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양천
1.안양천의 역사적, 시간적 특성
2.안양천의 물리적, 공간적 특성
3.안양천을 위협하는 문제
4.환경친화적인 안양천 정비 및 관리
5.안양천을 살리기 위한 활동과 성과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
*도림천
*양재천
*청계천
*발표준비와 과정
*우리 조의 문제의식
*동태적 모델
*정태적 모델
*지역성
*지역이 갖는 문제들
*조사 및 발표소감
1.안양천의 역사적, 시간적 특성
2.안양천의 물리적, 공간적 특성
3.안양천을 위협하는 문제
4.환경친화적인 안양천 정비 및 관리
5.안양천을 살리기 위한 활동과 성과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
*도림천
*양재천
*청계천
*발표준비와 과정
*우리 조의 문제의식
*동태적 모델
*정태적 모델
*지역성
*지역이 갖는 문제들
*조사 및 발표소감
본문내용
7.66
2.9
3.4
7.56
7.6
5.0
6.86
9.3
8.4
7.35
2.9
3.5
7.03
7.1
19.0
7.35
2.9
5.0
양재천(2)
광창보
(효자각부근)
PH
BOD
SS
7.26
8.2
11.3
7.39
7.5
11.4
7.29
9.3
7.2
6.61
10.6
4.9
7.74
4.9
10.5
7.27
9.4
9.5
7.25
7.7
24.0
7.22
4.7
5.0
양재천(3)
주암교
(시 경계지역)
PH
BOD
SS
7.21
8.2
12.7
7.43
6.8
15.3
7.31
10.1
8.0
6.76
8.3
8.1
7.40
6.4
17.5
7.08
10.3
9.0
7.25
7.0
18.0
7.08
7.0
4.5
≪이 측정소의 계는 한강,위치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27-1입니다.≫
【측정개시 년 : 1992년부터】
구분
수온(℃)
PH
DO(㎎/l)
BOD(㎎/l)
COD(㎎/l)
SS(㎎/l)
T-N(㎎/l)
T-P(㎎/l)
1992년
14.5
7.5
8.5
16.0
13.3
24.5
8.748
0.426
1993년
16.0
7.8
8.9
16.7
8.7
12.7
10.875
20.448
1994년
16.9
7.8
11.3
15.5
12.7
16.0
9.459
0.178
1995년
13.6
7.8
10.5
8.7
8.5
9.0
10.869
0.457
1996년
15.0
7.3
9.2
11.2
8.6
10.8
11.357
0.528
1997년
14.96
7.6
9.9
6.7
9.7
9.4
12.152
0.571
1998년
14.2
7.4
9.1
7.1
8.8
7.8
10.072
0.426
1999년
14.5
7.9
11.0
5.3
7.7
11.3
10.714
0.595
2000년
14.5
7.6
9.7
9.2
7.4
6.2
12.860
0.697
2001년
15.3
7.8
9.9
7.9
7.1
8.6
12.862
0.766
【측정개시 년 : 2001년 측정수치】
구분
수온(℃)
PH
DO(㎎/l)
BOD(㎎/l)
COD(㎎/l)
SS(㎎/l)
T-N(㎎/l)
T-P(㎎/l)
1월
/
7.0
14.6
1.8
2.3
2.0
18.624
0.610
2월
1.0
7.7
14.7
6.8
12.1
2.8
19.824
0.912
3월
10.0
7.9
13.8
12.0
7.4
7.2
14.784
0.989
4월
17.0
8.0
6.8
18.1
9.3
17.5
15.936
0.955
5월
21.0
8.0
9.9
7.6
10.5
13.0
14.016
0.806
6월
22.0
7.9
6.4
9.0
8.4
13.5
14.880
0.830
7월
26.0
7.6
4.2
3.8
3.0
17.0
2.928
0.139
8월
25.0
8.2
5.0
5.1
5.5
13.0
4.896
0.437
9월
23.0
7.9
7.9
11.5
7.4
5.2
9.600
0.734
10월
16.0
8.1
11.1
4.5
5.6
2.8
11.976
0.552
11월
15.0
8.2
12.6
7.1
5.7
5.2
12.504
0.922
12월
8.0
6.8
11.7
7.1
7.5
4.4
14.376
1.310
2. 하천의 역사적, 시간적 특성
양재천의 이름은 어질고 재주있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하여 불리워진 것이며, 하천을 끼고 있는 양재동도 같은 연유에서 붙여진 것이다. 그리고 이곳은 조선시대 교통의 중심지로 양재역(良才驛)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이고 휴식을 취한 후 먼 길을 떠난다 하여 말죽거리라는 지명이 붙었는데 오늘날도 그 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양재동 옆에 있는 구룡산은 해발 283m로서 양재천과 관련된 설화를 가지고 있다. 즉 이곳에는 용 10마리가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하늘로 승천하다가 그 중 한 마리가 임신한 여자를 보고 놀라서 양재천에 떨어져 죽고 나머지 9마리만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산 이름이 구룡산이 되었다 한다. 양재천 하류의 개포동 일대는 개발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갯벌지대 였다. 즉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한여울이라 불렀으며, 한자어로 반곡동(盤谷洞)이라 하였다. 한강이 이곳에 이르러 여울이 세게 되었으므로 한여울이라 하고 마을이 갯바닥에 있으므로 그 뜻을 따서 소반 같이 생긴 포구가 있다 하여 한자어로 반곡이라 하였던 것이다.
이곳에서는 1947년 이병도(李丙燾)에 의해 4개의 남방식 지석묘가 있었음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후 도시개발과 함께 문화유적이 파괴되어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
[양재천의 더 자세한 문화유적과 명승지]
(1) 양재역(良才驛)
조선시대에는 전국의 교통로마다 적재적소에 역(驛)과 원(院)을 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역에는 말을 기르면서 중앙에서 지방으로 혹은 지방에서 중앙으로 위급한 전달사항의 임무를 띄고 달리는 자에게 말을 바꾸어 주었으며, 원은 숙소를 제공하여 주었다. 이들 역참(驛站)은 병조가 직접 관할하였으며, 숭례문(남대문) 밖 3리에 있는 청파역(靑坡驛)과 흥인문(동대문) 밖 4리에 있는 노원역(蘆原驛)이 가장 대표적인 역이었다. 청파역은 주로 남쪽으로 가는 파발(擺撥)의 출발점이었고, 노원역은 주로 북쪽으로 가는 파발의 출발점이었다.
양재역은 경안역덕풍역봉안역돌마역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전국의 역수(驛數)는 시대에 따라 다소 변동되었지만 조선 말기까지 대체적으로 530~540개 정도가 존재했었다. 여러 개의 역을 동시에 관할하는 임무를 담당한 찰방도(察訪道)에는 종6품의 역승(驛丞)을 두었는데 전국에 40여개가 있었다. 양재역도 찰방도로서 종6품의 찰방이 배치되어 서울 이남의 경기도 일대 역을 관할하였다. 그리고 서울의 청파역과 노원역에서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파발이 각각 남북으로 출발하는데 전국 각 역에서 종사하는 인원은 대체적으로 13만 2천명 내외였고, 말은 대략 5,000여필이었다. 본래 역에는 역장역리역졸을 두어 역의 관리와 공공의 일을 담당하게 하였다.
명종 때는 양재역에서 벽서사건(壁書事件)이 발생하여 사화(士禍)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명종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양재역에 나붙은 벽서에 위에는 여왕이 집정하고 간신 이기(李
2.9
3.4
7.56
7.6
5.0
6.86
9.3
8.4
7.35
2.9
3.5
7.03
7.1
19.0
7.35
2.9
5.0
양재천(2)
광창보
(효자각부근)
PH
BOD
SS
7.26
8.2
11.3
7.39
7.5
11.4
7.29
9.3
7.2
6.61
10.6
4.9
7.74
4.9
10.5
7.27
9.4
9.5
7.25
7.7
24.0
7.22
4.7
5.0
양재천(3)
주암교
(시 경계지역)
PH
BOD
SS
7.21
8.2
12.7
7.43
6.8
15.3
7.31
10.1
8.0
6.76
8.3
8.1
7.40
6.4
17.5
7.08
10.3
9.0
7.25
7.0
18.0
7.08
7.0
4.5
≪이 측정소의 계는 한강,위치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27-1입니다.≫
【측정개시 년 : 1992년부터】
구분
수온(℃)
PH
DO(㎎/l)
BOD(㎎/l)
COD(㎎/l)
SS(㎎/l)
T-N(㎎/l)
T-P(㎎/l)
1992년
14.5
7.5
8.5
16.0
13.3
24.5
8.748
0.426
1993년
16.0
7.8
8.9
16.7
8.7
12.7
10.875
20.448
1994년
16.9
7.8
11.3
15.5
12.7
16.0
9.459
0.178
1995년
13.6
7.8
10.5
8.7
8.5
9.0
10.869
0.457
1996년
15.0
7.3
9.2
11.2
8.6
10.8
11.357
0.528
1997년
14.96
7.6
9.9
6.7
9.7
9.4
12.152
0.571
1998년
14.2
7.4
9.1
7.1
8.8
7.8
10.072
0.426
1999년
14.5
7.9
11.0
5.3
7.7
11.3
10.714
0.595
2000년
14.5
7.6
9.7
9.2
7.4
6.2
12.860
0.697
2001년
15.3
7.8
9.9
7.9
7.1
8.6
12.862
0.766
【측정개시 년 : 2001년 측정수치】
구분
수온(℃)
PH
DO(㎎/l)
BOD(㎎/l)
COD(㎎/l)
SS(㎎/l)
T-N(㎎/l)
T-P(㎎/l)
1월
/
7.0
14.6
1.8
2.3
2.0
18.624
0.610
2월
1.0
7.7
14.7
6.8
12.1
2.8
19.824
0.912
3월
10.0
7.9
13.8
12.0
7.4
7.2
14.784
0.989
4월
17.0
8.0
6.8
18.1
9.3
17.5
15.936
0.955
5월
21.0
8.0
9.9
7.6
10.5
13.0
14.016
0.806
6월
22.0
7.9
6.4
9.0
8.4
13.5
14.880
0.830
7월
26.0
7.6
4.2
3.8
3.0
17.0
2.928
0.139
8월
25.0
8.2
5.0
5.1
5.5
13.0
4.896
0.437
9월
23.0
7.9
7.9
11.5
7.4
5.2
9.600
0.734
10월
16.0
8.1
11.1
4.5
5.6
2.8
11.976
0.552
11월
15.0
8.2
12.6
7.1
5.7
5.2
12.504
0.922
12월
8.0
6.8
11.7
7.1
7.5
4.4
14.376
1.310
2. 하천의 역사적, 시간적 특성
양재천의 이름은 어질고 재주있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하여 불리워진 것이며, 하천을 끼고 있는 양재동도 같은 연유에서 붙여진 것이다. 그리고 이곳은 조선시대 교통의 중심지로 양재역(良才驛)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이고 휴식을 취한 후 먼 길을 떠난다 하여 말죽거리라는 지명이 붙었는데 오늘날도 그 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양재동 옆에 있는 구룡산은 해발 283m로서 양재천과 관련된 설화를 가지고 있다. 즉 이곳에는 용 10마리가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하늘로 승천하다가 그 중 한 마리가 임신한 여자를 보고 놀라서 양재천에 떨어져 죽고 나머지 9마리만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산 이름이 구룡산이 되었다 한다. 양재천 하류의 개포동 일대는 개발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갯벌지대 였다. 즉 조선시대에는 이곳을 한여울이라 불렀으며, 한자어로 반곡동(盤谷洞)이라 하였다. 한강이 이곳에 이르러 여울이 세게 되었으므로 한여울이라 하고 마을이 갯바닥에 있으므로 그 뜻을 따서 소반 같이 생긴 포구가 있다 하여 한자어로 반곡이라 하였던 것이다.
이곳에서는 1947년 이병도(李丙燾)에 의해 4개의 남방식 지석묘가 있었음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후 도시개발과 함께 문화유적이 파괴되어 그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
[양재천의 더 자세한 문화유적과 명승지]
(1) 양재역(良才驛)
조선시대에는 전국의 교통로마다 적재적소에 역(驛)과 원(院)을 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역에는 말을 기르면서 중앙에서 지방으로 혹은 지방에서 중앙으로 위급한 전달사항의 임무를 띄고 달리는 자에게 말을 바꾸어 주었으며, 원은 숙소를 제공하여 주었다. 이들 역참(驛站)은 병조가 직접 관할하였으며, 숭례문(남대문) 밖 3리에 있는 청파역(靑坡驛)과 흥인문(동대문) 밖 4리에 있는 노원역(蘆原驛)이 가장 대표적인 역이었다. 청파역은 주로 남쪽으로 가는 파발(擺撥)의 출발점이었고, 노원역은 주로 북쪽으로 가는 파발의 출발점이었다.
양재역은 경안역덕풍역봉안역돌마역과 함께 경기도 광주에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전국의 역수(驛數)는 시대에 따라 다소 변동되었지만 조선 말기까지 대체적으로 530~540개 정도가 존재했었다. 여러 개의 역을 동시에 관할하는 임무를 담당한 찰방도(察訪道)에는 종6품의 역승(驛丞)을 두었는데 전국에 40여개가 있었다. 양재역도 찰방도로서 종6품의 찰방이 배치되어 서울 이남의 경기도 일대 역을 관할하였다. 그리고 서울의 청파역과 노원역에서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파발이 각각 남북으로 출발하는데 전국 각 역에서 종사하는 인원은 대체적으로 13만 2천명 내외였고, 말은 대략 5,000여필이었다. 본래 역에는 역장역리역졸을 두어 역의 관리와 공공의 일을 담당하게 하였다.
명종 때는 양재역에서 벽서사건(壁書事件)이 발생하여 사화(士禍)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명종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어머니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양재역에 나붙은 벽서에 위에는 여왕이 집정하고 간신 이기(李
추천자료
청계천 복원에 대한 나의 생각
친환경적 아파트관리를 위한 녹색아파트 만들기 운동
청계천 조사
청계천 복구사업의 모든 것
청계천을 다녀와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개념,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도입, 설정,...
택배 서비스의 문제점. 개선방안
[레크레이션][레크리에이션][레크레이션프로그램][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게임]레크레이션(레...
미래의 건축양식
[수도권대중교통][교통혼잡관리][대중교통][교통]교통혼잡관리의 필요성, 수도권 대중교통의 ...
대구 버스의 윤리 경영
청계천 복원사업 계획에 관한 연구
수도권지하철 개통과 천안의 성장 -수도권의 확장인가? 새로운 중심지의 형성인가?
소개글