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사회체육
2. 독일의 사회체육
3. 소련의 사회체육
4. 캐나다의 사회체육
5. 호주의 사회체육
6. 중국의 사회체육
7. 일본의 사회체육
8. 한국의 사회체육
<<참고 문헌>>
2. 독일의 사회체육
3. 소련의 사회체육
4. 캐나다의 사회체육
5. 호주의 사회체육
6. 중국의 사회체육
7. 일본의 사회체육
8. 한국의 사회체육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지방자치단체가 체육시설을 지을 때는 반드시 기준을 맞게 하고 이 경우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도록 하였다.
오늘날 일본사회의 경행은 좀더 적게 일하고 좀더 많은 시간을 여가활동을 보내자는 특히, 젊은 층에 있어서 스포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체육활동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1988년 7월, 문부성에서는 체육국 안에 사회체육과를 설치하여 사회체육 정책수행을 위한 행정적 뒷받침과 예산상의 뒷받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8. 한국의 사회체육
1962년 7월 17일 「국민체육 진흥법」이 제정 공포된 이래 1966년 2월 시행령 공포, 1967년 3월과 1971년 1월 대폭 개정, 1983년 1월 다시 개정되었으나 전국민을 위한 「Sports for all」이라는 정책적 방향에는 아직 미흡하기 때문에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이 있다. 생활체육이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정책적 뒷받침이 따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법률적 토대 위에 추진중인 정책 중 국민체육 장기계획의 기본내용은 프로그램의 개발, 체육시설의 확충과 관리의 내실화, 우수지도자 양성, 기금조성, 법령 개선 등을 설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강력한 실행 단계는 되지 못하고 있다(이창복, 1989).
우리 나라는 국민 1인당 이용할 수 있는 체육관련 공공시설이 부족함으로 민간인이 참여하여 스포츠 센터를 건설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수영장, 스케이트장, 볼링장, 골프장, 캠프장, 테니스장 같은 것은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여 건설하는 것이 옳은 일이나 토지초과 이득세의 영향으로 기존의 시설마저 사라지고 대신 주거상업용 건물만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각종 세금 문제가 체육시설 건설에 민간의 참여를 방해하고 있어 체육관련 시설들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한국사회체육진흥회(KASFA)는 사회체육 활동을 바탕으로 범 국빈적 평생체육윽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건전한 심신 발달을 도모하여 밝고 풍요로운 국민생활을 여위하게 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통하여 복지사회 건설과 민족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며, 국민화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5년 4월 2일,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한국사회체육진흥회의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① 모든 국민의 사회체육 활동 참여운동 전개
② 스포츠 동호인회 등 자생적 클럽의 지도, 육성
③ 레저스포츠, 레크레이션 등 가족스포츠 진흥사업
④ 사회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
⑤ 사회체육진흥을 위한 조사, 연구개발 및 보급
⑥ 사회체육지도자 양성 및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
⑦ 각종 사회인 체육대회 및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대회 개최
⑧ 사회체육을 통한 국제 교류
⑨ 국민건강의 중요성 인식 증대 및 사회체육 홍보
⑩ 사회체육에 관한 제반 자료수집
⑪ 기타 국민건강 증진과 본회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한국사회체육센터는 1984년 3월 30일, 종전의 재단법인 새바람이 문교부로부터 체육부로 주무부처가 이관됨에 따라 재단법인 한국사회체육센터로 개칭하였으며, 동년 5월 9일 개관하였다.
한국사회체육센터(SAKA)는 평생교육을 바탕으로 모든 사람의 체육문화운동을 널리 보급, 확장함으로써, 체력을 증진하고 생활의 지혜를 익혀 아름다운 삶을 누리면서 이웃과 함께 사랑을 나누며 밝고 명랑한 사회건설, 건강하고 힘찬 나라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각종 프로그램 및 행사를 다음 3가지 기본활동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1)평생 스포츠 진흥활동 : 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각종 스포츠 종목의 지도활동.
2)생활문화 예술활동 : 예능, 과학, 연극, 영화, 뮤지컬, 취미 강좌
3)레크레이션 보급활동 : 민속무용, 건전노래, 놀이강습, 게임축제, 각종 야외활동
<<참고 문헌>>
사회체육행정론 교학연구사 한경희, 유연식 공저
체육사 형설출판사 조명렬, 노희덕, 아영일 공저
http://www.kasfa.or.kr/
http://www.ulsanforum.co.kr/downfolder/시민13.hwp
http://www.18segi.com/%BC%BA%C6%F8%B7%C2/%BC%BA%C0%C7%C7%D0%BB%F3%BD%C4/%B3%B2%BC%BA%BB%FD%BD%C4%B1%E2.htm
http://user.chollian.net/~family13/x1.ht
http://www.chacares.com/group/bulim/content/?cl_index=1&co_index=2
오늘날 일본사회의 경행은 좀더 적게 일하고 좀더 많은 시간을 여가활동을 보내자는 특히, 젊은 층에 있어서 스포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사회 체육활동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1988년 7월, 문부성에서는 체육국 안에 사회체육과를 설치하여 사회체육 정책수행을 위한 행정적 뒷받침과 예산상의 뒷받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8. 한국의 사회체육
1962년 7월 17일 「국민체육 진흥법」이 제정 공포된 이래 1966년 2월 시행령 공포, 1967년 3월과 1971년 1월 대폭 개정, 1983년 1월 다시 개정되었으나 전국민을 위한 「Sports for all」이라는 정책적 방향에는 아직 미흡하기 때문에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이 있다. 생활체육이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정책적 뒷받침이 따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법률적 토대 위에 추진중인 정책 중 국민체육 장기계획의 기본내용은 프로그램의 개발, 체육시설의 확충과 관리의 내실화, 우수지도자 양성, 기금조성, 법령 개선 등을 설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강력한 실행 단계는 되지 못하고 있다(이창복, 1989).
우리 나라는 국민 1인당 이용할 수 있는 체육관련 공공시설이 부족함으로 민간인이 참여하여 스포츠 센터를 건설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수영장, 스케이트장, 볼링장, 골프장, 캠프장, 테니스장 같은 것은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여 건설하는 것이 옳은 일이나 토지초과 이득세의 영향으로 기존의 시설마저 사라지고 대신 주거상업용 건물만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각종 세금 문제가 체육시설 건설에 민간의 참여를 방해하고 있어 체육관련 시설들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한국사회체육진흥회(KASFA)는 사회체육 활동을 바탕으로 범 국빈적 평생체육윽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건전한 심신 발달을 도모하여 밝고 풍요로운 국민생활을 여위하게 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통하여 복지사회 건설과 민족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며, 국민화합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85년 4월 2일,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었다.
한국사회체육진흥회의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다.
① 모든 국민의 사회체육 활동 참여운동 전개
② 스포츠 동호인회 등 자생적 클럽의 지도, 육성
③ 레저스포츠, 레크레이션 등 가족스포츠 진흥사업
④ 사회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
⑤ 사회체육진흥을 위한 조사, 연구개발 및 보급
⑥ 사회체육지도자 양성 및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
⑦ 각종 사회인 체육대회 및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대회 개최
⑧ 사회체육을 통한 국제 교류
⑨ 국민건강의 중요성 인식 증대 및 사회체육 홍보
⑩ 사회체육에 관한 제반 자료수집
⑪ 기타 국민건강 증진과 본회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한국사회체육센터는 1984년 3월 30일, 종전의 재단법인 새바람이 문교부로부터 체육부로 주무부처가 이관됨에 따라 재단법인 한국사회체육센터로 개칭하였으며, 동년 5월 9일 개관하였다.
한국사회체육센터(SAKA)는 평생교육을 바탕으로 모든 사람의 체육문화운동을 널리 보급, 확장함으로써, 체력을 증진하고 생활의 지혜를 익혀 아름다운 삶을 누리면서 이웃과 함께 사랑을 나누며 밝고 명랑한 사회건설, 건강하고 힘찬 나라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각종 프로그램 및 행사를 다음 3가지 기본활동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1)평생 스포츠 진흥활동 : 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각종 스포츠 종목의 지도활동.
2)생활문화 예술활동 : 예능, 과학, 연극, 영화, 뮤지컬, 취미 강좌
3)레크레이션 보급활동 : 민속무용, 건전노래, 놀이강습, 게임축제, 각종 야외활동
<<참고 문헌>>
사회체육행정론 교학연구사 한경희, 유연식 공저
체육사 형설출판사 조명렬, 노희덕, 아영일 공저
http://www.kasfa.or.kr/
http://www.ulsanforum.co.kr/downfolder/시민13.hwp
http://www.18segi.com/%BC%BA%C6%F8%B7%C2/%BC%BA%C0%C7%C7%D0%BB%F3%BD%C4/%B3%B2%BC%BA%BB%FD%BD%C4%B1%E2.htm
http://user.chollian.net/~family13/x1.ht
http://www.chacares.com/group/bulim/content/?cl_index=1&co_index=2
추천자료
유아체육 프로그램!도시와 농촌유아간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행동 미치는영향
생활체육 참여가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체육교육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측면과 광의적 및 협의적측면
체육활동이 5대 재활영역(의료, 교육, 직업, 사회, 심리)에 미치는 영향
체육스포츠의 사회적 문제
[교육평가]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ICT활...
초등학교 3, 4학년의 교과통합 복식교육(복식수업, 복식학급), 초등학교 3, 4학년의 도덕과, ...
[초등학교교과서][교과서][초등교과서][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 영어교과서, 초등학교 수학교...
체육의 가치 [체육의 신체적,생리적,심리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및 역사,철학적 가치]
국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수학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과학과...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현대생활과 체육 (현대생활 - 정치, 경제, 문화, 사회) _ 전병관 교수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보건, 의료, 생활체육서비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