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대음악사(19세기 60년대~1945. 8.15)
(1) 전기
(2) 후기
2. 현대음악사 (1945. 8. 15~현재)
☆ 참고 자료
(1) 전기
(2) 후기
2. 현대음악사 (1945. 8. 15~현재)
☆ 참고 자료
본문내용
혹은 무장르화로 함축될 수 있겠다. 이 부분은 대중성을 기대하기 힘든 부분으로 록 음악같이 저항성이 강한 장르를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가 실험적으로 도전적이기 마련이다. 이에 속하는 이들은 대부분 음악의 창작과 연출을 겸비하는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태지와 아이들', 'NEXT', 강산에, 'CRASH'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임의성이 다분하며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그것은 앞에서도 밝혔듯이 90년대 가요가 정통성 보다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데에서 발생하며, 그 구분에는 신중성을 기하는 것이 주말할 나위도 없다.
90년대위 가용가 10대 위주로 흘러가는 것은 여러 가지 병폐를 낳았다. 그중 두드러진 것은 트로트 음악의 퇴조와 여가수의 희귀성이다. 90년대 초반, 랩과의 접목, 댄스의 시도 등으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시사했던 트로트는 젊은 가수들의 기피와 원로 가수들의 잇다른 은퇴 및 잠적을 원인으로 점차 기울어져 가고 있다. 비록 그 뿌리가 한민족이 아니더라도 이미 우리의 것으로 점차 발전해 왔던 트로트의 퇴조는 그 팬층의 비적극성이 가수의 활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이상 한국근대음악의 변천 과정을 보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수 있는 사실은 시간이 갈수로 근대음악(대중가요)은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그 변화의 속도는 점점 빨라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우리 사회가 그렇게 흐르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 참고 자료
1. 대중화시대의 음악, 이장직 삼호출판사
2. 우리 대중음악 읽기, 이용우 창공사
3. 한국근대음악사, 노동은 한길사
90년대위 가용가 10대 위주로 흘러가는 것은 여러 가지 병폐를 낳았다. 그중 두드러진 것은 트로트 음악의 퇴조와 여가수의 희귀성이다. 90년대 초반, 랩과의 접목, 댄스의 시도 등으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시사했던 트로트는 젊은 가수들의 기피와 원로 가수들의 잇다른 은퇴 및 잠적을 원인으로 점차 기울어져 가고 있다. 비록 그 뿌리가 한민족이 아니더라도 이미 우리의 것으로 점차 발전해 왔던 트로트의 퇴조는 그 팬층의 비적극성이 가수의 활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이상 한국근대음악의 변천 과정을 보였다. 여기서 우리가 알수 있는 사실은 시간이 갈수로 근대음악(대중가요)은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그 변화의 속도는 점점 빨라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우리 사회가 그렇게 흐르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 참고 자료
1. 대중화시대의 음악, 이장직 삼호출판사
2. 우리 대중음악 읽기, 이용우 창공사
3. 한국근대음악사, 노동은 한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