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1.연구목적………………………………………………
2.연구내용………………………………………………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연구범위………………………………………………
2.연구방법………………………………………………
제 2 장 기업하기 좋은 도시 대구 건설 프로젝트
제1절 시정 바침 제 1호 ‘기업하기 좋은 도시’ ……………………
1.대구의 경제현황
2. 간접적인 방법
(1) 기업민원직소창구
(2) 기업담당관제
(3) 기업인의 사기진작
(4)‘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위한 노사정 공동선언문
3. 직접적인 방법
(1) 정책자금지원
(2) 고용 및 교육보조금 지원
(3) 투자유치단
제 3 장 사례연구
제1절 대구시의 콜센타 유치정책……………………………
1. 정책의 내용……………………
2. 정책의 집행 배경…………………
3. 정책의 운영과 평가……………………………………
제2절 타지역과 비교한 ‘콜센터 유치’정책………………………
제3절 제3절 ‘콜센터 유치’가 각광 받는 이유
제 4 장 결론
참고사이트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1.연구목적………………………………………………
2.연구내용………………………………………………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1.연구범위………………………………………………
2.연구방법………………………………………………
제 2 장 기업하기 좋은 도시 대구 건설 프로젝트
제1절 시정 바침 제 1호 ‘기업하기 좋은 도시’ ……………………
1.대구의 경제현황
2. 간접적인 방법
(1) 기업민원직소창구
(2) 기업담당관제
(3) 기업인의 사기진작
(4)‘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위한 노사정 공동선언문
3. 직접적인 방법
(1) 정책자금지원
(2) 고용 및 교육보조금 지원
(3) 투자유치단
제 3 장 사례연구
제1절 대구시의 콜센타 유치정책……………………………
1. 정책의 내용……………………
2. 정책의 집행 배경…………………
3. 정책의 운영과 평가……………………………………
제2절 타지역과 비교한 ‘콜센터 유치’정책………………………
제3절 제3절 ‘콜센터 유치’가 각광 받는 이유
제 4 장 결론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하여 수도권에 집중된 콜센터를 각자의 지역에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콜센터는 수도권이 70%을 점유하고 있지만 앞으로 5년이내에 경비절감을 위한 지방이전이 가속화되어 50%로 떨어질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대구를 제외한 타도시(대전, 광주, 부산)의 콜센터 유치를 알아본다.
● 부산
현재 부산에는 대기업 또는 대형 전문 아웃소싱기업 등 80여개 콜센터에 2만 여명이 근무하고 있어 수도권을 제외하고, 가장 큰 콜센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부산시는 2004년 11월 4일 콜 센터등 기업유치를 위한 민간투자촉진 조례를 개정, 공포하여 시행에 들어갔다. 구체적 내용은 아래와 같다.
→수도권이전 콜센터 건물 이전시, 취득세, 등록세 면제, 재산세, 종합토지세 전액을 5년간은 전액, 이후 3년간은 50% 감면 혜택
(2005년 예산편성에 콜센터 유치를 위한 재정 30억원을 편성하기로 함.)
→콜센터 및 기업유치에 기여한 공무원, 민간인에게 투자금액의 0.5%(최대 5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규정을 만듬
● 대전
국토의 중심부라는 지리적 이점에 의해 콜센터의 새로운 중심도시로 부각 되고 있다.
현재 18개 콜센터에 4500여명이 일하고 있으며, 하나은행 등 9개의 콜센터에서 800여명을 신규채용할 예정이며, 국민은행은 전국 처음으로 콜센터 전용건물을 신축하여 입주하였다.
→인허가 원스톱체제, 기업유치촉진조례제정
→산업용지 분양가 이하 값 공급
● 광주
지난해 (03년) 7개사 1390명에서 올해 20개사 3750명으로 2배 이상의 콜센터 유치를 이루어냈다.
→광주여대의 정원50명의 콜마케팅과를 설치
→전문대는 콜마케팅 과목을 개설, 콜센터 산업 활성화에 산학관이 공동으로 노력
▶‘콜센터 유치’전략을 펴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콜센터 입지현황표
대구
부산
대전
광주
삼성전자 350명
인터파크 50명
KTF 170명
LG 380명
제일은행 262명
삼성생명 270명
CIC코리아 1600여명
우리홈쇼핑
삼성카드 1050명
국민은행 960명
하나은행 360명
CJ 홈쇼핑 260명
LG 카드 230명 등
철도청, 피자헛
삼성ST 400명
삼성전자 350명
스카이라이프280명
SK 120명
한국전력 60명 등
자치단체들은 세제, 보조금 지원은 물론이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조례를 몇 번씩 고치는 등 콜센터 유치에 적극적이다 . 이러한 노력으로 위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는데, 아직 대구는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걸음마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대구는 앞으로 얼마나 기업에게 필요하고,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센티브와 보조 등을 내놓아야만 동북아 콜센터의 허브‘라는 원대한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국내 및 세계의 콜센터 유치 방안에 연구를 통해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을것이다.
제3절 ‘콜센터 유치’가 각광 받는 이유
2004.11.17 전남대 콜센터 연구소에 따르면 전국의 콜센터는 대략 2,000~3000개(상담원 20인 이상), 종사자는 3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콜센터 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자체가 열심인 이유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여성인력의 고용효과가 높다.
여성들이 근무하기에 환경이 적합할 뿐만 아니라 초봉은 70~80만원대 이지만 경력이 쌓일수록 보수가 130~150만원으로 오르는 등 잠재될 수 있는 여성인력의 고용을 창출한다.
둘째, 입지요건이 까다롭지 않고 IT 사업과의 연관성이 높다.
제조업과 같이 소비를 필요로 하는 곳에 가깝게 위치해야한다던지 수출을 염두해 두어야 하는 등의 요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입지요건이 까다롭지 않으며, IT 산업과의 연관성 또한 높다.
셋째, 무공해 산업이다.
다른 산업들이 공장의 가동 등으로 인해 공해를 일으키지만 콜센터는 전혀 공해를 일으키지 않는 무공해 산업이라는 점이 있다.
제 4 장 결론
오랫동안 대구의 산업을 이끌어 왔던 섬유, 기계산업은 국가적 범위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범위에서도 돋보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구는 섬유산업의 발원지이지만 이미 수도권 중심의 패션산업에 밀려 난지 오래이다. 여러 가지 섬유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보화 시대라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문화, 지식산업, IT산업에 매진하기 위해 여러 시책들을 개발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IT 산업은 고용 창출의 효과면이나 투자에 비교해 이익창출이 크며,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으로 인해 미래 산업으로써 많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IT산업은 우리 고장의만이 아닌 국가적인 미래유망산업인 것이다. 하지만 특히 대구의 지리적 위치는 부산, 울산과 같은 항만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따라서 제조업과 같은 물리적 상품을 만들어 내는 산업보다 정보, 지식, 문화와 같은 산업이 적합한 것이다.
IT 산업과 연계가 있는 ‘콜센터 유치’에 대구가 나서고 있다는 것은 미래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매우 긍정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IT산업과 연계가 있는 ‘콜센터’의 유치에 대구시가 나서고 있다는 보도를 접한뒤 주제를 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그 시작이 얼마 되지 않아서 그런지 그 성과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때 매우 미비한 수준이었다.
우리나라의 현재 전국 콜센터 수는 2천 500여개, 전화 안내원 30만명으로 연 매출액이 8조원에 달하는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2위 수준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2007년에는 15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참고사이트
대구신문
대구광역시
대구상공회의소
대구경북연구원
대구지방국세정
대구광역시의회
대구지방노동청
한국 콜센터 산업정보 연구소
http://www.koreatm.co.kr/tmnews/view.html?cat=1&num=848
http://news.media.daum.net/economic/others/200411/29/Edaily/v7821603.html
http://www.ddi.re.kr/pds/datafile/rr200005.pdf
http://www.gitct.or.kr/html/home/GHIN204.jsp
● 부산
현재 부산에는 대기업 또는 대형 전문 아웃소싱기업 등 80여개 콜센터에 2만 여명이 근무하고 있어 수도권을 제외하고, 가장 큰 콜센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부산시는 2004년 11월 4일 콜 센터등 기업유치를 위한 민간투자촉진 조례를 개정, 공포하여 시행에 들어갔다. 구체적 내용은 아래와 같다.
→수도권이전 콜센터 건물 이전시, 취득세, 등록세 면제, 재산세, 종합토지세 전액을 5년간은 전액, 이후 3년간은 50% 감면 혜택
(2005년 예산편성에 콜센터 유치를 위한 재정 30억원을 편성하기로 함.)
→콜센터 및 기업유치에 기여한 공무원, 민간인에게 투자금액의 0.5%(최대 5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규정을 만듬
● 대전
국토의 중심부라는 지리적 이점에 의해 콜센터의 새로운 중심도시로 부각 되고 있다.
현재 18개 콜센터에 4500여명이 일하고 있으며, 하나은행 등 9개의 콜센터에서 800여명을 신규채용할 예정이며, 국민은행은 전국 처음으로 콜센터 전용건물을 신축하여 입주하였다.
→인허가 원스톱체제, 기업유치촉진조례제정
→산업용지 분양가 이하 값 공급
● 광주
지난해 (03년) 7개사 1390명에서 올해 20개사 3750명으로 2배 이상의 콜센터 유치를 이루어냈다.
→광주여대의 정원50명의 콜마케팅과를 설치
→전문대는 콜마케팅 과목을 개설, 콜센터 산업 활성화에 산학관이 공동으로 노력
▶‘콜센터 유치’전략을 펴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콜센터 입지현황표
대구
부산
대전
광주
삼성전자 350명
인터파크 50명
KTF 170명
LG 380명
제일은행 262명
삼성생명 270명
CIC코리아 1600여명
우리홈쇼핑
삼성카드 1050명
국민은행 960명
하나은행 360명
CJ 홈쇼핑 260명
LG 카드 230명 등
철도청, 피자헛
삼성ST 400명
삼성전자 350명
스카이라이프280명
SK 120명
한국전력 60명 등
자치단체들은 세제, 보조금 지원은 물론이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조례를 몇 번씩 고치는 등 콜센터 유치에 적극적이다 . 이러한 노력으로 위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는데, 아직 대구는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걸음마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대구는 앞으로 얼마나 기업에게 필요하고,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센티브와 보조 등을 내놓아야만 동북아 콜센터의 허브‘라는 원대한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국내 및 세계의 콜센터 유치 방안에 연구를 통해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을것이다.
제3절 ‘콜센터 유치’가 각광 받는 이유
2004.11.17 전남대 콜센터 연구소에 따르면 전국의 콜센터는 대략 2,000~3000개(상담원 20인 이상), 종사자는 3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콜센터 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자체가 열심인 이유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여성인력의 고용효과가 높다.
여성들이 근무하기에 환경이 적합할 뿐만 아니라 초봉은 70~80만원대 이지만 경력이 쌓일수록 보수가 130~150만원으로 오르는 등 잠재될 수 있는 여성인력의 고용을 창출한다.
둘째, 입지요건이 까다롭지 않고 IT 사업과의 연관성이 높다.
제조업과 같이 소비를 필요로 하는 곳에 가깝게 위치해야한다던지 수출을 염두해 두어야 하는 등의 요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입지요건이 까다롭지 않으며, IT 산업과의 연관성 또한 높다.
셋째, 무공해 산업이다.
다른 산업들이 공장의 가동 등으로 인해 공해를 일으키지만 콜센터는 전혀 공해를 일으키지 않는 무공해 산업이라는 점이 있다.
제 4 장 결론
오랫동안 대구의 산업을 이끌어 왔던 섬유, 기계산업은 국가적 범위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범위에서도 돋보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구는 섬유산업의 발원지이지만 이미 수도권 중심의 패션산업에 밀려 난지 오래이다. 여러 가지 섬유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보화 시대라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하여 문화, 지식산업, IT산업에 매진하기 위해 여러 시책들을 개발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IT 산업은 고용 창출의 효과면이나 투자에 비교해 이익창출이 크며,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으로 인해 미래 산업으로써 많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IT산업은 우리 고장의만이 아닌 국가적인 미래유망산업인 것이다. 하지만 특히 대구의 지리적 위치는 부산, 울산과 같은 항만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따라서 제조업과 같은 물리적 상품을 만들어 내는 산업보다 정보, 지식, 문화와 같은 산업이 적합한 것이다.
IT 산업과 연계가 있는 ‘콜센터 유치’에 대구가 나서고 있다는 것은 미래 IT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매우 긍정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 중에서도 IT산업과 연계가 있는 ‘콜센터’의 유치에 대구시가 나서고 있다는 보도를 접한뒤 주제를 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그 시작이 얼마 되지 않아서 그런지 그 성과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때 매우 미비한 수준이었다.
우리나라의 현재 전국 콜센터 수는 2천 500여개, 전화 안내원 30만명으로 연 매출액이 8조원에 달하는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2위 수준이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2007년에는 15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참고사이트
대구신문
대구광역시
대구상공회의소
대구경북연구원
대구지방국세정
대구광역시의회
대구지방노동청
한국 콜센터 산업정보 연구소
http://www.koreatm.co.kr/tmnews/view.html?cat=1&num=848
http://news.media.daum.net/economic/others/200411/29/Edaily/v7821603.html
http://www.ddi.re.kr/pds/datafile/rr200005.pdf
http://www.gitct.or.kr/html/home/GHIN204.jsp
추천자료
21세기를 위한 한국경제가 나갈 방향
'대구 전통산업과 첨단산업의 국제화전략고찰'
(증권경제) 외국인 투자가 한국증원시장에 미치는 영향
유럽연합의 형성과 현황 및 그 문제점과 평가에 관한 조사
신항만건설에 따른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파급효과
국내 골프관광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 대명 골프리조트, 나인브릿지 골프리조트...
컨벤션산업과 대구전시컨벤션센터
국내외 의료관광의 현황 및 사례와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의료관광의 현황 및 정책과 나아갈 방향
우리나라 실업현황과 대책 방안
2011년 금융산업 현황
[경제]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분석
중국 경제성장의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논문급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