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몽과 구망의 논리
2. 중국 현대의 과제에 대한 새로운 방안(서체중용론)
3. 중국현대사상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
2. 중국 현대의 과제에 대한 새로운 방안(서체중용론)
3. 중국현대사상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
본문내용
분의 관계를 잘 표현했으며 이해하기도 쉬웠다. 우선 관심을 끌게 하였고 사상사의 기초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택후는 신민주주의 혁명의 출발점인 '5·4'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나도 동일하게 '5·4'가 없었다면 오늘날과 같은 현대의 역사가 이루어질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개인주의에 기초하여 유교를 전폭적으로 비판하고 남녀 및 부부 문제에 관련된 전통적인 유교의 관습에 대해 비도덕적이라며 격렬하게 비판하는 등 극단적인 면도 없지않다. 하지만 이러한 반대가 전통문화에서 고착화되어버린 부정적인 측면들이 많으므로, 그 가운데 없어져야 할 폐단들은 모조리 제거 할 수 있고, 계속 가져가야 할 것들은 다시 한번 제정비하여 새롭게 전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