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언어의 중요한 특질
(1) 두가지 말
(2) 말의 머무름과 움직임
2. 말의 소리 (음성학)
(1) 소리의 연구
(2) 음성기관의 움직임
(3) 닿소리와 홀소리
Ⅲ. 결 론
Ⅱ. 본 론
1. 언어의 중요한 특질
(1) 두가지 말
(2) 말의 머무름과 움직임
2. 말의 소리 (음성학)
(1) 소리의 연구
(2) 음성기관의 움직임
(3) 닿소리와 홀소리
Ⅲ. 결 론
본문내용
가지이다.
<이>와 <우>는 혀의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 - 입천장으로 향해서 움직이는 부분이 다르다. 곧 <이>는 혀의 앞쪽이 입천장으로 향해서 접근하는데 ,<우>는 그 뒤쪽의 입천장에 접근한다. <이>와 <에>는 그 부분은 같으나, 혓바닥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가 다르다. 곧 <이>는 <에>에 비해 입천장에 더 가까워진다. 그리고 <에>와 혀 입술을 움직이지 않는 <외>는 위의 두 가지 조건은 같다. 그러나 <에>는 입술을 펴는데, <외>는 입술을 둥글게 한다.
홀소리는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혀의 지리와 그 부분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 (높이)와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따라 나눈 표는 아래와 같다.
< 홀소리 분류표 >
자 리
높 이
앞
가 운 데
뒤
닫 은
i y
u
반 닫 은
e
o
반 연
연
③ 홑홀소리와 겹홀소리 : <과도음과 지속음> 우리말의 [야,여,요,유,]는 그 내는 동안에 혀가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각각 둘씩의 소리로 된 '겹소리'인데 , 그 첫머리에서 나는 소리는 "혀의 자리와 높이가 이" 가까운 데서 머무르지 않고 [아,어,우,오]의 자리 높이로 옮겨가는 동안에 나는 소리이다. 이러한 소리를 '과도음'이라 한다 이에 대해서 혀의 자리와 높이, 그리고 입술의 모양이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는 동안에 나는 소리를 '지속음' 이라 한다.
<반홀소리> [야,여,요,유]의 첫머리에서 나는 과도음은 입안의 막음이 없고 울림이 다르기 때문에 홀소리의 즉질을 가진 소리이다. 그러나 지속음인 [이]와 다름이 있기 때문에 이런 소리를 '반홀소리'라 한다.
<홑홀소리> 그러나 [야,여,요,유]나 [와,왜,웨]나 [위]는 그 앞뒤가 달라서 첫머리에는 [j], [w], [ ]가 나다가 바로 [ ], [ ], [o], [u] 따위 홑홀소리로 옮아가서 뒤에서는 이 소리들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반홀소리와 홑홀소리가 결합하여 하나의 소리처럼, 느겨지는 소리를 '겹홀소리 (중모음)라 한다'
겹홀소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홑홀소리와 반홀소리〉
홑홀소리
반홀소리
[i]
[e]
[ ]
[ , ]
[a]
[u]
[o]
[j]
예
애
여
야
유
요
[w]
위
웨
왜
워
와
[ ]
위
Ⅲ. 결 론
솔직히 음성기관의 역할 조사란 리포트를 보았을 때 내심 기분이 좋았다. 국어문법론 시간에 한번 접한 것이기에 처음 배우는 것 보다는 부담이 줄은 것이다. 재수강이지만 수업시간의 재미는 처음보다 더 하다. 왜냐하면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많은 부분을 접한 내용이므로 수업 준비가 되었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과 언어를 다시 들으면서 더욱 국어학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다. 그전 까지만 하여도 국문학에 비해 딱딱한 언어학이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하지만 과제를 시작하면서 그런 생각들은 희미해져 갔다. 국문학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수학적이란 것을 깨닫고 난 후 언어학은 나에게 재미로 다가왔다. 이 과제가 언어학을 친구로 만들어 준 것이다. 이제부터 언어학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 학문에 정진하겠다.
<이>와 <우>는 혀의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 - 입천장으로 향해서 움직이는 부분이 다르다. 곧 <이>는 혀의 앞쪽이 입천장으로 향해서 접근하는데 ,<우>는 그 뒤쪽의 입천장에 접근한다. <이>와 <에>는 그 부분은 같으나, 혓바닥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가 다르다. 곧 <이>는 <에>에 비해 입천장에 더 가까워진다. 그리고 <에>와 혀 입술을 움직이지 않는 <외>는 위의 두 가지 조건은 같다. 그러나 <에>는 입술을 펴는데, <외>는 입술을 둥글게 한다.
홀소리는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혀의 지리와 그 부분이 입천장에 가까워지는 정도 (높이)와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에 따라 나눈 표는 아래와 같다.
< 홀소리 분류표 >
자 리
높 이
앞
가 운 데
뒤
닫 은
i y
u
반 닫 은
e
o
반 연
연
③ 홑홀소리와 겹홀소리 : <과도음과 지속음> 우리말의 [야,여,요,유,]는 그 내는 동안에 혀가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각각 둘씩의 소리로 된 '겹소리'인데 , 그 첫머리에서 나는 소리는 "혀의 자리와 높이가 이" 가까운 데서 머무르지 않고 [아,어,우,오]의 자리 높이로 옮겨가는 동안에 나는 소리이다. 이러한 소리를 '과도음'이라 한다 이에 대해서 혀의 자리와 높이, 그리고 입술의 모양이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는 동안에 나는 소리를 '지속음' 이라 한다.
<반홀소리> [야,여,요,유]의 첫머리에서 나는 과도음은 입안의 막음이 없고 울림이 다르기 때문에 홀소리의 즉질을 가진 소리이다. 그러나 지속음인 [이]와 다름이 있기 때문에 이런 소리를 '반홀소리'라 한다.
<홑홀소리> 그러나 [야,여,요,유]나 [와,왜,웨]나 [위]는 그 앞뒤가 달라서 첫머리에는 [j], [w], [ ]가 나다가 바로 [ ], [ ], [o], [u] 따위 홑홀소리로 옮아가서 뒤에서는 이 소리들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반홀소리와 홑홀소리가 결합하여 하나의 소리처럼, 느겨지는 소리를 '겹홀소리 (중모음)라 한다'
겹홀소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홑홀소리와 반홀소리〉
홑홀소리
반홀소리
[i]
[e]
[ ]
[ , ]
[a]
[u]
[o]
[j]
예
애
여
야
유
요
[w]
위
웨
왜
워
와
[ ]
위
Ⅲ. 결 론
솔직히 음성기관의 역할 조사란 리포트를 보았을 때 내심 기분이 좋았다. 국어문법론 시간에 한번 접한 것이기에 처음 배우는 것 보다는 부담이 줄은 것이다. 재수강이지만 수업시간의 재미는 처음보다 더 하다. 왜냐하면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많은 부분을 접한 내용이므로 수업 준비가 되었다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과 언어를 다시 들으면서 더욱 국어학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다. 그전 까지만 하여도 국문학에 비해 딱딱한 언어학이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하지만 과제를 시작하면서 그런 생각들은 희미해져 갔다. 국문학보다 더욱 체계적이고 수학적이란 것을 깨닫고 난 후 언어학은 나에게 재미로 다가왔다. 이 과제가 언어학을 친구로 만들어 준 것이다. 이제부터 언어학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 학문에 정진하겠다.
추천자료
교정복지실천기관의 역할 수행 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기관, 시설방문하여 프로그램소개하고, 소감문과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 조사하기
사회복지기관, 시설방문하여 프로그램소개하고, 소감문과 사회복지사로서의 역할 조사하기
금융(중개)기관의 역할 및 구분(종류)과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 및 감독
지역사회중심재활의 개념과 원칙 및 구성요소, 관련기관과 역할
[교육정보화][교육정보화 교사역할][교육정보화 개선과제]교육정보화 정의, 교육정보화 현황,...
[소비자][소비자 권리][소비자 주권][광고][소비자 보호기관][소비자책임]소비자의 개념, 소...
지역사회 복지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조직도를 작성하고, 조직의 역할과 장점 및 단점을 파악...
지역사회 자활실천기관의 역할과 사업내용
영유아 언어발달을 위해서 교사는 언어 사용 모델, 언어경험 제공자, 상호 작용자, 관찰자로...
지역사회복지란 무엇이며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밝히고 살고 있는 지역에는 어떠한 문제와 ...
[학교폭력의이론과실제 공통] 1. 학교폭력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학교폭력을 예방...
영유아 보육기관의 운영과 실제(보육시설종사자, 종사자배치, 보육종사자역할, 보육교사자질,...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내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한곳을 방문하여 기관소개 및 기관 선정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