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지역감정, 지역갈등, 지역주의의 정의
Ⅲ.지역주의의 기원
⑴ 정실주의
Ⅳ.지역주의의 원인
Ⅴ.정치상에 나타나는 지역주의
Ⅵ.정치적 지역주의의 해소를 위한 전제
⑴ 전국의 균형적 발전
⑵ 엘리트의 균형적 충원
Ⅶ.결론
참고문헌
Ⅱ.지역감정, 지역갈등, 지역주의의 정의
Ⅲ.지역주의의 기원
⑴ 정실주의
Ⅳ.지역주의의 원인
Ⅴ.정치상에 나타나는 지역주의
Ⅵ.정치적 지역주의의 해소를 위한 전제
⑴ 전국의 균형적 발전
⑵ 엘리트의 균형적 충원
Ⅶ.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길이라고 할수 있다. 물론 지역주의가 전근
대적 요소라는 점에서 사회기간조직의 합리성 증대는 그 조직에서 지역주의적 요소를 저마
적으로 제거해 나갈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 지역주의에 의한 지역주의 담론의 지배화는 그
러한 합리성을 제약하는 요인이며 따라서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
Ⅲ.결론
한국사회의 지역의식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보편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지방주의
(localism)와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의 그것은 생활양식상의 차이나 이질성에서
파생하는 제노포비아와 같은 유가 아니라 생활기회의 우열에 근거한 특권-피해의식, 또는
우월-반발감을 주조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지역의식에 경쟁적, 적대적 성격이 강한
것은 바로 그 점에 있고, 또 그것이 정치적 조작에 의해 지역적 대결의식으로 쉽게 비화하
는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지난 30여년 간의 우리 지역의식은 기본적으로는 지역격차의 순환반응을 통하여 또 선거철
마다 반복되어 온 정치조작에 의해 끊임없이 성장, 강화되어온 확대재생산 과정의 소산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역동적 성격을 갖는 지역주의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많은 사람들은 지역주의의 해소를 위하여 지역적 편견의 극복, 경제격차의 완화, 인사상 불
균형의 시정, 또 심지어는 정치 지도자들의 세대교체 및 지역간 교류확대 등을 광범위하게
제시한다. 우리의 지역주의는 일차적으로 차별과 귀인이라는 상호과정을 통해 순환 성장해
왔고, 그것은 또 정치적 선동이나 조작에 의해 선거철마다 주기적으로 극대화 되어왔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지역주의에 관한 해소책은 기본적으로 요인 하나하나를 분절적으로 처
리하는 단선적 절차 대신 주요 유관인자들 모두에 동시적으로 칼을 대는 전면적 형태를 갖
추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남영신 <지역패권주의 연구> 학민사-1992
임희섭, 박길성 <오늘의 한국사회> 나남출판사-1994
조기숙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나남출판사-2000
홍기훈 <지역주의와 한국정치> 백산서당-1996
참고사이트
http://jbreview.jinbo.net/archives/sohn/sohn08.html
http://www.hwahap.or.kr/data9.htm
http://my.netian.com/~aym28/논술/지역주의%20.html
http://web2.kwangju.ac.kr/~jychoe/soci/7-region1.htm
대적 요소라는 점에서 사회기간조직의 합리성 증대는 그 조직에서 지역주의적 요소를 저마
적으로 제거해 나갈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 지역주의에 의한 지역주의 담론의 지배화는 그
러한 합리성을 제약하는 요인이며 따라서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
Ⅲ.결론
한국사회의 지역의식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보편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지방주의
(localism)와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의 그것은 생활양식상의 차이나 이질성에서
파생하는 제노포비아와 같은 유가 아니라 생활기회의 우열에 근거한 특권-피해의식, 또는
우월-반발감을 주조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지역의식에 경쟁적, 적대적 성격이 강한
것은 바로 그 점에 있고, 또 그것이 정치적 조작에 의해 지역적 대결의식으로 쉽게 비화하
는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지난 30여년 간의 우리 지역의식은 기본적으로는 지역격차의 순환반응을 통하여 또 선거철
마다 반복되어 온 정치조작에 의해 끊임없이 성장, 강화되어온 확대재생산 과정의 소산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역동적 성격을 갖는 지역주의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많은 사람들은 지역주의의 해소를 위하여 지역적 편견의 극복, 경제격차의 완화, 인사상 불
균형의 시정, 또 심지어는 정치 지도자들의 세대교체 및 지역간 교류확대 등을 광범위하게
제시한다. 우리의 지역주의는 일차적으로 차별과 귀인이라는 상호과정을 통해 순환 성장해
왔고, 그것은 또 정치적 선동이나 조작에 의해 선거철마다 주기적으로 극대화 되어왔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지역주의에 관한 해소책은 기본적으로 요인 하나하나를 분절적으로 처
리하는 단선적 절차 대신 주요 유관인자들 모두에 동시적으로 칼을 대는 전면적 형태를 갖
추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남영신 <지역패권주의 연구> 학민사-1992
임희섭, 박길성 <오늘의 한국사회> 나남출판사-1994
조기숙 <지역주의 선거와 합리적 유권자> 나남출판사-2000
홍기훈 <지역주의와 한국정치> 백산서당-1996
참고사이트
http://jbreview.jinbo.net/archives/sohn/sohn08.html
http://www.hwahap.or.kr/data9.htm
http://my.netian.com/~aym28/논술/지역주의%20.html
http://web2.kwangju.ac.kr/~jychoe/soci/7-region1.htm
추천자료
제16대 총선과 지역주의
민주화세력의 분열과 지역주의적 선거
지방선거와 지역주의
다자주의와 지역주의의 관계 및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이슈
한국 조선업계의 생산력증대와 유럽연합과 한국간 쌍무협상에 관한 검토
NAFTA와 FTAA, FTA를 통해 미국 지역주의 정책의 전개방향을 모색해보고 우리의 대응방향과 ...
16대 대선과 지역주의
세계는 다자주의에서 왜 지역주의로 무역정책을 바꾸는가?
지구화(세계화)의 성격, 지구화(세계화)의 저항, 지구화(세계화)의 한계, 지구화(세계화)와 ...
17대 총선(국회의원선거, 415총선)과 텔레비전토론, 신문보도, 17대 총선(국회의원선거, 415...
[아시아태평양]아시아태평양지역(아태지역)의 개념, 구조, 아시아태평양지역(아태지역)의 지...
미국의 지역주의 정책과 국제통상관계의 변화
유럽의 기업문화-독일을 중심으로-,포드, BMW, 도요타 마케팅사례,독일 문화,지역주의와 국가...
주요대선을 통해본 지역주의의 전개와 매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