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환자의 재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절염 환자의 재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관절의 구조
2. 류마티스 질환을 시사하는 증상들
3. 류마티스 혹은 관절염의 종류
1) 퇴행성 관절염
2) 류마티스 관절염
3) 강직성 척추염을 비롯한 척추관절염
4) 루푸스
5) 통풍성 관절염
4. 관절염환자의 재활
5. 관절염 환자의 재활중재 프로그램
6. 질병의 단계에 따른 재활

Ⅲ. 결 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마찬가지로 증상이 없더라도 꾸준히 사용하여야 한다.
4. 관절염환자의 재활
관절염은 원인에 따라 종류가 100여 종으로 다양하며 관절의 염증으로 인한 증후군이다. 관절염춰자의 원인을 나눠보면 특정 감염에 의한 관절염, 류머티스성 열로 인한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및 류머티스성 척추염, 직접적 외상으로 인한 관절염, 통풍성관절염, 퇴행성 관절질환, 비관절성 류머티즘 등이 있다. 이들 환자 중 류머티스성 관절염은 30~40%, 퇴행성 관절질환이 25~30% 비관절성 류머티즘이 10~20를 차지하여 전체 관절염 환자의 2/3를 차지한다.
관절염의 대표적인 질환은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이며 아급성. 만성의 3단계를 거치며 치료받게 된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은 진행의 정도에 따라 이 세 단계 중 한 단계가 될 수 있고, 골관절염도 만성기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만성단계와 유사하므로 이에 적용하는 운도을 유사하게 처방한다. 관절이 외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면 급성ㄱ와 유사하게 치료한다. 특정한 감염성 관절염은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 외에 급성의 경우와 유사하게 치료하나, 염증이 조절된 후 기단계에는 만성상태의 치료와 유사하다.
1) 재활프로그램의 목적
대상자의 기능적 독립과 더 이상의 구조적 손상을 방지하여 정상생활에 복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슬관절의 굴곡구축이 있을 때 슬관절의 신전운동과 대퇴 사두근의 근력증진 운동, 등(back)근육의 신장운동, 복근 근력증진 운동에 병행해서 침대에서 일어나 앉기, 바지 입을 때 복근 근력증진, 척추의 굴곡성 증가 등이 포함된다.
처음 초기에 대상자가 치료이행의 의욕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기에 잘 조절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2) 재활프로그램의 내용
재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조기구의 사용법교육, 작업요법, 운동치료, 일상생활동작 기능훈련, 자조기구 사용훈련, 정신과의 보조, 작업에대한 적성검사 및 상담, 직업 재훈련이 필요하다. 성공적 재활의 관련요인은 류머티스 내과에서 약물요법을 통한 질병의조절, 관절의 파괴 정도, 대상자의 정신상태, 기능훈련, 변형의 외과적 교정, 자조기구의 사용, 직업 등 사회 경제적 수준이다.
5. 관절염 환자의 재활중재 프로그램
대상자 상태에 따른 재활프로그램을 갖고 약물치료와 함께 조기에 시행해야 기능의 유지 및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1)안정 : 관절의 안정을 위해 체중부하를 방지하는 침상안정을 취하게 한다. 하루 여러차례 고관절, 슬관절의 굴곡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복와위를 권한다. 하루 2-24시간까지 안정시간을 갖도록 한다.
(2)운동 : 통증으로 관절을 쓰지 않으면 관절의 근육, 인대가 약해져 변형과 불편이 더 심히 야기 되므로 관절범위 운동, 근력증진운동, 지구력증진 운동을 실시한다. 능동적 저항운동을 통해 근력을 가장 잘 증진할 수 있다. ①수동적ROM운동-심한 근허약이 있을 때 시행한다. 급성 염증관절과 관절에 삼출액이 있을 때는 시행하지 않는다. ②근력증진 운동-구축방지와 ROM 유지 및 증진 목적으로 시행하되 급성 염증이나 기능장애 관절에는 피한다. 치료 전에 온냉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③지구력 운동-염증과 빔증이 완화된 후 시행하는 것으로 저반복, 저저항의 등장성 운동이다. 실제 오락을 겸한 수영, 자전거 타기, 정원일, 뜨개질 등이 있다. ④오락요법-도자기 색칠하기, 퍼즐, 수영, 조깅, 보행, 탁구, 골프, 볼링 등이 있다.
(3)보조기 : 관절에 체중부하를 막고 관절을 안정시키며 관절운동을 감소하여 관절의 기능적 자세를 최대로 보존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상지에는 손목과 손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그 종류에는 resting splint, functional wrist splint, thumb post splint, ring splint, dynamic splint가 있다. 하지에는 발과 족관절에 가장 많이 쓰인다. 발과 족관절을 위해 신발을 교정하는데 발뒤꿈치 보조대, 신발내부 부속품인 soft orthotic insert, 발가락을 편하게 하는 wide toe box, rocker bottom shoe, 외부 bar가 쓰인다. 무릎은 내외측이나 회전의 불안정을 통제하는 보조기orthotic로 knee cage가 쓰인다. 척추에는 연성 경부 collar, Philadelphia collar, 요천추 corset이 이용된다.
(4)보장구 : 보행 보장구는 지팡이, 보행기, 전완crutch, platform cruthch, wheelchair를 사용한다. 이동을 위한 보조물은 의자, 상, 변기의 높이를 높이고, 문을 열 때는 손잡이를 길게 하여 사용한다.
(5)자기관리 : 옷은 단추 대신 velcro를 사용하고 주름지지 않는 가벼운 천을 이용한 단순한 디자인이 좋다. 무거운 솜이불 대신 오리털 이불 이용, 무거운 외투 대신 가벼운 질감이용도 고려해야 한다. 근육강도와 관절의 운동범위를 유지하며 관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예를 들어 손가락이 척골쪽으로 기울어져 변형되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병뚜껑을 열 때 오른손을 이용해 요골쪽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닫을 때는 왼손으로 닫게 한다. 즉 항상 모지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일한다. 또 손가락보다는 손바닥을 이용한다.
(6)온냉요법 : 표재성 열은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절 강직을 감소시키고 근방추를 이완시킨다. soddy법은 활액낭내 교질의 작용을 억제하며, 통증을 완화시키고, 부종을 내리며, 주위의 강직된 근육을 이완시킨다.
(7)식이요법 : 체중의 부하를 받는 관절은 체중이 증가될 때 부담이 커져 더 쉽고 빠르게 관절의 변형이 초래되므로 과체중이나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일부 대상자에서 allergy를 보이는 음식을 제한할 경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많은 경우 빈혈이 발견되나 철분보충은 철분 결핍성 빈혈임을 확인하고 투여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관절에 증상을 진행시킨다.
(8)약물치료법과 수술 : 관절염을 위한 약물요법으로는 salicylate등 비스테로이드 제제와 corticosteroid를 사용한다. 그리고 phenylbutazone, indomethacin, gold salt, 쵸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1.12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