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탈락율이 상당히 높은 편으로 수업 연한은 평균 7년이 넘는다. 이들 대학에서는 디플롬(Diplom), 마기스터(Magister), 국가자격시험 과정으로 수료과정이 나누어진다. 수료후에는 박사학위과정을 계속하여 이수할 수 있다. 일부 과정들은 마기스터나 박사과정만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포괄적인 종합대학 유형인 종합단과대학 (Gesamthochschule)이 설립되었다. 이것은 다양한 단과대학 형태들을 한데 포괄하여 연합과정들을 제공한다. 이 대학은 종전의 전문적 직업교육의 편중을 시정하고 학문과 교양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을 새로 도입하여 학문성과 직업성을 조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들 중 몇 개의 대학은 아직도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큰 호응은 받지 못하고 있다. 1368년에 설립된 유서 깊은 대학인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공부하든 1976년에 설립된 베스트팔렌의 하겐대학교에서 공부하든 그에 따른 사회적 위신의 차이는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20세기 말 현재 97개가 넘는 종합대학교와 200개가 넘는 고등교육 기관들이 있다. 17세기에 폐지되었던 문학석사 학위가 부분적으로 부활되기는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석사 학위는 없고 박사 학위만 수여된다.
추천자료
독일, 프랑스식 지방자치제도
독일의 교장임용 및 승진제도
독일과 일본과 우리나라 요양보호제도 문제점 연구
유럽의 사회보장제도(영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미국][감사제도][미국의 감사제도][감사원][영국의 감사제도][독일의 감사제도][일본의 감사...
[교육철학자]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코메니우스와 루터,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
독일의 교원양성 및 교원임용 제도
[요양보호사] 일본, 독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비교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시오
독일 선거제도 개관, 독일 선거제도의 형성과 특징, 선거제도가 미치는 영향, 선거 개혁에 대...
독일(비스마르크 정권)의 사회보험제도 (독일의 사회복지제도), 외국의 복지제도, 선진국 복...
독일 비스마르크 정권시의 사회보험제도 (독일의 사회복지제도, 독일 사회보험제도).pptx
[독일의 지방자치제도(地方自治制度)와 직접민주주의제도(直接民主主義制度)] 독일의 직접민...
독일 선거제도 개관,독일 선거제도의 형성,독일 선거제도의 특징,선거제도가 미치는 영향,선...
독일의 사회복지 발달사(독일 사회복지제도의 발전과정 독일 사회보장제도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