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레포트-골재의단위용적및중량시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시 험 목 적
[2]시험기구 및 재료
[3]시 험 방 법
[4]시 험 결 과
[5]주 의 사 항
[6]참 고 사 항
[7]고 찰
[8]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함수량 ~측정을~ 위한~ 시료의 ~건조~ 전의 ~중량(kg)}
② 함수량 측정을 하지 않은 경우
골재의 단위 용적중량(kg/㎥), (kg/ℓ)
~=~{용기 ~증의~ 시료의 ~중량(kg)} over {용기의 ~용적( {m }^{3 })}
(2) 보고서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해야 한다.
① 골재의 단위 용적 중량
② 시료의 다짐방법
③ 함수량 측정의 유무
【4】시 험 결 과
(1) 시료로 사용한 골재는 실험실에 있는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원래 각시험방법에 따라 골재의 크기가 다르나 시료의 여건상 크기의 구분이 없이 시험을 하였다.
(2) 용기의 용량 산출
용기의 용량 =
물을 가득담은 용기의 무게 - 용기의 무게
=
17.79kg - 3.26kg
= 0.01453m3
물의 단위중량
1000kg/m3
(3) 함수량 측정은 하지 않았다.
(4) 각 시험 결과는 다음 【표 4-1】와 같다.
【표 4-1】시험 결과표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시험
시 험 일
서기 2001년 9월 20일 목요일
측정실험 및 측정번호
굵 은 골 재
봉다짐시험
지깅시험
삽시험
① 용 기 용 량 (m3)
0.0188
0.0188
0.0188
② (시료+용기)의 중량 (kg)
33.15
31.42
29.15
③ 용 기 중 량 (kg)
2.58
2.58
2.58
④ 시료중량 ②-③ (kg)
30.57
28.84
26.57
⑤ 함수량 측정하지 않는 경우
단위용적중량 ④/① (kg/m3)
1626.06
1534.04
1413.29
⑥ 허 용 차
0.689(0.04%)
11.012(0.7%)
9.635(0.68%)
⑦ 평 균 치
1584.653
1568.479
1408.810
【5】주 의 사 항
(1) 시료는 기건상태로 건조시킨 후 충분히 혼합한다.
(2) 용기에 시료를 채울 때 대소립(大小粒)의 입도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동일시료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행한 시험오차는 1% 이내여야 한다. 시험은 2회 이상 실시한다.
【6】참 고 사 항
(1) 골재의 단위용적중량(unit weight)은 기건상태(air dry condition)에 있어서 1m3당의 중량이다.
(2) 고체의 단위용적중량은 골재에 공극이 없다고 생각했을 때의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을 말한다.
(3) 표준온도 17℃에서 물 1m3의 중량은 0.999t 이다.
(4) 시험에서 골재 단위중량이 골재의 비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나 입형, 입도, 함수량, 다짐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좋은 입도를 가진 혼합골재는
2000kg/ {m }^{3 }
이상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5)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의 대략값은 다음과 같다.
【표 6-1】골재의 단위용적중량(
kg/ { m}^{3 }
)
골재의 종류
다지지 않은 경우
다 진 경 우
모래(건조)
1540-1720
1660-1840
모래(습윤)
1250-1600
1420-1720
굵은 골재(건조 또는 습윤)
5mm부터 20mm까지
1480-1600
1600-1720
5mm부터 40mm까지
1540-1720
1600-1840
5mm부터 80mm까지
1540-1840
1660-1900
5mm부터 150mm까지
1600-1900
1720-2020
20mm부터 40mm까지
1480-1600
1540-1660
40mm부터 80mm까지
1420-1600
1480-1660
80mm부터 150mm까지
1360-1540
1420-1600
모래 및 자갈의 혼합
1780-2080
1900-2200
(6) 봉다짐시험과 지깅시험법은 골재의 빈틈률을 계산할 때 사용하고, 삽을 사용하는 방법은 현장에서 골재의 무게를 체적으로 환산할 때 적용한다.
(7) 봉다짐시험 및 지깅시험은 다졌을 경우이고 삽시험은 다지지 않았을 경우이다.
(8)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빈틈률(실적률:實績率)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표 6-2】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실적률
골재의 종류
단위용적중량(kg/m3)
실적률(%)
보통
골재
잔 골재
1500-1850
53-73
굵은골재
1550-2000
45-70
경량
골재
잔 골재
800-1200
48-72
굵은골재
650-900
50-70
(9)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은 함수량에 따라 크게 변화하여 세립의 것일수록 부풀어짐(bulking)이 크며(함수량 4.6%에서 최대), 또 입도가 거친 것일수록 크게 된다.
【7】고 찰
솔직히 나는 이 실험에 많이 참여하지 못했다. 그래서 이 실험보고서의 내용이 조금 부실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 토목재료실험의 내용들이 처음에는 무척 어려운 줄 만 알았다. 그러나 차근차근 책을 읽고 하나하나 해나간 결과 그리 어렵지도 힘들지도 않은 실험이란 것을 알았다. 우선 물통에 물을 가득채워 온도를 재고 무게를 쟀다. 이유는 물은 액체이기 때문에 어떠한 용기에 담아도 그 모양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용적의 기준이 될수 있다. 온도를 재는 이유는 물도 온도에 따라 단위무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골재크기에 따라 3번 나누어서 실험을 했는데 첫 번째는 최대치수가 50 mm이하인 골재를 골라 실험하고 그 다음으로 최대치수가 50-100 mm사이의 골재를 시험하고 마지막으로 100 m이상의 골재를 시험했다. 당연히 그 결과값은 다 달랐다. 물론 수치상으로는 골재의 크기를 제한했지만 정확히 치수를 확인하지는 못하고 눈대중으로만 보고 실험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었다고는 볼 수없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서는 언제나 배울점이 있는 법. 골재의 단위용적이 작을수록 더 많은 중량이 나간다는 것이다. 이유는 입자가 작으면 작을수록 그만큼 빈공간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를 배합설계시에는 시멘트외에 골재들이 쓰인다. 단지시멘트는 풀역할을 할뿐 실질적인 힘을 받쳐주는 부분은 골재이기 때문에 이 실험은 큰 의미가 있다. 큰골재사이에 시멘트만 채워넣는 것보다는 작은 골재를 사이사이 집어넣게 되면 훨씬더 경제적으로 그리고 보다 더 튼튼하게 설계할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8】참 고 문 헌
박승범, 최신 토목재료실험, 문운당, 1996, P56-P60
문한영, 건설재과학, 동명사, 1996, P325-P32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1.03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1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