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의 사상과 의식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인의 사상과 의식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의 사상
(1) 儒家의 자연관
(2) 墨家의 논리학
(3) 道家의 자연관
(4) 名家의 논리적 전통
(5) 陰陽五行家의 연상적 사고

2. 중국인의 의식구조
(1) 중화사상(中華思想)
(2) 문화적 우월주의
(3) 규율이나 법 개념
(4) 現實主義와 實用主義
(5) 전통적으로 體面과 關係를 중시
(6) 四M(沒法子, 沒有關係, 沒有, 明天再來)의 중국인
(7) '慢慢的'의 느긋함
(8) 외국인은 봉
(9) 종교관
(10) 가족제도
(11) 상관습

본문내용

진의 만리장성, 한의 서역길(실크로드) 개척. 서역길은 한무제때 장건에 의해 개척되었다. 당시는 흉노 의 침입을 막기 위해 월지국과 동맹을 맺기 위해 장건을 파견했으나, 흉노에 의해 장건이 포로가 되고 17년간의 탈출을 시도해 성공한 장건의 이야기를 들은 한무제가 개척하여, 당의 세계 제국이 그것이다. 특히, 한과 당은 세계적인 대제국으로서 한의 서역길 개척으로 동·서의 교역이 처음으로 이루어 져 로마의 사신을 받아들였고, 당의 장안은 당시 이미 백만을 넘어서는 세계 최대의 도시였으며, 종교 또한 국제적인 제국답게 다양한 종교. 네스토리우스교, 기독교, 불교, 라마교, 조로아스트교 등 거의 모든 종교가 유포되었다. 그들은 예교가 없는 이민족을 성인의 도에서 벗어난 금수로 취급했다. 그래서, 중국의 천자가 모든 이민족을 덕 화(德化)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2) 문화적 우월주의
宴會 개최시 중국인은 \'연회를 베푸니 참석하십시오\'라고 주인 중심의 표현을하고 우리나라 사람은 \'오셔서 자리를 빛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라고 상대방 중심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서 우월주의 사상을 갖고 있다. 물건을 팔 때 우리는 \'賣買\', 중국은 \'마이마이(買賣)\'로 내가 필요한 물건을 산 연후에 남이 필요로 하는 물건을 팔겠다는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갖고 있다.
상점에서 물건을 파는 종업원의 자세를 보면 \'물건을 팔아 준다\'는 의식이 강하고 상대(고객)가 \'물건을 사준다\'는 의식은 거의 없으며, 감사표시를 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이 특징이다. 즉 자기 것은 소중하게 여기지만 남의 것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강하다.
(3) 규율이나 법 개념
\'法治\'보다는 \'德治\'나 \'人治\'가 중시되며, 대부분의 문제는 법대로 하기보다는 당사자끼리 해결하거나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제3자의 개입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크다. 지방정부, 특히 하급단위는 내부에서 자체 해결하며, 法\'보다는 \'按關係\' 중시함다.
음식 문화에서 식사 초대는 최고의 호의이므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으며, 초대에 참석시 주인과 안내의 인도에 따르는 것이 예의이다. 초대 시에는 반드시 주인에게 감사 표시를 해야 한다. 우리나라와 많이 다른 부분의 하나가 음주 문화와 흡연에 관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첨잔하는 관습이 있어 그만 마시고 싶을 경우에는 잔을 엎어 놓던지 의사를 명확히 하는 것이 좋으며, 잔을 돌리는 습관은 없다. 술에 취한다는 것은 곧 이미지의 실추로 인식된다. 담배는 중요한 사교의 수단이며 초면에도 자연스레 담배를 권하며 이야기를 나누므로 비흡연자라도 예의상 상대방이 권하는 담배는 받는 것이 좋다. 이처럼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담배는 서로의 대화와 인사의 매개물로 간주하며, 담배를 돌려 피움 으로써 공유감과 소속감을 느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4) 現實主義와 實用主義
실용성과 현실성 중시태도는 유가사상의 영향과 의심 많은 중국인의 뿌리 깊은 불신감에서 비롯되어 중국인을 외모나 명함에 쓰여진 직함이나 직책으로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현명하지도 않은 방법이다. \'衣食住\'와 \'食衣住\'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중국인은 衣와 住보다는 食을 중시하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고, 겉보다는 실속을 바깥보다는 안을 중시하는 의식을 갖고 있다.
(5) 전통적으로 體面과 關係를 중시
給面子와 不給面子에 지나칠 정도로 민감해 이를 목숨보다 중히 여기는 경우도 있다. 중국인의 체면은 단순한 자존심에 관한 문제라기보다 위신과 존엄에 관한 문제로 인식하여 차별을 해서는 안된다. 통상적으로 외국인은 무엇이 중국인의 체면을 손상했는지는 알 수 있으나 어떻게 하는 것이 체면을 세워 주는 것인지는 알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키워드

  • 가격3,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1.12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