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
1) 망간단괴란??
2) 부존위치
3) 망간단괴의 기원..
4) 망간단괴의 내부구조
5) 한국 심해 연구지역내에 분포하는 망간단괴
6) 상용화 가능성
7) 망간단괴 탐사 및 채취방법
8) 망간단괴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
2. 석유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Gas Hydrate)
1) 가스 하이드레이트란 무엇인가
2) 메탄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3)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개발 기술
<해저 1000m 아래의 새 에너지 자원을 회수하는 두 가지 방법>
<새로운 천연가스 저장과 운송기술의 가능성>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개발 및 관련 연구현황>
<동해 가스전 준공 의미와 전망>
⊙ 본론
1.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
1) 망간단괴란??
2) 부존위치
3) 망간단괴의 기원..
4) 망간단괴의 내부구조
5) 한국 심해 연구지역내에 분포하는 망간단괴
6) 상용화 가능성
7) 망간단괴 탐사 및 채취방법
8) 망간단괴의 유용한 사용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
2. 석유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Gas Hydrate)
1) 가스 하이드레이트란 무엇인가
2) 메탄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3)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개발 기술
<해저 1000m 아래의 새 에너지 자원을 회수하는 두 가지 방법>
<새로운 천연가스 저장과 운송기술의 가능성>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개발 및 관련 연구현황>
<동해 가스전 준공 의미와 전망>
본문내용
<레포트>
내가 생각하는
해양자원..
과목명
지구의 탐구
교수명
학과
학번
이름
제출일자
2004.11.30
서론
처음 레포트의 주제를 받았을 때 떠오른 것이 있었다. 수업 시간 중에 잠깐 교수님께서 설명하셨던 ‘망간단괴’가 바로 그것이었다. 처음에는 망간의 층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책을 뒤적이다보니 사진이 있었다. 자갈처럼 생각모양의 작은 덩어리들... 주제를 이것으로 정하고 쓰려고 하는데 자료가 한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현재 우리나라를 산유국 대열에 들어서게 만든 동해의 천연가스에 대해 더 조사해 보았다.
본론
1.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
1) 망간단괴란??
호수나 바다의 퇴적물 위에 반매몰(半埋沒) 또는 퇴적물 속에 얕게 매몰하여 존재하는 망간과 철의 산화물이 주성분인 흑색 덩어리 즉 망간단괴는 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주로 망간이 주성분이며, 물질 모양이 덩어리로 되어 있어서 \'단괴\'란 이름이 붙었다. 수심 4,000~6,000 m의 해저면에 부존된 크기는 평균 40mm~60mm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상어의 이빨이나 망간단괴의 파편, 돌멩이와 같은 핵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2) 부존위치
망간단괴는 전 세계 해저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생성되나 퇴적율이 1000년에 7 ㎜이하로 매우 낮은 지역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단괴의 분포가 매우 적거나 없는 지역은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반원양성 퇴적물이 쌓인 퇴적분지, 저탁류에 의해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퇴적분지, 해저지형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저층해류가 심해로 이동되면서 퇴적물을 퇴적시킨 지역(서대서양), 고위도와 적도지역의 표층수에 풍부한 미생물들이 죽은 후 쌓여서 형성된 석회질 연니와 규질연니 퇴적물이 쌓인 퇴적분지들을 들 수 있다.
반면 단괴가 많이 생성되는 지역은 적점토(赤粘土)가 퇴적되는 지역과 느린 퇴적작용으로 형성되는 규질연니질 퇴적물이 퇴적되는 지역인 남, 북태평양을 들 수 있다. 특히 태평양 하와이 동남방 C-C지역에 고밀도로 부존하고 있다.
① 북대서양
북대서양은 대량의 육지기원 퇴적물과 생물기원 탄산염 퇴적물이 많이 퇴적되는, 퇴적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으로 단괴의 형성이 빈약하다. 이는 북대서양저로 유입되는 퇴적물에 의한 퇴적율이 망간단괴의 침전 성장율을 능가함을 의미한다. 주 분포지는 캘빈 해저산과 같은 고지, 블레이크 대지, 플로리다와 쿠바 동부의 수심 4,500∼5,000 m지역이다. 특히 플로리다와 쿠바 동부지역은 중앙대서양 해령으로부터의 퇴적물 유입이 없는 적점토 지역이므로 깊은 수심과 낮은 퇴적율이 망간단괴 부존의 좋은 환경이 된다.
② 남대서양
남대서양은 북대서양보다 망간단괴의 분포 면적이 넓은데, 이는 유입되는 큰 하천이 적고 중앙대서양 해령이 북대서양보다 작게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망간단괴 및 망간각의 분포지는 경사가 급한 육성기원 퇴적물의 분포지와 중앙대서양 해령의 탄산염이 풍부한 퇴적지 사이에 분포하며 수심은 4,500 m정도이다. 그 외 남아프리카 남단 부근의 케이프분지와 아귤라스 대지에도 많은 단괴가 분포되어 있다.
③ 인도양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지형적으로는 고지보다 분지에 일반적으로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인도양의 중심부에 남북 방향으로 발달된 90°E 해령의 양쪽 분지에 고함량지역이 분포하며 간혹 해령의 기저 부분에서도 많은 단괴가 발견된다. 아라비아해와 벵갈만과 같은 대륙 주변의 해저평원이나 대륙사면에는 단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 서부 인도양의 마다가스칼분지와 크로
내가 생각하는
해양자원..
과목명
지구의 탐구
교수명
학과
학번
이름
제출일자
2004.11.30
서론
처음 레포트의 주제를 받았을 때 떠오른 것이 있었다. 수업 시간 중에 잠깐 교수님께서 설명하셨던 ‘망간단괴’가 바로 그것이었다. 처음에는 망간의 층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책을 뒤적이다보니 사진이 있었다. 자갈처럼 생각모양의 작은 덩어리들... 주제를 이것으로 정하고 쓰려고 하는데 자료가 한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현재 우리나라를 산유국 대열에 들어서게 만든 동해의 천연가스에 대해 더 조사해 보았다.
본론
1.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
1) 망간단괴란??
호수나 바다의 퇴적물 위에 반매몰(半埋沒) 또는 퇴적물 속에 얕게 매몰하여 존재하는 망간과 철의 산화물이 주성분인 흑색 덩어리 즉 망간단괴는 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으로 이루어졌는데 주로 망간이 주성분이며, 물질 모양이 덩어리로 되어 있어서 \'단괴\'란 이름이 붙었다. 수심 4,000~6,000 m의 해저면에 부존된 크기는 평균 40mm~60mm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상어의 이빨이나 망간단괴의 파편, 돌멩이와 같은 핵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2) 부존위치
망간단괴는 전 세계 해저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생성되나 퇴적율이 1000년에 7 ㎜이하로 매우 낮은 지역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단괴의 분포가 매우 적거나 없는 지역은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반원양성 퇴적물이 쌓인 퇴적분지, 저탁류에 의해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퇴적분지, 해저지형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저층해류가 심해로 이동되면서 퇴적물을 퇴적시킨 지역(서대서양), 고위도와 적도지역의 표층수에 풍부한 미생물들이 죽은 후 쌓여서 형성된 석회질 연니와 규질연니 퇴적물이 쌓인 퇴적분지들을 들 수 있다.
반면 단괴가 많이 생성되는 지역은 적점토(赤粘土)가 퇴적되는 지역과 느린 퇴적작용으로 형성되는 규질연니질 퇴적물이 퇴적되는 지역인 남, 북태평양을 들 수 있다. 특히 태평양 하와이 동남방 C-C지역에 고밀도로 부존하고 있다.
① 북대서양
북대서양은 대량의 육지기원 퇴적물과 생물기원 탄산염 퇴적물이 많이 퇴적되는, 퇴적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으로 단괴의 형성이 빈약하다. 이는 북대서양저로 유입되는 퇴적물에 의한 퇴적율이 망간단괴의 침전 성장율을 능가함을 의미한다. 주 분포지는 캘빈 해저산과 같은 고지, 블레이크 대지, 플로리다와 쿠바 동부의 수심 4,500∼5,000 m지역이다. 특히 플로리다와 쿠바 동부지역은 중앙대서양 해령으로부터의 퇴적물 유입이 없는 적점토 지역이므로 깊은 수심과 낮은 퇴적율이 망간단괴 부존의 좋은 환경이 된다.
② 남대서양
남대서양은 북대서양보다 망간단괴의 분포 면적이 넓은데, 이는 유입되는 큰 하천이 적고 중앙대서양 해령이 북대서양보다 작게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망간단괴 및 망간각의 분포지는 경사가 급한 육성기원 퇴적물의 분포지와 중앙대서양 해령의 탄산염이 풍부한 퇴적지 사이에 분포하며 수심은 4,500 m정도이다. 그 외 남아프리카 남단 부근의 케이프분지와 아귤라스 대지에도 많은 단괴가 분포되어 있다.
③ 인도양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지형적으로는 고지보다 분지에 일반적으로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인도양의 중심부에 남북 방향으로 발달된 90°E 해령의 양쪽 분지에 고함량지역이 분포하며 간혹 해령의 기저 부분에서도 많은 단괴가 발견된다. 아라비아해와 벵갈만과 같은 대륙 주변의 해저평원이나 대륙사면에는 단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 서부 인도양의 마다가스칼분지와 크로
추천자료
갯벌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경제분석의 표준화 및 해양환경회계설계방안
[풍력자원]풍력발전시스템의 국내외 현황과 풍력자원예측 및 운용사례
[갯벌][갯벌정책][갯벌보존][서해안갯벌][해양생태계][갯벌생태계][갯벌매립]다양한 갯벌의 ...
인천항(인천항만, 인천항구)의 연혁과 기능재배치, 인천항(인천항만, 인천항구)의 항만시설 ...
[A+인간자원개발론]인간자원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관광자원개발 특정자원분석_광안리를 중심으로
원자재 자원관리 및 자원 재활용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전략
IMO(국제해사기구)의 설립배경, 국제해양법, IMO(국제해사기구)의 AFS협약, 동향, IMO(국제해...
[자원재활용, 자원재활용 개념, 자원재활용 1회용품 운동, 자원재활용 황토벽돌기술, 생활화 ...
[자원관리][자원][정보자원관리][수자원관리][인적자원관리][어업자원관리][전사적 자원관리]...
[어업자원관리][어업자원관리 수산물무역 자유화][어업자원관리 일본제도][어업자원관리 사례...
자원봉사론4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중 하나를 골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
스페인어 문화권의 사회와 문화 - 자원민족주의 <중남미 자원민족주의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
[평가우수자료][정책사례분석] 대양해군정책 분석,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사례, MSF 이론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