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 감상문] 존 말코비치 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분석 감상문] 존 말코비치 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2.1 자아 분열
2.2 인간의 잠재적 욕구
2.3 SEXUALITY
2.4 자아 정체성

결론

본문내용

정체성을 찾은 것이다.
반면에 크레이그는 어떠한가? 크레이그가 영화에 처음 나올 때 지극히 평범하고 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다가 우연히 취직하러 들어간 회사에서 맥신이라는 여자를 보고 한눈에 반해버린다. 맥신을 처음 만나본 이후로 크레이그는 맥신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게 되는데 심지어 맥신과 하루밤 지새우기 위해 자신의 아내인 라티를 원숭이가 있는 철창 우리에 가두고 총기를 위협해서 맥신을 속이고 그녀와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처음에 착하게 나오는 크레이그가 왜 그렇게 변하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 한가지 맥신이라는 여자 때문이다. 여기에서 맥신의 역할은 크레이그의 욕망의 대상, 즉 게임으로 따지면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그의 모습은 흡사 게임중독증 환자와 비슷하다. 게임중독증 환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 보면 게임에 접하기 전에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게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게임이 주는 재미에 빠져 버린 나머지 게임에 점점 중독되어 가고 더 나아가서 학교에서 돌아온 뒤에는 한시라도 게임을 하지 않으면 못살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을 착각해서 게임에서의 자신의 캐릭터가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캐릭터를 죽인 사람을 찾아가 심한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프로 게이머와 게임 중독증 환자와 거의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반문하면서 크레이그나 라티나 둘다 비슷한 거 아니냐하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것에는 공통점을 보이나 게임 중독증 환자는 즐거움만을 추구한 나머지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질 않는다. 그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오직 게임을 즐기는 현재 뿐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게임을 즐기긴 하지만 게임 중독증 환자와는 달리 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는 단순히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SEXUALITY, 인간의 잠재적 욕구, 자아 분열 등 여러 가지 인간의 모습을 담아 내고 있다. 따라서 \" 존 말코비치 되기\" 라는 영화는 블랙코미디로 가볍게 웃어 넘기기에는 우리에게 전해 주는 메시지가 결코 단순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 영화를 통해 잠시나마 우리 인간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을 수 있어서 좋았다.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