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기관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성기관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언어의 중요한 특질
(1) 두가지 말
(2) 말의 머무름과 움직임
2. 말의 소리 (음성학)
(1) 소리의 연구
(2) 음성기관의 움직임
(3) 닿소리와 홀소리

Ⅲ. 결 론

본문내용

가지이다.
<이>와 <우>는 혀의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 - 입천장으로 향해서 움직이는 부분이 다르다. 곧 <이>는 혀의 앞쪽이 입천장으로 향해서 접근하는데 ,<우>는 그 뒤쪽의 입천장에 접근한다. <이>와 <에>는 그 부분은 같으나, 혓바닥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가 다르다. 곧 <이>는 <에>에 비해 입천장에 더 가까워진다. 그리고 <에>와 혀 입술을 움직이지 않는 <외>는 위의 두 가지 조건은 같다. 그러나 <에>는 입술을 펴는데, <외>는 입술을 둥글게 한다.
홀소리는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혀의 지리와 그 부분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 (높이)와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따라 나눈 표는 아래와 같다.
< 홀소리 분류표 >
자 리
높 이

가 운 데

닫 은
i y
u
반 닫 은
e
o
반 연

③ 홑홀소리와 겹홀소리 : <과도음과 지속음> 우리말의 [야,여,요,유,]는 그 내는 동안에 혀가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각각 둘씩의 소리로 된 '겹소리'인데 , 그 첫머리에서 나는 소리는 "혀의 자리와 높이가 이" 가까운 데서 머무르지 않고 [아,어,우,오]의 자리 높이로 옮겨가는 동안에 나는 소리이다. 이러한 소리를 '과도음'이라 한다 이에 대해서 혀의 자리와 높이, 그리고 입술의 모양이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는 동안에 나는 소리를 '지속음' 이라 한다.
<반홀소리> [야,여,요,유]의 첫머리에서 나는 과도음은 입안의 막음이 없고 울림이 다르기 때문에 홀소리의 즉질을 가진 소리이다. 그러나 지속음인 [이]와 다름이 있기 때문에 이런 소리를 '반홀소리'라 한다.
<홑홀소리> 그러나 [야,여,요,유]나 [와,왜,웨]나 [위]는 그 앞뒤가 달라서 첫머리에는 [j], [w], [ ]가 나다가 바로 [ ], [ ], [o], [u] 따위 홑홀소리로 옮아가서 뒤에서는 이 소리들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반홀소리와 홑홀소리가 결합하여 하나의 소리처럼, 느겨지는 소리를 '겹홀소리 (중모음)라 한다'
겹홀소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홑홀소리와 반홀소리〉
홑홀소리
반홀소리
[i]
[e]
[ ]
[ , ]
[a]
[u]
[o]
[j]






[w]





[ ]

Ⅲ. 결 론
솔직히 음성기관의 역할 조사란 리포트를 보았을 때 내심 기분이 좋았다. 국어문법론 시간에 한번 접한 것이기에 처음 배우는 것 보다는 부담이 줄은 것이다. 재수강이지만 수업시간의 재미는 처음보다 더 하다. 왜냐하면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많은 부분을 접한 내용이므로 수업 준비가 되었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과 언어를 다시 들으면서 더욱 국어학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다. 그전 까지만 하여도 국문학에 비해 딱딱한 언어학이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하지만 과제를 시작하면서 그런 생각들은 희미해져 갔다. 국문학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수학적이란 것을 깨닫고 난 후 언어학은 나에게 재미로 다가왔다. 이 과제가 언어학을 친구로 만들어 준 것이다. 이제부터 언어학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 학문에 정진하겠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2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5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