 만들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깔끔하고 세련돼 보이는 분위기와 마음을 느긋하게 해주는 음악, 향기로운 커피 향에 의해 스타벅스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표2. 미국의 다른 음료에 대한 커피 소비량]
na=not available. Source: National Coffee Association of USA, 1995
4.1.2. 사원이 곧 주인이다.
많은 미국영화에서 주인공, 혹은 그 주변 인물들이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점, 레스토랑 등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선진국일수록 평생직장이 없이도 일용직만으로도 생활을 영위해 나아가는 것에는 큰 지장이 없다. 때문에 미국에서도 많은 일용직 종사자들이 있고 기업도 일용직을 많이 활용하는 편이다. 스타벅스도 예외일 수는 없는데 일용직 근무자들의 장점은 골치 아픈 노조문제나 비용문제를 해결해주는 훌륭한 일꾼이다. 하지만 고객과의 접점이 많은 경우 그 점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일용직 근무자들은 책임감이 적기 때문에 자신의 임무와 직책에 소홀한 경우가 많다. 스타벅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용직 종업원들에게도 많은 투자를 하게 되었다.
스타벅스는 확실한 서비스업이며 서비스업은 고객에게 직접 서비스를 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헌데 일용직 근무자가 많은 경우 가장 소홀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직률이 높아지고 최전선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이 자주 바뀌게 된다. 이러한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 가장 먼저 사용한 전략이 의료보험 혜택이다. 다른 곳에서는 일용직 근로자가 받을 수 없는 의료보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일하고 싶어 하고
  • 가격1,5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4.11.2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