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회화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회화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준을 높였다. 그 기량을 인정 받아 정조의 은총으로 동반(東班)직 관료까지 될 수 있었으며 이즈음부터 명나라 선비화가 이유방(李流芳)을 따라 \'단원\'이라는 아호를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실제 김홍도의 인간적 풍취나 예술가로서의 기질 또한 사대부에 버금가는 품위를 지녔던 것 같다. 이는 강세황의 김홍도에 대한 인물평에 잘 나타나 있다.
.....김홍도의 품격은 얼굴이 맑고 정신이 깨끗하여 고상하고 세속을 초월한 듯 범속하지 않다. 성품 또한 거문고와 피리의 청아한 음색을 좋아하였고, 꽃피고 달 밝은 밤이면 간혹 두어 곡 연주하기를 즐겼다. 그의 기예는 옛 사람에 못지 않고 풍채가 헌칠하고 우뚝하여 진(晉)이나 송(宋)나라의 고매한 인물에서나 그와 같은 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다재다능했던 단원의 회화세계는 화단활동과 화풍으로 보아 연풍 현감에서 파직당하는 51세(1795)를 기점으로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 볼수 있다. 학습기를 거쳐 회화적 성숙기인 20대 후반-40대에는 도화서의 관직 생활을 하면서 궁중·사대부·민간의 주문에 따라 초상화, 기록화, 연회도, 故事나 도석 인물화, 사대부의 삶의 기록인 평생도, 책거리나 호렵도 등의 생활 장식 그림을 주로 그렸다. 이러한 그림들은 화면 구성이나 필치에 김홍도의 개성이 가려진 반면 치밀하고 진지한 창작 태도가 두드러져 보인다. 민중 삶과 사회 생활상을 다룬 풍속화는 바로 이 시기에 주로 그려졌고 그 형식미가 완성되었다. 풍속화보다 현존하는 산수나 산수인물, 50대 이후에 그린 작품의 회화성이 더 뛰어남에도 김홍도의 미술사적 업적은 30대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거론되어 왔다. 이를 보면, 현실의 삶을 대상으로 한 풍속화 자체가 지니는 시대증거로서의 비중을 실감할 수 있다.
김홍도의 풍속화 가운데 풋풋한 맛이 살아 있는 작품은 역시 30대에 이룩되었다. 그 사례가 34세(1778) 때 그린 8폭의 <행려풍속도(行旅風俗圖)> 병풍과 30대 후반에 그린 25점의 《풍속화첩(風俗畵帖)》(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다. <행려풍속도> 병풍은 농촌과 어촌을 여행하다 만난 현장을 사생하듯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네 폭에는 각각 몸종을 데리고 나선 흑립을 쓴 도포 차림의 나그네를 등장시켰는데 모두 동일한 인물로 김홍도 자신을 대변한 듯 하다. 이 병풍이 후기의 풍속화와 다른 점은 배경이 그려져 있다는 점이다. .
병풍 그림보다 좀 더 성숙된 인물 소묘력으로 민중 삶의 정서와 풍자의 멋이 가득한 작품으로는 30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25점의 《풍속화첩》이 있다. 배경을 생략하고 소묘풍에 약간의 담채를 가해 종이에 그린 것으로 본격적인 풍속 그림이라기보다 일종의 풍속화 스케치북 형태이다. 기와이기, 주막, 새참 등을 한 폭 혹은 양면에 그려 넣었다.
4.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김홍도에 이어 조선 후기 풍속화의 절정은 신윤복에 의해서 한 매듭이 지어졌다. 김홍도가 농촌 생활상을 중심으로 풍속화의 세계를 추구한 것과는 달리 신윤복은 중세 말기 변모하는 도회상을 드러내는데 주력하였다. 그리고 여속(女俗)이나 노골적인 남녀의 애정표현을 자신의 예술 세계로 끌어들였다. 대담하게 색정(色情)을 표출한 신윤복의 풍속화는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에로티시즘을 발산하고 있다. 당시 반상(班常)을 구분한 성리학 이념의 폐쇄적 굴레에서 볼 때, 서울의 향락 구조를 중심으로 현실 사회상을 꼬집은 그의 풍자는 사대부의 윤리관이나 체면치레에 일격을 가하는 것이다. 또 그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사회의식이 깔려 있다.
신윤복은 현실 사회상에 관심을 갖고 주제 의식을 뚜렷이 하였다. 도화서에서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2.0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