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체식 구조
1장 . 콘 크 리 트
1. 콘 크 리 트 정 의
1.1 콘크리트의 특징
1.2 콘크리트 구성재료의 특성과 혼합
1.3 콘크리트 강도
2.콘크리트 재료일반
1.제조법
1.1 소성
1.2 분쇄
2. 화학성분 및 수화반응
2.1 화학성분
2.2 화합물 조성
2.3 수화반응
2.4 수화열
3. 시멘트의 성질
3.1 비중
3.2 분말도
3.3 응결 및 경화
3.4 안정성
3.5 강도
4. 콘크리트 및 시멘트의 발명
5. 시멘트 구조의 발전
2장 경 량 콘 크 리 트 의 발 전 과 전 망
1. 경량콘크리트의 정의와 국내 실정
2. 경량콘크리트의 종류
3. 경량콘크리트의 발전과정
4. 경량 콘크리트의 개발동향 및 전망
5. 경량콘크리트의 전망
3장 특 수 콘 크 리 트
1.AE 큰크리트 (air-entrained concrete)
1.1특징
4장 철 근 콘 크 리 트
1 .철근콘트리트의 정의
1.1특징
1.2 철근 콘크리트의 역사.
2. 기본개념
2.1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작용
2.2 철근 콘크리트 성립의 이유
2.3 철근 콘크리트의 장점과 단점
2.3.1 철근 콘크리트의 장점
2.3.2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 및 보안점
5장 . 프 리 스 트 레 스 트 콘 크 리 트
1.2 프리스트레싱 방법
1.2.1 프리텐션 방식
1.2.2 포스트텐션 방식
6 장 철 골 철 근 콘 크 리 트 구 조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개요
1.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장단점
1장 . 콘 크 리 트
1. 콘 크 리 트 정 의
1.1 콘크리트의 특징
1.2 콘크리트 구성재료의 특성과 혼합
1.3 콘크리트 강도
2.콘크리트 재료일반
1.제조법
1.1 소성
1.2 분쇄
2. 화학성분 및 수화반응
2.1 화학성분
2.2 화합물 조성
2.3 수화반응
2.4 수화열
3. 시멘트의 성질
3.1 비중
3.2 분말도
3.3 응결 및 경화
3.4 안정성
3.5 강도
4. 콘크리트 및 시멘트의 발명
5. 시멘트 구조의 발전
2장 경 량 콘 크 리 트 의 발 전 과 전 망
1. 경량콘크리트의 정의와 국내 실정
2. 경량콘크리트의 종류
3. 경량콘크리트의 발전과정
4. 경량 콘크리트의 개발동향 및 전망
5. 경량콘크리트의 전망
3장 특 수 콘 크 리 트
1.AE 큰크리트 (air-entrained concrete)
1.1특징
4장 철 근 콘 크 리 트
1 .철근콘트리트의 정의
1.1특징
1.2 철근 콘크리트의 역사.
2. 기본개념
2.1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작용
2.2 철근 콘크리트 성립의 이유
2.3 철근 콘크리트의 장점과 단점
2.3.1 철근 콘크리트의 장점
2.3.2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 및 보안점
5장 . 프 리 스 트 레 스 트 콘 크 리 트
1.2 프리스트레싱 방법
1.2.1 프리텐션 방식
1.2.2 포스트텐션 방식
6 장 철 골 철 근 콘 크 리 트 구 조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개요
1.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장단점
본문내용
조방법이다.
긴장재를 직선배치, 긴장재를 절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여러 개의 거푸집을 인장대로 직렬로 배치하고,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으로서,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여러 개의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롱라인 방식(long-line method)이라고 하며, 연속식이라고도 한다. 거푸집 자체를 인장대로 하고 긴장재의 반력은 거푸집이 받게 하여 PSC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을 단일몰드 방식(individual mold method) 또는 단독식이라고 하며,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1개의 부재밖에 만들지 못한다.
프리텐션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① 일반적으로 설비가 좋은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② 동일한 형상과 치수의 프리캐스트 부재(precast member)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③ 쉬스(sheath), 정착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
프리텐션 방식의 결점은 다음과 같다.
①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하기가 어려워서 대형부재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② 부재의 단부(정착구역)에는 소정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에 주의를 요한다
1.2.2 포스트텐션 방식
이 방식은 콘크리가 경화한 후에 PS강재를 긴장하여 그 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에서는 PS 강재를 인장할 때 PS 강재와 콘크리트가 부착해 있으면 안 되므로, 그림 (a)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 속에 긴장재를 배치할 구멍을 미리 뚫어 놓아야 한다. 이 구멍을 덕트(duct)라고 하며, 이 속에 배치된 PS 강재는 자유로워야 한다.
콘크리트 부재 속에 덕트를 만들기 위하여 보통은 쉬스(sheath)를 사용한다. 쉬스는 보통 얇은 강판으로 만든 파상의 관이 사용된다.
그림은 포스트텐션 방식을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즉, 그림 (a)와 같이 단단하고 평활한 바닥 위에 거푸집을 조립하고, 그 안의 소정 위치에 쉬스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친다.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달하면 쉬스 안에 배치된 긴장재 끝에 잭(jack)을 부착하고, 소정의 인장력으로 긴장재를 인장한다. 인장작업(jacking)이 끝나면 긴장재를 정착장치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시킨다.
다음에 PS 강재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또 PS 강재와 콘크리트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시멘트풀(cement paste) 등으로 그라우팅(grouting)을 실시한다. 이렇게 만든 부재를 부착시킨 포스트텐션 부재(post-tensioned bonded member)라고 한다.
그림 (b)는 중간 칸막이(intermediate diaphragm)를 가지는 속이 빈 콘크리트 보(hollow cellular concrete beam)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c)는 두께가 얇은 연속 슬래브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두게가 비교적 얇은 슬래브에는 피복된 PS 강재 또는 플라스틱 쉬스(palstic sheath) 속에 넣은 PS 강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긴장재를 사용하면 그라우팅이 필요하지 않다. 이렇게 제조된 부재를 부착시키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post-tensioned unbonded member)라고 한다.
포스트텐션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PS 강재를 곡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다.
② 콘크리트 부재를 받침으로 하여 PS 강재를 인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쉽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즉, 인장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③ 프리캐스트 PSC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된다.
④ 부착시키지 않은 PSC 부재는그라우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PS 강재의 재긴장도 가능하다.
⑤ 부착시키지 않은 PSC 부재는 부착시킨 PSC 부재에 비하여 파괴강도가 낮고 균열폭이 커지는 등 역학적 성능이 떨어진다.
6 장 철 골 철 근 콘 크 리 트 구 조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개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골 둘레에 철근을 배치한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가 된 구조이며,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고층건축의 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구조를 SRC구조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기둥이 SRC조이고, 보가 순S조이거나, 건물의 상부가 S조이고 저층부가 SRC조인 것등 동일한 건축물에 두종류 이상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는 모두 혼합시스템에 속한다. 여기서는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기둥만 SRC조를 적용하므로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라기 보다는 혼합식 구조라고 해야 더 정확한 표현이다.
1.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장단점
SRC구조는 S구조의 특성과 RC구조의 특성을 겸해 갖추어 있으며, 보통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1) 장점
가) 인성이 크므로 내진적으로 우수하다.
RC구조는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나 압축파괴 때문에 취성파괴가 생기지만 철골의 존재에 의하여 인성이 보충된다.
나) 동일 단면속에 많은양의 강재를 무리없이 거둬들일수가 있다.
초고층건축의 아래층의 기둥부재에는 축방향력이 크게되며, 이것을 RC구조로 한 경우 내력에 여유를 가지게 하고 또 변형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단면을 지나치게 크게 하여야 한다. 이것에 대하여 SRC구조로 하면 단면을 크게 하지 않고 내력과 변형능력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가 있다.
다) 시공시 철골만으로 큰 연직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할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역타설 공법이 가능하다.
라) 내화피복제인 콘크리트가 구조재도 겸하므로 경제적이다.
마) 강성이 크므로 작용외력에 의한 변형이 적다.
보통때의 바람이나 중소지진에 의한 가구의 수평처짐등을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뛰어난 거주성이 얻어진다.
바) 철골의 좌굴을 콘크리트에 의해 방지할수 있다.
판요소의 국부좌굴, 현재나 래티스재의 휨좌굴, 보의 횡좌굴 등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구조의 세부설계가 적절하면 변형능력이 큰 구조를 얻을수 있다.
사) 감쇠성이 크다.
2) 단점
가) 철골과 철근이 공존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이 다소 곤란하다.
나) S부분의 단가가 높으므로 건설비가 높게 된다.
다) 시공이 복잡하다.
라) 자중이 크다.
지반이 나쁜곳에서는 말뚝 비용이 높아진다.
긴장재를 직선배치, 긴장재를 절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여러 개의 거푸집을 인장대로 직렬로 배치하고,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으로서,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여러 개의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롱라인 방식(long-line method)이라고 하며, 연속식이라고도 한다. 거푸집 자체를 인장대로 하고 긴장재의 반력은 거푸집이 받게 하여 PSC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을 단일몰드 방식(individual mold method) 또는 단독식이라고 하며, 1회의 프리스트레싱으로 1개의 부재밖에 만들지 못한다.
프리텐션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① 일반적으로 설비가 좋은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② 동일한 형상과 치수의 프리캐스트 부재(precast member)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③ 쉬스(sheath), 정착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
프리텐션 방식의 결점은 다음과 같다.
① 긴장재를 곡선으로 배치하기가 어려워서 대형부재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② 부재의 단부(정착구역)에는 소정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에 주의를 요한다
1.2.2 포스트텐션 방식
이 방식은 콘크리가 경화한 후에 PS강재를 긴장하여 그 끝을 콘크리트에 정착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에서는 PS 강재를 인장할 때 PS 강재와 콘크리트가 부착해 있으면 안 되므로, 그림 (a)와 같이 콘크리트 부재 속에 긴장재를 배치할 구멍을 미리 뚫어 놓아야 한다. 이 구멍을 덕트(duct)라고 하며, 이 속에 배치된 PS 강재는 자유로워야 한다.
콘크리트 부재 속에 덕트를 만들기 위하여 보통은 쉬스(sheath)를 사용한다. 쉬스는 보통 얇은 강판으로 만든 파상의 관이 사용된다.
그림은 포스트텐션 방식을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즉, 그림 (a)와 같이 단단하고 평활한 바닥 위에 거푸집을 조립하고, 그 안의 소정 위치에 쉬스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친다.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달하면 쉬스 안에 배치된 긴장재 끝에 잭(jack)을 부착하고, 소정의 인장력으로 긴장재를 인장한다. 인장작업(jacking)이 끝나면 긴장재를 정착장치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정착시킨다.
다음에 PS 강재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또 PS 강재와 콘크리트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시멘트풀(cement paste) 등으로 그라우팅(grouting)을 실시한다. 이렇게 만든 부재를 부착시킨 포스트텐션 부재(post-tensioned bonded member)라고 한다.
그림 (b)는 중간 칸막이(intermediate diaphragm)를 가지는 속이 빈 콘크리트 보(hollow cellular concrete beam)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c)는 두께가 얇은 연속 슬래브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두게가 비교적 얇은 슬래브에는 피복된 PS 강재 또는 플라스틱 쉬스(palstic sheath) 속에 넣은 PS 강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긴장재를 사용하면 그라우팅이 필요하지 않다. 이렇게 제조된 부재를 부착시키지 않은 포스트텐션 부재(post-tensioned unbonded member)라고 한다.
포스트텐션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PS 강재를 곡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다.
② 콘크리트 부재를 받침으로 하여 PS 강재를 인장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쉽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즉, 인장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③ 프리캐스트 PSC 부재의 결합과 조립에 편리하게 이용된다.
④ 부착시키지 않은 PSC 부재는그라우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PS 강재의 재긴장도 가능하다.
⑤ 부착시키지 않은 PSC 부재는 부착시킨 PSC 부재에 비하여 파괴강도가 낮고 균열폭이 커지는 등 역학적 성능이 떨어진다.
6 장 철 골 철 근 콘 크 리 트 구 조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개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철골 둘레에 철근을 배치한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가 된 구조이며,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고층건축의 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구조를 SRC구조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기둥이 SRC조이고, 보가 순S조이거나, 건물의 상부가 S조이고 저층부가 SRC조인 것등 동일한 건축물에 두종류 이상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는 모두 혼합시스템에 속한다. 여기서는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기둥만 SRC조를 적용하므로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라기 보다는 혼합식 구조라고 해야 더 정확한 표현이다.
1.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장단점
SRC구조는 S구조의 특성과 RC구조의 특성을 겸해 갖추어 있으며, 보통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1) 장점
가) 인성이 크므로 내진적으로 우수하다.
RC구조는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나 압축파괴 때문에 취성파괴가 생기지만 철골의 존재에 의하여 인성이 보충된다.
나) 동일 단면속에 많은양의 강재를 무리없이 거둬들일수가 있다.
초고층건축의 아래층의 기둥부재에는 축방향력이 크게되며, 이것을 RC구조로 한 경우 내력에 여유를 가지게 하고 또 변형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단면을 지나치게 크게 하여야 한다. 이것에 대하여 SRC구조로 하면 단면을 크게 하지 않고 내력과 변형능력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가 있다.
다) 시공시 철골만으로 큰 연직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할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역타설 공법이 가능하다.
라) 내화피복제인 콘크리트가 구조재도 겸하므로 경제적이다.
마) 강성이 크므로 작용외력에 의한 변형이 적다.
보통때의 바람이나 중소지진에 의한 가구의 수평처짐등을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뛰어난 거주성이 얻어진다.
바) 철골의 좌굴을 콘크리트에 의해 방지할수 있다.
판요소의 국부좌굴, 현재나 래티스재의 휨좌굴, 보의 횡좌굴 등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구조의 세부설계가 적절하면 변형능력이 큰 구조를 얻을수 있다.
사) 감쇠성이 크다.
2) 단점
가) 철골과 철근이 공존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이 다소 곤란하다.
나) S부분의 단가가 높으므로 건설비가 높게 된다.
다) 시공이 복잡하다.
라) 자중이 크다.
지반이 나쁜곳에서는 말뚝 비용이 높아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