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전등사 답사 기행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화도 전등사 답사 기행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강화도 전등사 초입(初入)까지

Ⅱ. 전등사, 그 속에 깃든 의미
1. 전등사
2. 대웅보전
3. 범종
4. 전등사 대조루(傳燈寺 對潮樓)
5. 전등사 약사전

Ⅲ. 전등사를 떠나며

본문내용

던 내사고와 왜사고의 소실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전주사고의 전주사고본을 강화로 옮겨 작업을 완료하고 보관하던 정족산 사고, 스님들의 도량을 갈고 닦는 수도도량 등을 돌아보고 산을 내려왔을 때 그 흡족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전등사를 답사지로 결정하고 나서 <사찰, 그 속에 깃든 의미> 라는 책을 읽었는데 책의 탑에 관한 본문 내용중에 이런 말이 나온다.「일반인의 상식으로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용어들인 우리 문화재의 명칭이 조상들의 얼이 담긴 문화재로부터 우리들을 멀어지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의 하나가 된다. 우리의 상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조상의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지름길이 된다.」나 역시 저자의 생각처럼 꼭 한자로 표현해야만 의미를 알수 없는 그런 용어를 제외한 것 외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칭으로 바꾸어 폭 넓은 층이 조상의 문화유산을 공유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해야한다는 뜻에 동참하고 싶다. 특히 우리 나라는 불교가 종교이기 전에 일상 생활로서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 남긴 문화유산들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토속신앙과의 융합도 잘 해온 오랜 전통이 빛나는 하나의 역사이다.
마지막으로 아쉬운 것은 날이 갈수록 훼손, 혹은 보관의 미명하에 덧붙여지는 문화재 파손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커다란 안타까움을 남게 한다.
여행이란 그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늘 새로움과 풍부한 경험을 주는 것 같다.비록 답사를 위해서였지만 오랜만에 서울을 떠나보는 나에게 강화도와 전등사는 쉽게 잊혀지지 않는 기억을 안겨주었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다시 강화도를 찾고 싶다. 그때는 따뜻한 바람이 불었으면...

키워드

전등사,   강화도,   사찰,   불교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1.1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