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론으로 보는 취화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 이론으로 보는 취화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새로운 성장 동력, 문화콘텐츠의 힘

II. 본 론 : [취화선]을 통해서 보는 문화 이론
1. [취화선]의 줄거리.
2. 한국영화의 정체성 : 스크린쿼터제
3. [취화선]의 시장실패 : 정부의 보호 필요
4. 문화 전파론의 입장에서 본 [취화선]
5. 인터넷 문화로 인한 사회문제 : “아햏햏”

III. 결론 : 우리가 지향해야할 미래의 모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함과 그럼으로 인해서 피할 수 없는 규모의 불경제(diseconom -ies of scale)가 존재하며 결국 우리의 경쟁력을 독자적으로 세계 수준까지 상승시키는 것은 오랜 시간을 요하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과 일본이라는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이 제공된다면 이러한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여지가 존재한다.
결국 이들 국가들과의 협력적 발전을 추구하며 아시아 문화산업의 중심 국가로 위상을 정립하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런 의미에서 문화산업 분야의 ‘동북아 중심 국가’도 다른 분야 못지않게 우리 미래에 커다란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8년까지 세계5대 문화산업 강국으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현재 우리 문화산업의 세계시장점유율은 1.5%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가능성과 노력들이 결실을 거둬 2008년까지 세계문화시장점유율을 4%까지 끌어올릴 수만 있다면 미국, 일본, 중국, 영국과 함께 문화콘텐츠 5대 강국에 진입하는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10년 후 문화산업은 한국경제를 이끌 대표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반도체, 자동차, 정보통신이 우리 경제를 먹여 살리는 효자산업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또 하나의 축으로써 우리 경제의 든든한 기둥이 될 것이다. 효자산업에 이은 효녀산업 정도로 표현하면 어떨까 싶다.
미래는 문화산업이다. 문화산업을 생각하면 어렸을 적 무지개를 처음 보았을 때의 설렘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느낀다. 그 옛날 징기스칸이 이룩한 제국처럼 기마민족의 진취성으로 우리 문화가 세계 속에 우뚝 서게 되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 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자연과학의 힘은 아무리 많아도 좋으나, 인류 전체로 보면 현재의 자연과학만 가지고도 편안히 살아가기에 넉넉하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 자비가 부족하고, 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마음만 발달이 되면 현재의 물질력으로 20억이 다 편안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말미암아서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백범 김구, \'나의 소원\'中)
* 참고 문헌 *
문화의 세기 한국의 문화정책 김복수, 강돈구 외, 보고사.
문화콘텐츠를 위한 시각예술과 대중문화 신방흔 진한도서.
우리들의 비밀암호 노무현을 부탁해 (주류영화평론가를 지향하는 비주류 문화평론가 공희준의) 공희준, 시와사회.
한국영화발달사 유현목, 책누리.
한국영화발전사 호현찬, 문학사상사.
한국영상자료원 홈페이지 - www.koreafilm.or.kr 04/11/22
무비스트 : 취화선 http://www.movist.com/movies/movie.asp?mid=5672 04/11/23
스크린쿼터문화연대 http://www.screenquota.org 04/11/22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0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