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광공업 구조 및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북한의 경제노선 전략 및 방향
3. 광공업의 정책 및 구조
4. 북한의 공장 기업소 관리체계의 정책과 방향
5. 동기부여 정책 및 성과
6. 북한의 에너지 난과 원자재 난의 원인과 대책
7. 최근 북한의 광공업 실태

본문내용

의 독립채산제의 강화와 책임경영제 시행, 그리고 성과급 제도의 도입 등 기존의 명령식 계획경제에서 분권적 실리적 계획경제로의 생산관리 방식을 전환한 점이 특징이다. 시행령에 의하면 북한은 그 동안 중앙정부가 갖고 있던 생산관리 계획 권한 중 군수공업 등 국가전략에 중요한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를 하부 기관이나 지방에 대폭 이양한 것 밝혀졌으며 이와 함께 북한은 지방의 공장에서 생산된 상품에 한해선 그 가격을 해당 공장이 정할 수 있도록 했다. 국가계획위원회는 국가적인 중요 지표들을 계획화하고 개별적인 생산계획과 관리는 지방정부에 위임되었다. 그리고 공장·기업소의 경우에도 기존에 당위원회가 갖고 있던 기업운영 권한을 대폭 전문경영인인 지배인에게 넘기는 지배인에 의한 책임경영제가 도입되고, 생산계획을 초과하는 잉여분에 대한 자율적 처분을 보장하는 등 독립채산제의 강화 그리고 일률적인 임금지급을 지양하고 생산성과에 따라 임금을 지불하는 등 성과급 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처로 공장·기업소 들은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평가를 받으며 계획을 초과 달성한 공장·기업소의 근로자들은 그에 상응한 추가 분배를 받게 된다. 그 외에도 책임시간 초과 근무에 대한 초과 임금지급제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의 생산관리 방식의 변화는 기존의 북한식 생산관리 방식과는 다른 파격적인 개혁적 조치로 보이며 북한경제관리 방식에 기본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공업부문의 생산관리 방식의 변화는 기존의 일방적 명령형 생산방식에서 실리위주의 자율적 방식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북한의 주요 광공업 가동률은 최근 다소 나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20∼30%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이고, 석탄생산량도 감소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2, 4월 중■■김'부자 생일행사 및 아리랑 공연의 추진이 산업부문의 생산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분석한다. 현재 중공업 대 경공업 비율이 거의 3:1로 나타나는 북한 공업구조의 불균형 현상은 현재의 남한과 비슷하다.
★★★참고문헌★★★
<<인터넷 싸이트>>
webdb02.korcham.net/korchamnet/kcncommi/file/%C8%B8%C0.... [최근 북한 경제 정책 변화의 개혁적 의미와 전망]
pys7669.hihome.com/frame20-1.htm [공장의 의사결정]
www.seiya.or.kr/han/rec/humor/hhr-18031.html [북한 인권보고서]
my.dreamwiz.com/jsw0604/data/do/do2/b-kengje.htm [북한경제체제의 성립과정과 전개]
www.women.or.kr/unification/scholarship/view02.html [여성 노동자 비율]
http://ipcp.edunet4u.net/%7Eteacher14/n-korea2.htm [북한경제의 현황과 당면과제]
http://www.enn21.com/nkenv/nkdata/nkdata01.htm [교통 물류체계 개발정책]
http://nk.joins.com/article.asp?key=2000122122512511001130 [독립채산제]
www.kotra.or.kr/main/info/nk/nation/economy+sub14.php3 [철광석, 석탄생산량]
Kier.re.kr/common/energy/energy25.htm [석탄 부존량]
p138_121.kyungpook.ca.kr/images/minersources.jpg [지하자원 분포]
www.Kotra.or.kr/main/info/nk/nation/invest_sub12.php3 [북한의 일반적 임금수준]
www.Kotra.or.kr/main/info/nk/nation/econemy-sub12.php3 [북한의 산업구조]
www.Kotra.or.kr/main/info/nk/nation/reserch/extra_05.php3 [북한과 러시아 지원현황]
www.daejin.or.kr/home/yjkim/n-korea4.htm [북한의 계획경제의 모순]
www.naeil.com/weekynaeil/nawil/news/336/33608.htm [북한의 중화학 공업]
nk.consulting.co.kr [북한의 제조업 구성 변동추이]
www.tgedu.net/student/jung_sa/life/bok/03-5.htm [연도별 북한의 산업구조]
linuz.goryo/ms.kr/~내챰/north/3 202.htm[픗부한 지하자원과 공업]
hsed.or.kr/hswbi/hswbi20/hmsjal/xa3-1.htm[지하자원]
www.tgedu.net/student/jung_sa/life/bok/03-2.htm [석탄, 철광석 분포도]
www.tgedu.net/student/jung_sa/life/bok/03-1.htm [북부지방의 주요 공업지대]
www.paum-e.es-kr/paum-pbs/UpFiles/1/5/1공업/주요%20공업지역%20 [주요공업지역]
<<참고문헌>>
통계청, 『북한의 경제통계』, 1996
고태우, 『북한사 100장면』, 1996, 가람기획
고준석, 『북한 현대사입문』, 1989, 함성출판
임영태, 『민족 화해와 협력의 시대에 읽는 북한 50년사 1,2권』, 1999, 들녁출판사
북한뉴스레터 1998년 3월호
김학준, 『북한 50년사』, 1995, 동아출판사
김병로, 『북한의 지역자립체제』, 1999, 통일연구원
이영선, 『북한의 현실과 통일과제』, 1993, 연세대학교
최명, 『북한개론』,1990, 을유문화사
조제길, 『북한은 변하고 있는가』, 1990, 삼인사
민족통일연구원, 『북한의 에너지 수급실태연구』, 1993, 민족통일연구
신용도, 『북한 경제체제 전환 분석』, 2002, 소화출판사
김연철, 『북한 경제 개혁 연구』, 2002, 후마니타스
우정, 『북한사회 구성론』, 2000, 진솔북스
(북한자료센타) 북한책: 『사회주의 경제건설의 기본노선을 관철하기 위한 우리당의 방침』 ,1974, 사회 과학출판사
『우리나라 인민 경제에서 생산력과 생산』, 1960, 과학원출판사
『북한의 사회주의 경리본제에 관한 연구』, 1975, 국토 통일원

키워드

북한,   광공업,   구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12.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