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95년도 언어영역 문학 기출문제 분석이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능 95년도 언어영역 문학 기출문제 분석이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시(윤동주)

▲바위(유치환)

▲날개(이상)

▲춘향가(정정렬판)

▲오우가(윤선도)

▲나무(이양하)

▲꽃덤불(신석정)

▲꽃잎(김수영)

▲달 포도 잎사귀(장만영)

▲모란이피기까지는(김영랑)

본문내용

는 셈이다. 그러니까 그들이 질주하는 행위는 자신들의 정체 모를 불안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필사적인 몸부림이다. 불안감을 갖고 있는 13인의 아해가 도로를 질주하는 모습을 까마귀가 내려다 보는 풍경이란 더욱 불안하고 음산한 느낌까지도 준다.
그런데 질주하는 13인의 아해 중, 무서운 아해나 무서워하는 아해가 몇이든 상관없다고 한다. 그것은 13인의 아해가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로 이루어져 있지만, 누가 무섭고 누가 무서워하는지 굳이 따질 필요가 없음을 암시하며, 동시에 13인의 아해가 무서운 아해이자 무서워하는 아해라는 반어적 성격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 무섭고, 무서워하는 사이가 되어 13인의 아해는 더욱 불안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스스로가 불안을 느끼는 존재요, 스스로가 불안을 느끼게 하는 존재이므로 질주하는 곳이 막다른 골목이건 뚫린 골목이건 간에 어디에서도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고, 도로로 질주해도 결국은 불안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기에 마지막 행에서는 13인의 아해가 질주하지 않아도 좋다고 하는 것이다.
어디를 가건 불안에 떨며 절망적인 삶을 살 수밖에 없는 그들. 이것이 바로 시인 이상의 눈에 비친 현대인의 모습이 아닐까? 그러므로 바로 삶의 의미와 방향을 잃고 상호 불신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불안 의식을 떨쳐 버리지 못하는 13인의 아해는 맹목적인 자신의 삶을 향해 그저 질주할 뿐이다. 그 불안한 모습을 바라보는 까마귀 이상은 아마도 더욱 불안해하며 암울한 식민지 시대를 가슴 졸이며 살았을 것이다. 현대인의 소외와 불안, 고독을 막다른 골목으로 삼아 절망적이고 암담한 현실 상황을 보여 주고 있으며, 뚫린 골목으로 나타난 희미한 희망의 불꽃이라도 잡아 보려고 하는 현실의 위기 의식을 도식적으로 구도화한 이 시는, 진정한 의미에서 참다운 인간 관계를 열망하는 시인의 마음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관념적, 주지적, 실존적
경향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운율
어조 불길하고 불안한 어조
표현 초현실주의적 기법 사용. 일상의 문법 체계 무시
제재 실존적 삶의 모습
주제 식민지 지식인의 좌절과 불안
♣ 시어·시구 연구 및 분석
#. 오감도 - 조감도(鳥瞰圖)를 조작하여 만든 조어. 까마귀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부정적이고 불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 13인 ; ①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그리스도 이하 13인 ② 위기에 당면한 인류 ③ 무수한 사람 ④ 불길한 공포 ⑤ 당시의 13인 등 다양하게 해석된다.
♣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의 주제를 생각해 보자.
▶ 현대인의 불안감과 절망감
2. 서정적 자아가 처한 상황을 살펴보자.
▶ 공포로부터 탈출 할 길이 없다
3. 서정적 자아가 추구하는 세계의 모습을 생각해 보자.
▶ 공포가 없는 의사 소통이 가능한 세계
4. 13이라는 숫자의 상징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①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그리스도 이하 13인 ② 위기에 당면한 인류 ③ 무수한 사람 ④ 불길한 공포 ⑤ 당시의 13인 등 다양하게 해석된다.
5.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와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를 함께 고려할 때, 화자가 드러내려는 의도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 막다른 골목이건 뚫린 골목이건 관계 없다는 의미이다.
6. 4연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 누가 무서운 아해이고 누가 무서워하는 아해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그 수는 문제될 것이 없다는 뜻이다.
♣ 비교해 봅시다.
1. 다음은 정한모의 \'나비의 여행\' 중 일부이다. 이 시에 드러난 시적 화자의 내면 심리와 어떤 점에서 유사한지 살펴보자.
▷ 사랑은 날아가는 파랑새 / 해후는 언제나 엇갈리는 초조 / 그리움은 꿈에서도 잡히지 않는다.
▶ 불안과 초조한 공포의 심리가 드러나고 있다.
♣ 이것만은 알아야
1. 이 시는 띄어쓰기를 무시한다든지 동일한 구문을 반복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기존의 문 법 질서를 의도적으로 파괴하고 있다. 어떤 작가 의식의 소산인지 생각해 보자.
▶ 이는 일상적 삶의 질서를 부조리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무시하려는 작가의 의도로 볼 수 있다.
2. 이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 이 시는 아이들이 도로를 달려가는 현상을 그린 것이 아니라, 화자의 내면 심리 곧 소 외와 불안 의식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참다운 인간 관계에 대한 갈망을 소외와 단절의 상황을 통해 역설적으로 제시한 작품이다.
3. 4연에 드러난 화자의 목소리를 살펴보자.
▶ 체념적
@ 가정(家庭) -이상(李箱)
門(문)을암만잡아다녀도안열리는것은안에生活(생활)이모자라는까닭이다.밤이사나운꾸지람으로나를졸른다.나는우리집내門牌(문패)앞에서여간성가신게아니다.나는밤속에들어서서제웅처럼자꾸만減(감)해간다.食口(식구)야封(봉)한窓戶(창호)에더라도한구석터놓아다고내가收入(수입)되어들어가야하지않나.지붕에서리가내리고뾰족한데는鍼(침)처럼月光(월광)이묻었다.우리집이앓나보다그러고누가힘에겨운도장을찍나보다.壽命(수명)을헐어서典當(전당)잡히나보다.나는그냥門(문)고리에쇠사슬늘어지듯매어달렸다.門(문)을열려고안열리는門(문)을열려고.
▶ 작품 해설
이상의 시는 위의 작품을 포함해서 대부분 행과 연의 구분은 물론 띄어쓰기까지 무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작가의 의도적 배려로서 문장에 대한 전통적 기법이나 의식, 심지어는 인생에 대한 상식적인 질서까지도 거부하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의 화자는 철저한 독백으로 자의식의 내면을 토로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오히려 이 작품은 주제 의식의 측면에서 보면 단순한 자의식적 관념을 드러내기만 한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의 삶의 일상에 대한 사색을 통해 고립되고 폐쇄된 생활 부재의 현실을 극복하려는 내면적 의지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따라서 가정을 이루고 평범하게 살아가는 일상인의 삶을 동경하는 모습은 곧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분열 현상을 화자의 자의식 내부에서 경험함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봄 - 윤선도
춘 하 추 동
춘사(春詞)
압개예 안개 것고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