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이혼이란
2)우리나라 이혼의 실태
3)이혼율 증가의 원인
4)이혼의 영향(문제점)
5)대책방안
①정책적 대책
②실천적 사회복지 서비스 개선과 대책
③이혼한 당사자를 위한 행동적·정신적 지침
④이혼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행동적·정신적 지침

Ⅲ. 결론

본문내용

들의 슬픔과 분노 또는 혼란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부모들을 화나게 할 것 라고 믿기 때문에 이러한 감정들을 숨기려고 한다. 아이들에게 그들의 모든 감정과 느낌들이 정상이며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아이들에게 부모가 다시 합치기를 바라는 마음은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줘라. 일단 이혼한 사람들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아이들이 그것을 원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라고 말해줘라.
언제나 이혼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 아이들이 물을 수 있게 해라. 아이들이 자유롭게 물을 수 있게 하고, 그것에 성실하게 대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라. 거짓말은 하지 말되, 아이들의 연령과 감정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자세한 내용을 이야기할지 생각해보아라.
(2)아이들 끌어들이지 말기
전 배우자와 대화하거나 또는 전 배우자를 감시하기 위해 아이들을 이용하지 마라. 생활이나 가정의 세세한 내용들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질문하지 말고, 아이가 전배우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지 마라. 그러나, 자원해서 얘기하기 원한다면 편안하고 성의 있게 들어 줘라.
아이들을 부모 중 한쪽 편을 들도록 하지 마라. 아이들은 부모 모두를 사랑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이 앞에서 전 배우자에 대해 험담하는 것도 삼가 해오.
자녀와 전 배우자를 비난하듯 비교하지 마라. 비록, 비슷한 점이 너무나 명확하다고 하더라도 가능하면 비교하지 마라.
(3) 아이들을 아이답게
아이들에게 전 배우자의 역할을 대신해 줄 수 있는 친척이나 좋은 어른들과 가까이 지내도록 해 줘라. 가족 내의 극심한 갈등과 이혼을 경험한 경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으나 주변에 지지체계가 있으면, 보다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자녀를 떠나간 배우자를 대신하는 어른으로 생각하고 대하지 마라. 아직 당신의 고민과 생각을 다 받아들이기에는 어리기 때문이다. 한부모를 보살피는 역할을 하는 자녀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Ⅲ. 결론
가족문제는 이제 더 이상 가정 안에 머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가족 문제도 이젠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취급하고 사회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 들어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변하고 있다. 과거 전통적인 가족은 가문 중심이었으며, 가족질서를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산업화와 더불어 이러한 질서가 무너진 핵가족을 이젠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구조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남성 위주의 가치관에 대한 변화를 추구하는 움직임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서 최근 여성계에서는 호주제가 한국사회의 남성중심적 사회관습과 의식을 강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호주제의 폐지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호주제의 폐지는 단순히 신분등록제도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이 제도를 통해 유지되었던 남성중심적 가치관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 하나 새로운 시각은 이혼에 대한 시각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혼이라는 낙인을 받게 되면 사회적으로 혹은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장애를 겪었다. 그러나 이혼이 빈번해 지면서 이혼도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가족을 도식적인 묶음으로 보는 것에 하나의 개체로 해체하여 볼 수도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혼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혼하게 된 가정을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법의 개정이라든지 경제적 지원 등의 대책도 중요하겠지만 생활상에서 나타나는 우리가 사소하게 볼 수도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대책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예를 들어, 이혼한 한 주부는 학기초에 가정환경조사서를 써서 내면 선생님이 부모가 이혼한 아이들은 교무실로 따로 부른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반 아이들이 아이가 이혼가정의 자녀란 것을 다 알게 되며, 괜한 선입관을 가지고 아이를 보게 되는 것 같다며 가정환경조사서를 이메일로 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렇듯 사소한 것 하나에도 이혼가정의 어린 자녀들은 상처받을 수 있으므로 이런 문제들에도 좀 더 세밀한 관심을 가져야겠다. 또한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귀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다음 아래에 제시하는 것은 한부모가정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에 기재된 이혼가정의 가족원들이 국가에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들이다.
① 교사가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질수 있도록 교사연수 내용을 첨가하여 교육하라!
② 교과과정에 다양한 형태의 가족의 모습을 보여 주고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통해 한부모가족 자녀가 또래에게 놀림을 받지 않도록 하라!
③ 통신문이나 보호자 날인이 필요한 경우, 엄마 이름을 쓰든 아빠 이름을 쓰든 이상하게 보지말자!
④ 가정환경조사서를 작성할 때는 비공개로 작성하라!
앞으로의 가족정책은 가족성원이 평등을 보장하는 정책을 추구해야 하며 예를 들면 한부모가족, 독거노인가족, 소년소녀가장가족 등 새로운 형태까지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이의 자원은 전체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문제의식을 통합적이고 다각적으로 지원되어야 하며 경제적 빈곤 문제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출처>> ① http://www.dfsc.or.kr/board/h_list.asp?arng=1
②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gangi/daehagweon/munji/2002/005.htm
③ 주간내일신문 99년 5월 26일
④ 한겨레 2001.06.26(화) 20:27
⑤ ‘새로짓는 우리집’
⑥ 여성과 현대사회, 황혼이혼 발표자료 | 교양 레포트 2004/03/07 19:49
⑦ 연합뉴스 2003-02-03 09:44:35
⑧ 이혼가족과 자녀 | 유아교육 2004/04/04 02:15
⑨ http://blog.naver.com/k2bog/60001568776
⑩ 연합뉴스 2003.12.28(일) 08:59
⑪ http://blog.naver.com/jmpyo02/20001209752
⑫ 오마이뉴스 2003-06-05 12:4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1.3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